학부 연구생을 2년 동안 하면서 이런 저런 프로젝트와, 포스터 발표 여러번 등등 제 나름의 스펙을 쌓았습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논문이 어쩌다 보니 밀려 빨라야 올해 말~ 늦으면 내년에 나올 것 같습니다. 현재는 다른 대학교에 연구원으로 근무중인 상황입니다. (저랑 주제가 맞는 분야가 아니라 이쪽으로 진학할 생각이 없습니다)
인서울 대학원으로 가고싶어 컨택을 시도하였으나 학벌의 영향인지 거절을 받았습니다... 물론 학벌 때문이 아니라 다른 것들이 문제일수도 있습니다. 제가 학벌 콤플렉스가 있는 건지 학벌이 중요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제 주변에서는 논문이 없는 상태에서 컨택을 하는것보단, 논문이 있는 상태에서 컨택을 하는게 훨씬 유리하다는 말을 종종 들었습니다. 또, 전 지도교수님도 너 스펙이면 진학하는데 문제가 되진 않을거라 하셨습니다. 현재 제 주변인들은 논문이 나온 후에 대학원을 시도해 보라는데, 지금 하고있는 일과 주제가 너무 다르다 보니 빨리 가고싶다는 생각이 들긴 합니다.
여러분이라면 지금 더 도전을 하실건지, 아니면 기다렸다가 논문이 나온 후에 지원을 하실건가요?
3줄요약 1. 지방대졸 2. 논문 없는 상태에서 컨택했더니 떨어짐 3. 논문 나오면 한다 vs 지금 더 도전한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4.04.26
논문 나오고 하는게 좋아보입니다!
대댓글 1개
2024.04.26
조언 감사합니다!
2024.04.26
학점이 어느 정도 인데요
대댓글 2개
2024.04.26
4/4,5로 10/100등정도 됩니다.. 1,2학년때 재수강도 안되는 b+로 많이 말아먹었습니다,,,,
2024.04.26
그냥 바로 컨택 진행하는게 더 나을듯 논문 그거 해봤자 분야별로 차이도 크고 교수도 학부생 수준 거기서 거기라고 보기 때문에 결국 비슷한 애들끼리 자리 싸움이라 타이밍이 젤 중요할때도 있음
2024.04.26
그냥 바로 하시는거 추천드립니다. 학부생 논문 실적은 별로 참고 안하는 분들도 많아요.
대댓글 2개
2024.04.26
조언 감사합니다! 혹시 까인 랩실에 후에 다시 도전하는거에 대해선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24.04.26
아무래도 어렵겠죠. 가서 좋은 취급 받기도 어렵고요. 선입견이란게 생기기 마련이니
2024.04.26
학부생 논문은 별로 신경 안쓰고 사실 석차, 학점이 더 중요해요. 괜히 시간 더 늦추지 말고 계속 더 도전하시면 분명 원하는 대학원 가실 수 있을겁니다.
2024.04.26
대댓글 1개
2024.04.26
2024.04.26
대댓글 2개
2024.04.26
2024.04.26
2024.04.26
대댓글 2개
2024.04.26
2024.04.26
2024.04.26
대댓글 1개
2024.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