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서울대 화학부 합격생분들께 (특별히 타대학교에서 지원하신 여러분들께)

George Bernard Shaw*

2020.07.16

11

10649

우선울대학교학부학원에 합격하신걸 축하드립니다.

 

글은, 여러분들께서 보다 현명하게 지도교수님을 선택하길 바라는 마음에서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석박통합/박사 입학하면  교수님에게 짧게는 4-5 길게 7-8년동안 지도 받게될 겁니다. 더군다나 졸업하면 꼬리표가 따라다니게 되죠. 따라서 본인을 위해서라도 굉장히중하게 선택해야 합니다.

 

자대 학생들은 선배들 또는 학부 인턴경험으로 연구실 분위기 상황을 어느정도 이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타대학교에서 지원하신 분들은 정보가 너무나 한정되어 있기에 몇가지 가이드 라인을리고자 합니다.

 

    1.오각형 평가 참고



각형 한줄평은 참고할만 합니다.

아마 억울한 교수님들도 있을것이라 생각됩니다. 그래서 참고하라고 말씀 드리는 겁니다.

그래도, 어느정도 참고할만한준이되니 참고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추가적으로울대학교학부 홈페이지로 들어가면 교수님들 홈페이지에속할 있습니다. 이곳에 들어가서 연구 성과를 확인할 있으니 연구성과를 참고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신임 교수(조교수)인지도 참고해서는게 좋습니다.


Q.주작일수도 있지 않느냐?

A. 주작일경우 한줄평에도적이 남게 됩니다. 애당초 교수가 주작하게는경우는 교수 본인도 억울하게 당했다도 생각하는 경우와, 본인이 받아들일수 없는 평가때문일 것입니다.

분은 종합적으로밖에(김박사넷 졸업생수 정보, alumni, publication, 면담시 인건비) 판단할 없습니다.


Q.스텟이 없는 교수님은 어쩜?

A.두가지 케이스입니다.

첫째, 무난하기 때문에 누구도 김박사넷에 평가하려 생각하지 않음

둘째, 교수님의 정년이 얼마 안남아는게 무의미하다 판단(+첫째 이유가 많이 기여합니다) 어짜피 정년이 임박한 교수님은 학생을 추가로 받지 않습니다.


    2.사업하는 교수(서울대학교 모든 대학원 지원시 참고할만함)


학부에는업을 하고 있는 교수가 몇 있습니다. 네이버에 해 교수 이 or OOO 교수라 이름치면 신문기사에 회사관련 기사 찾을 있을 겁니다. 검색되면 교수릅니다.

참고할 블로그 링크가 있으니 업하는 교수 걸러야 되는지 확인하실 있을 겁니다.

참고링크: http://bakwi.io/faction/lab-apocalypse/greed-3.trinity/

 

여러분들은  공부하며 연구하는 법을 배우고 연구를 하기 위해 대학원에학한것이지, 교수 잡일과 교수 꿈을 이루어주기 위해 진학한게닙니다. 비록 잘못된 선택을 하셔서 여러분들이 피해를 입으시더라도 그건 여러분들의 잘못이 아니라는점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그리고 얼마든지 탈출 방법은 열려 있으니 한번의 잘못된 선택으로 오랜기간동안 고통받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약간이라도 합격생분들께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여러분들이 합리적으로 선택하여 보다 희망찬학원 생활을 누리시길랍니다.

 































































댓글로 추가적인 답변은렵다는점 미리 말씀 드리고 이해해주시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Paul Gauguin*

2020.07.16

후배사랑 지극하네요.

2020.07.16

설화학이면 그 유명한 괴수의 숲 아잉교

2020.07.16

후배사랑 실천하는 참선배!!! 입학하고 3개월만 지나도 이 선배님 말씀이 무슨 말씀인지 알것.....

2020.07.16

참선배네요

2020.07.16

통한의 비추 1개가 눈에 띄는군요 ㅋㅋㅋㅋ 구구절절 옳은 말씀이십니다
W. H. Auden*

2020.07.16

요 근래 p모 교수 실험실에 비서울대 출신이 많이 뽑히는 이유를 알거같군

2020.07.17

오각형 전반적으로 납득가는 경우가 많음.
최소 인품, 논문 지도에 대해선 신뢰도가 매우 높음.

논문내는건 분야마다 짤짤이가 잘 나오는 랩, 굵직굵직한 논문 위주로 드문드문 랩 등 다양한 경우가 있어서 무조건 많이낸다고 좋은건 아니니 적당히 걸러서 볼것.

사실 인턴으로 3개월 정도 뛰어보는게 좋고 교수 성격, 지도방식, 방 분위기 등이 나에게 맞는지 확인하는게 중요함.
앞으로 지원할 생각이 강한 사람들은 이런 부분을 감안할 것.

한편으로 자기가 그 방에 가면 정말 열심히 할 학생인지 객관적인 자기평가를 해보는것도 중요함. 평가가 좋다고 별 생각없이 왔다가 물흐리는 경우 종종 보이는데 안타까울 따름.

2020.07.17

2번째님 괴수의숲이 먼뜻이ㅣ죠?
Henry Cavendish*

2020.07.18

설화 학부생입니다.이곳저곳 랩인턴은 한 1년 반-2년 했어요. 스텟 없는/부족한 랩 중에는 악평을 쓰고 싶으나 사람이 없어(왜일까요^^) 쓰면 특정될 거 같아 안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리고 아무리 안좋은 랩이어도 그 랩 대학원생은 대놓고 안좋은 말 못하니까 차라리 거기서 인턴해보거나, 거기서 졸업한 (예전에 그 랩이었으나 현재는 아닌) 그런 사람에게 랩에 대해 물어보세요
Henry Cavendish*

2020.07.18

"교수의 잡일과 교수의 꿈을 이루어주기 위해 진학한게 아닙니다. " 이말 진짜 맞는 말이에요..교수가 학생들을 본인 연구진행을 위한 테크니션으로 대하고 채찍질하는 경우 많이 봤습니다..

2020.07.18

@Anne Brontë
유독 서울대화학과에 괴물같은 교수, 한마디로 쓰레기같은 교수님 많단 뜻입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