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포닥 나가려고 이곳저곳 알아보다가 한곳에서 인터뷰후에 정식으로 포닥 자리 오퍼가 왔습니다. PI분께서 추천서 3장받을 곳을 알려달라고 자신이 직접 연락해보겠다고 합니다. 그래서 지도교수님이랑 예전에 코웍했었던 교수님이랑 정출연 박사님한테 추천서를 부탁하려고 하는데요
아직 다른곳에서 연락 기다리는것도 있고 이랩은 약간 하향 지원이라 갈지 안갈지 다른곳 결과좀 보고 결정했으면 하는데 확실히 가는것이 확정되지 않아서 다른곳 갈수도 있는데 일단 추천서를 내는것이 맞는지 아니면 아직 확정이 되지 않았으니 좀더 결과를 보고 추천서를 제출하겠다고 해당 PI분께 말씀드리는게 맞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안가더라도 추천서를 내야되는거면 나중에 교수님이나 코웍했던 박사님들한테 추천서 여러장을 부탁해야될수도 있는데 혹시 큰 실례가 될까요??
그리고 마지막으로 저희 지도교수님 께서는 탑스쿨 포닥 못갈바에는 기존 랩실에서 포닥으로 있으면서 실적쌓고 다양한 랩실 컨택해서 더 높은곳 컨택해보는게 더 좋지 않겠다고 말씀해주시던데 솔직히 말해서 저를 위해 하시는 말씀이신지 프로젝트 과제랑 논문출판에 기여했으면 싶어서 하시는 말씀이 잘 판단이 안되는데 이부분도 조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4.03.06
저랑 비슷한 상황이시네요... 저도 하향지원한 곳에서 추천서 받아오라고 해서 답장을 최대한 느리게 했었는데 먼저 어떻게 되어가고있냐고 재촉하셔서 결국 안간다고 했었습니다... 지도교수님이 그런식으로 말하신것도 비슷합니다...ㅎㅎ
대댓글 1개
2024.03.06
추천서까지 내고 걸어두는거는 안되나 보네요... 랩실자체랑 PI분은 괜찮아보이는데 학교 네임벨류가 좀 걸려서 고민되네요
2024.03.06
추천서 내고 안내고는 크게 상관없습니다. 그냥 언제까지 결정해서 알려줘야하냐고 다이렉트로 물어보세요. 그럼 거기서 답변을 줄겁니다. 그거에 맞춰서 일정 짜시면 됩니다. 다른곳 결과 못기다릴 정도로 그쪽에서 타이트하게 주면 본인이 선택하셔야해요. 그쪽 입장에서도 지금 사람이 급한 랩은 인터뷰를 계속 더 볼지 아니면 2순위에게 바로 오퍼를 뿌려서 데리고 와야할지 결정을 해야해서, 타이트하게 타임라인을 주는 경우도 많습니다.
대댓글 5개
2024.03.06
그리고 학교 네임밸류 상관없습니다. 어짜피 MIT 포닥 가실거 아니면 신경안써요. 심지어 포닥은 MIT 가서 후회하시는 분들도 봤습니다. 이렇게 말하면 여기서 욕먹는거 아는데 (자기가 못가서 그런거다 등등) 그런게 아니라 MIT 포닥 후 자리잡으신분들 얘기들으면, 거기 생활비 포닥월급으로 감당안됩니다 특히나 가족이 있으면 더더욱요. 그래서 보통 중국애들 같이 랭킹에 민감한 애들이 MIT 포닥 가족 데리고 갔다가 피보고 1년 2년 하다가 다른곳으로 옮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물론, 만족하고 보스톤 생활 즐기시는 분도 있겠지만요. 학교 보다 생활적인 측면도 많이 고려해보세요. 생각보다 많이 중요합니다.
2024.03.06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
2024.03.06
하나더 여쭤보자면 혹시 커리어 목표가 미국정착후 faculty position이나 national lab staff 취칙인 경우에도 네임벨류 크게 상관이 없을까요?
2024.03.06
말씀드린 것처럼 학교 네입밸류 보다는 PI의 네트워킹이 2만배 더 중요합니다. 물론 MIT 스탠 같은 경우는 아무래도 자그마한 +는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것보다 MIT 포닥을 가는 이유는 PI의 네트워킹이 좋을 확률이 높기 때문에 좋은거에요. PI의 학계 네트워크, 아카데믹 패밀리를 보시는게 더 유의미합니다. 학교 네임밸류는 크게 상관없어요 사실 (포닥의 경우는 더더욱이요). 같은 이유로, National lab 은 national lab 에서 포닥을 하시는게 훨씬 유리합니다. national lab은 national lab 사이에 같은 연구를 하시는 분들끼리 네트워킹이 되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 national lab에서 staff 전환을 안할지라도, 여기저기 아는 분들이 많이 생겨서 staff 인터뷰 할때 다 아는 사람끼리 만나게 될 경우가 많습니다. 미국은 추천서 사회기 때문에 내가 같이 일을 해보고 아는 사람한테 추천을 받았냐 안받았냐가 엄청 크게 작용합니다. 논문 1,2개 더 많은건 아무 의미 없어요.
2024.03.06
자세한 조언 정말 감사드립니다!
2024.03.06
mit포닥간다고 mit 구성원으로 아무도 인정안해줍니다.. 그냥 논문실적 많이낼수잇는곳으로 가세요. 거기에서 정착고민하시는거면 윗분말대로 대가랩으로 가는게 유리합니다. 그리고 물가도 무시못하긴하죠. 60k받고 퍼듀 uiuc같은 시골로가면 로컬에서 가장좋은 아파트에서 생활 가능합니다. 반대로 뉴욕 보스턴 샌프란 la같은곳에 포닥가면 아무리 7-80k받으셔도 그냥저냥 꾸겨져서 살아야합니다. 여튼 포닥은 탑스쿨 말하는것도 이해가되지만, 어차피 목표가 미국정착이면 어디든 나오시고 봐야죠.. 장학재단 사업은 신청도 못하시거 풀펀딩만 보고계실텐데 원래 쉽지않아요
대댓글 1개
2024.03.06
그리고 포닥 컨택하실때는 기본적으로 커버레터나 cv 뒷편에 recommendation 3명 정보 적는게 국룰입니다. 인터뷰 하고나서 PI가 그 세명에게 메일로 추천서 달라하고요.
2024.03.06
대댓글 1개
2024.03.06
2024.03.06
대댓글 5개
2024.03.06
2024.03.06
2024.03.06
2024.03.06
2024.03.06
2024.03.06
대댓글 1개
2024.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