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일본 오사카 대학 기계공학과 3학년을 마치고 군복무를 위해 군대에 와있는 사람입니다. 원래 일본쪽 대학을 진학한 이유가 로봇쪽(motion planning, manipulation, optimization) 공부를 하고 싶어서 였고 이대로 동경대 대학원(지능기계학과)쪽으로 진학하여 로봇연구를 하고 싶다는 생각을 했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 개인적으로 머신러닝, 자동주행 등을 공부하면서 컴퓨터 비전, 머신러닝, SLAM, 머신러닝을 이용한 지능 로봇틱스에 흥미가 생기며 비교적 이쪽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쪽 대학원(카이스트, 서울대) 석사를 알아보게 되었습니다. 여기서 몇가지 질문을 드리고 싶습니다. 참고로 아직 석사만 생각중이며 연구경력은 4학년때부터 자대연구실 인턴 할 계획입니다.
1.현재 기계공학과 출신이지만 한국대학원의 경우 서울대 카이스트 둘다 전기전자쪽 대학원을 알아보고 있습니다. 여기서 오는 불이익이나 면접을 위해 추가적으로 공부해야될 사항이나 과목들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2.제 GPA를 한국학점으로 환산하면 3.8/4.3 정도입니다.제가 듣기로는 카이스트기준 타대학생의 경우 4.0을 못넘기면 힘들다라고 들었습니다. 맞는 사실인지 궁금합니다.
3. 한국대학원의 경우 특히 서울대는 컨텍이 중요하다고 들었습니다. 컨텍을 반드시 해야 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4. 서울대나 카이스트 대학원의 경우 매달 보통 얼마정도의 금액 지원이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 두곳 다 한국집과 거리가 멀어서 자취를 해야 될것 같은데 개인부담액이 커질까 걱정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개
Ralph Ellison*
2020.07.12
? 일본이 딥러닝 한국보다 훨앞서지 않냐?
Henry Hallett Dale*
2020.07.12
일본은 씹 갈라파고스라 국제학계랑 좀 따로놀음
로봇쪽은 일본이 한국보다 인프라가 엄청나게 앞서긴 하는데
딥러닝쪽은 별거 없음
2020.07.12
한국은 학부중심이라서 일반대학원의 경우는 입학을 하셔도 학풍이나 연구성과가 일본에서 하셨던 연구와 다를 수 있습니다. 제가 아시는 분도 일본에서 학부 졸업하시고 서,포,카쪽으로 컨택하시다가 안되셔서 인서울 지역 다른 학교로 가시긴 했습니다. 그 분 목적은 한국에서 정착하는 거였는데, 실패하셔서 결국 일본으로 다시 박사하러 가셨습니다.
Ralph Ellison*
2020.07.12
Henry Hallett Dale 뭔소리여 CNN을 처음 개발한사람이 얀 르쿤이 아니라 일본 학자라고 대대적으로 선전하면서 기초연구쪽으로 몰빵함서 산업쪽에서도 실리콘벨리에서 투자받은 인공지능 스타트업 TOP20 중 1/3 이상이 일본계인데 따로논다고? 애초에 앤드류 응도 일본계아님?
John McCarthy*
2020.07.12
일본애들이 만지작거리는걸 좋아하지만, 꽤 많은 로보틱스 분야에서 일본보다 뒤쳐진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데...
학교/연구소마다 펀딩은 다르겠지만 우선 등록금때문이라도 서울대는 석사때는 저취+생활비로는 돈 부족할겁니다. 카이스트는 긱사생활하면 어느연구실이든 충족될겁니다.
2020.07.12
2020.07.12
2020.07.12
2020.07.12
2020.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