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1) 솔직히 네임벨류가 안 중요하다고 하면 거짓말이라고 생각합니다.
2) 다마 ist는 지원도 좋고 괜찮은 학교인 것과 별개로 규모 자체가 작아 네임벨류를 이야기 하긴 좀 그렇습니다.
3) 박사과정도 그렇지만 석사과정은 특히 오래할 게 아니라고 봅니다.
대학 네임벨류가 중요한가요?
11 - 정신건강 상담 전화은 전국 어디서나 1577-0199로 전화하여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살면서 저보다 똑똑한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57 - 정말 대단하십니다. 똑똑하시니까 이런 글을 썼을 때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반응할지도 아시겠죠.
살면서 저보다 똑똑한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30 - 노벨상 꼭 도전하셔서 구국의 영웅이 되시길 바랍니다
살면서 저보다 똑똑한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16 - Ai가 쓴 건가
살면서 저보다 똑똑한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16 - 요즘 조현병 환자들이 왤케 많은것 같지
살면서 저보다 똑똑한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14 - 블로그 보니까 챗지피티로 그냥 막질렀구만. 환각이야 전부다
살면서 저보다 똑똑한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11 - 미박, 미포닥 마치고 갓 임용된 교수님 아래에서 학위 받았는데 지도교수님 미국 네트워크가 아직 활발하셔서 지도교수님 인맥으로 미국 포닥 나왔네요
임용된지 얼마 안된 교수님 연구실 장점이 뭘까요?
14 - 젊은 교수님이시면 젊으시니 체력이 좋아서 빡세게 일하기 좋습니다. 그리고 의욕이 넘치셔서 성과를 속도감있게 낼 수 있구요. 교수님 은퇴까지 엄청나게 많이 남아있으니 사회에 진출한 이후에도 교수님 후광을 업을 수 있습니다. 이건 매우 큰 장점이에요.
임용된지 얼마 안된 교수님 연구실 장점이 뭘까요?
17 - 스스로 셋업해봤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임용된지 얼마 안된 교수님 연구실 장점이 뭘까요?
13 - 나이가 차이 별로 안나서 꼬시면 넘어갈 수도 있음
임용된지 얼마 안된 교수님 연구실 장점이 뭘까요?
11 - 찰학자 A는 Autism의 A인가보죠?
살면서 저보다 똑똑한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12 - 홈페이지 등 이력 찾아보니,
석박 통합 4년 반 + 포닥 2군데서 1년 반
도합 6년 넘는 동안 1저자 15편인데... 이게 불가능하다고 생각되지는 않네요..
언론에서 과장한다고 2저자 3저자 그이상 전부다 끌어와서 70편 썼다고 어그로 끌어서 그렇지..
논문 70편 쓰고 교수 임용되신 분 구글 스콜라 들가서 일일히 세어봤습니다.
17
충남대 정출연 학연 지원하는거 어떻게 생각하세요..?
2023.12.18

사실 풀타임 석사를 이미 한번 경험해 본적이 있고 그때 뉴무 철이 없어서 3학기까지 마쳤지만 졸업 문턱에서 포기를 해버린 적이 있습니다.
막상 취직하고 일을 2년 넘게 해보니 괜시리 석사 생각이 나서 다시 한번 도전해보려 하는데 풀타임을 하기엔 너무 부담스럽다 생각해서 학연과정으로 도전해보려 합니다.
내년 후기 정출연 학연과정으로 지원해볼까 하는데 대학교를 거의 다 서울권으로 쓰시더라구요..? 오히려 위로 가면갈수록 졸업하기 어려울 것 같아서 전 정출연 근처인 충남대를 지원해보고 싶습니다.
1. 학연 과정을 해보셨거나 하고 계신분들 물론 박사님 컨텍에 따라 다르겠지만 학교는 무조건 좋은 곳으로 들어가는게 좋은가요..?
2. 그리고 석사 과정에서 졸업을 하려면 스스로 논문 한편을 무조건 쓰고 졸업을 하는건지, 아니면 박사님께서 논문 작성하는 것을 도와주시는지 어쩌는지 궁금합니다.. (물론 부바부 겠지만 일반적으로 어떤지 궁금합니다.)
3. 내년 후기 지원을 하려면 학연과정은 1월 중 원서 접수이기 때문에 지금 컨텍을 해야된다고 하는데.. 컨택을 하실 때 자기소개서 같은걸 첨부를 하는게 일반적인지 아니면 그냥 해당 랩실에 관심이 있습니다 라고 단순하게 컨택하는게 맞는건지도 궁금합니다.
알아본지 얼마 안되어서 아직 질문 수준이 기초적입니다만 선배님들의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106 65 17062
정출연 학연과정 질문드려요 김GPT 1 2 11415
한양대에서 연고대 편입할까요? 김GPT 12 19 4705-
34 39 10816
정출연 학연과정 vs 일반대학원 김GPT 1 9 16733
정출연에서 논문 쓰나요? 김GPT 0 13 3312
가고 싶은 정출연 김GPT 1 3 5594
산학장학생 고민입니다. 김GPT 1 6 1692
정출연 학연 김GPT 0 2 3919
대학원 생활이 힘든 이유들 명예의전당 160 34 109015-
441 70 52925 -
76 61 15247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대학원생 예절에 대해 쓴 글 보고...
209 - 여초랩에 들어가면 안되는 이유
66 - 아무리 강사라도 상명대 출신이 서울대 교단에 서는 건 말이 안되지 않나???
116 - 학술적 파시즘이 보이는게 걱정됩니다.
35 - 여긴 희한한게 애들 착취하지 말자하면
39 - AI 뜨니까 개나소나 다 인공지능 대학원 가려고 하는거 같긴 함
26 - 연구실 내 인간관계가 너무 힘드네요
9 - 광명상가에서 카이스트 대학원 가는게 가능한가요?
12 - 졸업했으면 좀 나가주세요
34 - 환경쪽 석사로 취업하려니 막막하네요
7 - 국가 R&D 성과조사하면서 느낀점
7 - 포스텍 AI대학원 합격했네요..!
15 - 님들 이거 한 번 보셈
5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아이큐 높은 사람들 보셈
66 - 포스텍 양자정보 석박통합 vs 성대 전기전자 석사과정 vs 동국대(자대) 전기전자 석사
13 - 근데 아무리 교수라 하더라도 학사논문은
13 - 대학 네임벨류가 중요한가요?
8 - 하위권 지거국에서 학점 4.4 졸업이면 어느 대학원까지 가능한가요?
17 - 아플 것 같으면 포기하는게 맞을까요?
7 - 살면서 저보다 똑똑한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32 - 방임형 지도교수
9 - 임용된지 얼마 안된 교수님 연구실 장점이 뭘까요?
15 - Science 저널에 투고 후 현재 상황
10 - 부산대 대학원 생각 있습니다
11 - 논문 70편 쓰고 교수 임용되신 분 구글 스콜라 들가서 일일히 세어봤습니다.
30 - 해외포닥이라고 다 존중받아야 하는거는 아닌듯
8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대학원생 예절에 대해 쓴 글 보고...
209 - 여초랩에 들어가면 안되는 이유
66 - 아무리 강사라도 상명대 출신이 서울대 교단에 서는 건 말이 안되지 않나???
116 - 학술적 파시즘이 보이는게 걱정됩니다.
35 - 여긴 희한한게 애들 착취하지 말자하면
39 - AI 뜨니까 개나소나 다 인공지능 대학원 가려고 하는거 같긴 함
26 - 연구실 내 인간관계가 너무 힘드네요
9 - 광명상가에서 카이스트 대학원 가는게 가능한가요?
12 - 졸업했으면 좀 나가주세요
34 - 환경쪽 석사로 취업하려니 막막하네요
7 - 국가 R&D 성과조사하면서 느낀점
7 - 포스텍 AI대학원 합격했네요..!
15 - 님들 이거 한 번 보셈
5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만 51세 여성 지인이 미국 박사유학 상담을 해온다면... 뭐라고 말해줘야 하나요?
72 - 미국 Top 30 기계/로봇 석사과정 합격 가능할까요..?
29 - 다이렉트 박사 현실적 가능성
11 - 미박 지원서를 몇 개를 써야할 지를 모르겠습니다
14 - 아이큐 높은 사람들 보셈
66 - 근데 아무리 교수라 하더라도 학사논문은
13 - 하위권 지거국에서 학점 4.4 졸업이면 어느 대학원까지 가능한가요?
17 - 살면서 저보다 똑똑한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32 - 방임형 지도교수
9 - 임용된지 얼마 안된 교수님 연구실 장점이 뭘까요?
15 - Science 저널에 투고 후 현재 상황
10 - 부산대 대학원 생각 있습니다
11 - 논문 70편 쓰고 교수 임용되신 분 구글 스콜라 들가서 일일히 세어봤습니다.
30
2023.12.18
대댓글 1개
2023.12.18
2023.12.19
대댓글 1개
2023.12.19
2023.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