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대생 분들 중 서울대 대학원과 카이스트 대학원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을 텐데요 '공대' 기준 제 의견을 적어봅니다.
밑에 글 중에 타대생은 서울대 대학원은 거르라는 글이 있어서 지나가다가 저도 글 써봅니다.
목표가 논문 연구실적을 많이 내서 정출연 or 교수가 목표시라면 실험실을 보고 고르시고, 적당한 실적내서 졸업 후 대기업 취업이 목표시라면 웬만하면 서울대로 가시는 것 을 추천드립니다. 물론 학위를 받을 수 있다는 전제하에 입니다.
타대생 입장에서 학위과정 중에는 서울대가 카이스트 보다 힘들 수 있지만(하지만 어차피 이것도 사람 by 사람, 랩 by 랩)
학위 받으면 확실히 서울대가 카이스트 보다 나은거 같더군요. (자기 만족 + 네임밸류 + 사회진출한 박사동문 수)
더 세밀하게 따지면 글이 너무 길어질것 같으니 여기까지만 말하겠습니다.
아는 타대출신 지인도 학위 과정은 서울대가 더 힘든거 같다고 하지만 학위 받으니 그래도 서울대 선택한것이 더 좋은 선택이었던거 같다고 하네요.
그리고 금전적인 부분으로 선택하지는 마시길 바랍니다.(단 대출및 집안도움을 못받아서 대학원을 못 다닐 정도이면 고려해야함)
금전적인 부분은 취업후 1년이면 전부 갚지만 학위 네임은 평생갑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6개
Herophilos*
2020.07.04
알겠다고 ^^ㅣ발아 좀;;
2020.07.04
공대 중에서도 분야마다 특출난 것이 다르니 꼭 본인 분야 교수님이랑 상담하고 진학하시는 것을 추천. 본인이 좋은 대학원 진학할만큼 열심히 한 학생이면 분명 좋은 코멘트를 남겨주실겁니다.
Fritz Pregl*
2020.07.04
아니 진짜 구시대 마인드 같은데, 요즘 시대는 학위 따봤자 더이상 아무것도 보장해주지 않으니까 네임밸류만 보고 서울대 가는건 지능이 부족한 것 같구요, 서울대 네임밸류 카이랑 크게 차이 없고요, 동문끼리 도와주는 건 차이가 있을지도 모르겠는데 점점 실력 위주의 사회가 된다면 그 부분의 영향도 갈수록 줄어들 것 같네요.
더 세밀하게 따져주세요. 무슨 논리로 대학원생에게 카이가 서울보다 나은지 이해가 잘 안가는데 장단점 하나하나 분석해서 설득시켜주세요. 설대 카이 둘다 아슬아슬하게 갈수는 있는 스펙이지만 연구실 컨택을 일찍 못해서 일단 카이가려는 학생이구요. 제 지능이 모자라고 우매한건지 타대생 입장에서는 서울대가 카이에 비해 좋은 점은 서울생활 하나밖에 없어보이는데요?
서울생활하면 본가가 서울에 있는 경우가 아니면 기숙사비나 자취 등 거주 비용은 평균적으로 더 증가할 것 같고, 등록금도 카이는 현재 국장/카장 구분 없이 학기당 75만원인데 설대는 최소 3백 이고요. 등록금 더 비싼 만큼 서울대 연구실들이 일반적으로 인건비를 더 주냐? 그런 얘기는 제 정보력이 딸리는지 한번도 못들어봤네요.
설/카 네임 밸류에서도 큰 차이가 없어보이는데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 혹시 구체적인 사례를 가지고 설명해주실 수 있으신가요?
Sandro Botticelli*
2020.07.04
서울대에서 했다 - 카이스트가 교수진이 더 좋다며? - 그렇다는 말도 있는데 우리 지도 교수님은 좋았다 (끝)
카이스트에서 했다 - 서울대는 왜 생각 안 해봤어? - 교수 보고 갔다 - 서울대에도 좋은 교수 있는데? - ?????
2020.07.04
Fritz Pregl //
1. 네임밸류
네임밸류 측면에서 따지면
공대 학부의 경우 서울대 >> 카이스트
공대 대학원 서울대 = 카이스트 (전기전자, 컴공은 전체적인 측면에서 카이가 좋아보이지만 개인 측면에서는 랩 바이 랩)
자연대는 학부, 대학원 둘 다 서울대 >> 카이스트 (단 화학과는 동급)
따라서 굳이 따지자면 네임밸류 측면에서는 종합적으로 보았을때 서울대가 나은것 같습니다. (자기만족 + 대중의 시선 측면)
2. 동문적인 측면
성골,진골 따지는건 랩 by 랩, 사람 by 사람 이며 어차피 학부는 안변합니다.
다만 대한민국에서는 서울대 학석박이 주류인데 타대 차별없이 서로 도와주는 랩실 나오면 상당히 도움이 많이 됩니다.
그리고 서울 및 수도권 사시는 분들은 서울 생활이라는 메리트가 전문연, 인건비 메리트를 뛰어 넘을 정도로 엄청납니다.
3. 인건비
서울대는 박사 수료 후에 등록금 안냅니다. 연구생 등록비로 한학기에 20 ~ 30 낼걸요?(박사 3년차 or 석박통합 4년차 부터)
선택은 본인이 하시면 됩니다. 인건비 및 생활비가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면 카이스트로 가시면 되는거고, 그게 아니시라면 서울대로 가시면 되는겁니다. 저랑 제 주변 지인들은 후자의 가치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앞서 말씀드렸듯이 연구실적 욕심있으시면 랩 을 보고 판단하신 후 고르시면 됩니다.
Bertolt Brecht*
2020.07.04
학부 카>포>>>>서 넘사
이유: 333맞추고 겨우 입학하는 서울대지균충 덕분에 ㅋ
Fritz Pregl*
2020.07.04
1. ㅇㅋ 네임밸류는 서울대가 조금 더 낫다고 칩시다.
2. 동문은 제가 아직 졸업을 못해서 체감이 안되는데 뭐 있을 수 있다고 칩시다. 근데 저도 수도권 사는데 대학원 생활을 서울에서 하는게 그렇게 메리트 있어요? 평균적인 연구실이라면 주5일제 40시간 칼퇴 이런건 아직까지는 말도 안되는 것 같고, 주 1~2일 쉬고 나머지는 연구실에서 살텐데 하루 이틀 잘 지낼려고 서울가요? 대학원 놀러가는 곳인지?
3. 등록금 박사수료 후에도 내는 곳은 SPK 중에 P 밖에 없는걸로 아는데 제가 잘못 안건가요? K도 박사수료 후 연구등록으로 알고 있는데?
종합해서 비슷한 연구실있는데 카이스트 버리고 서울대 가면 월 최소 35씩 더내고
실체도 없는 동문 지원 + 네임밸류로 비롯된 자기만족 + 서울생활
이거 3개 얻는거네요? 뭐 개인 선택인지 현실적으로 이런 선택을 누가 할지?
서울대 엄청 좋고 대단한 학교인거 아는데 카이 버리고 서울대 가는게 낫다는건 좀 허위정보 같은데 책임질 수 있어요?
어이가 없는게 지원률 급감해도 대학원생 처우를 개선할 생각을 해야지 그냥 우리학교는 짱이니까 다른거 다 버리고 와도 돼! 이런 훌리성 홍보만 하니까 참 답답하네요. 뭐 제가 갈 학교는 아닌거 같으니 신경쓰지 않도록 노력해보겠습니다.
Sandro Botticelli*
2020.07.04
지균충 졸업할 때 되면 잘 모르겠던데 ㅋㅋㅋㅋㅋㅋ
2020.07.04
올해만 333인데 들어오지도 않은 지균으로 태클거는건 뭐임?
2020.07.04
Fritz Pregl // 제 글을 제대로 읽어보셨는지요? 일단 개인적 의견이라고 말씀드렸고, 무조건 서울대가 좋다는 것이 아니라 취업 + 졸업 가능 하다는 전제하에는 서울대가 더 나은거 같다고 말씀드린겁니다. 말씀하시는거 보니 카이스트 쪽 조건에 더 매력을 느끼시는거 같네요. 그럼 카이스트로 가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대학원 생활 이란것이 평일에 연구실 + 기숙사만 반복하는것이 아닙니다. 그런 측면에서 서울인프라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Fritz Pregl*
2020.07.04
제가 개인적으로 카이스트 조건에 매력에 느끼는게 문제가 아니라요... 서울대가 대학원생 처우나 다른 연구 환경 지원으로 대학원생 모집을 하려는 노력을 안하는 것 같아서 좀 불만이에요. 대한민국 최고 대학 간판 들고 있으면서 국가 세금은 몇천억씩 받아가는데 사회발전에 어떤 도움이 되는거에요?
대학원생 혜택이나 지원으로 좋은 학생 모집할 생각은 안하고 대학원은 다 랩바랩이다 설대가 그래도 네임밸류는 최고다 어쩌구 하면서 대학원 지원자들 판단력이나 흐릴려고 하고. 서울대 타이틀을 엄청 강조하시는데 국내 대학 서열 고착화와 비상식적 엘리트주의에 앞장서시는 모습이 너무 멋있어요 ㅎ
어차피 학벌세탁하러 들어와서 잡일하다가 회사 갈거잖아? 그냥 조용히 있다 가면 된다 나대지 말고
너네 동문이라고 생각하는사람 없다 서울대건 카이스트건
Fritz Pregl*
2020.07.04
? 아닌데 아닌데? 이상한 일 자꾸시키면 연구실 관두고 딴데로 튈건데? 동문 대접 바라지도 않는데? 이젠 사회나가서 같은 학교라고 더 편애하면 오히려 틀딱, 꼰대 취급 당할텐데 뭔 소리를 하는거냐? 혼자 90년대에서 사는 듯
Bertolt Brecht*
2020.07.04
ㄴㄴ이상 쉴드치는 서울대 대학원생 혹은 서울대 지균
2020.07.05
서울대 학석박 교수님들은 많은데
카이스트 학석박 교수님들은 못봤네요
대댓글 1개
2024.10.16
카이 재학생인데 카이스트 학석박 교수님들도 많습니다.
2020.07.05
교수 뽑는 입장에서 말해보면, (내 전공에서는) 박사가 서울대냐 카이스트냐는 별로 안 중요합니다. 학부가 서울대면 이득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학부가 서울대가 아니라면, 그냥 요즘 많이 찾는 연구분야이면서 논문이 많으면 됩니다. 이게 학부 서울대 나온거 보다 더 중요할 때도 많고, 그냥 노교수님들이 서울대학부-미국박사를 뽑자고 하는 경우도 있어요.
지금 박사 진학해서 졸업할때 어느 전공이 인기 많을지 알기가 쉽진 않겠죠. 다들 힘내서 학문에 정진하시길. 대체로 욕심부리고 다른 사람 깔보면서 무시하는 사람보다는 성격좋고 다른 사람 존중할줄 아는 사람이 교수로는 잘 풀리는 것 같습니다. (근데 왜 10년 이상 지나서 괴수가 되어 있는지는 의문...)
2021.05.26
대학원 네임밸류 카이가 더 높지 않나. 누적 신고수 100개 이상의 글이라고 뜨네요.
2023.12.24
논문수가 중요하면 무조건 카이스트입니다. 아니라면 서울대.
2024.04.29
카이가 숫자가 많아서 그런가 훌리가 좀 심하게 많은듯 정작 서울대생은 카이스트 전혀 신경안씀
2020.07.04
2020.07.04
2020.07.04
2020.07.04
2020.07.04
2020.07.04
2020.07.04
2020.07.04
2020.07.04
2020.07.04
2020.07.04
2020.07.04
2020.07.04
2020.07.04
2020.07.04
2020.07.04
2020.07.04
2020.07.04
2020.07.04
2020.07.04
2020.07.05
대댓글 1개
2024.10.16
2020.07.05
2021.05.26
2023.12.24
2024.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