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비판은 계속 되겠지만 여전히 안 망했을 듯요 오히려 2050년 경에는 세계 5대 경제대국 군사대국 되있을 것 같으니깐 너무 걱정 마세요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68 - 피규어나 잘 그리세요
연구실에 피규어 가져가도 되나요?
61 -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각자 하는 연구가 다 다르다 보니 스터디가 오히려 시간 낭비라고 생각되는 것 같습니다. 원래 다들 귀찮은데 그냥 쓰는 것 같습니다. 일단 쓰기 시작하면 어떻게든 되긴 하는 거 같습니다. 다만 처음 작성해보신다면 본인이 읽었던 논문 중 가장 잘 썼다고 생각되는 논문 한편을 가져다 놓고 조금씩 수정하는 방식으로 작성하시면 수월합니다. 원래 창조보단 수정이 쉽기 때문입니다.
혼자 논문쓰려니까 미치겠어요, 러닝메이트가 필요한데 저같은사람 없나요..?
9 - 우리 랩 신입도 괴물이더라... 소변기 옆에서 살짝 훔쳐봤는데 진짜 구렁이 한마리가 또아리 틀고 있음... 진짜 괴물레벨
새로 들어온 석사 친구가 괴물입니다.
67 - 근데 gpt 로 만든글은 윤리 위반으로ㅠ걸리는거 아닌가요))
이제 누구한테 논문 넘겨주고 이런 거 못하겠네
8 - ㅈ같게 생각합니다
이런 사람 어떻게 생각하세요?
10 - 놀랍게도 코딩까지 가지 않고 영어 작문만 봐도 답나옵니다.
요즘 개나소나 GPT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논문 영작 수준이 차이가 꽤 나거든요.
결국 좋은 도구를 줘도 쓰는 사람이 ㅄ이면 결과물도 별로다 입니다
여러분들은 코딩 능력이 필요 없어질거 같으신가요?
21 - 1. 맞음
2. 맞음
3. 2가 맞기 때문에 대처할게 없음.
2에 대한 설명
현재 해당 랩 소속이 아닌것이기에 표면상의 이유는 논문에 넣을 소속이 없기 때문에 논문에 이름을 넣을 수 없음. 그 외의 이유로는 나간 사람을 굳이 넣고싶지 않음 정도가 있겠음.
만약 그 랩에서 석사 졸업이나 박사 졸업 정도를 한 뒤에 비슷한 상황이 발생했다면 그 랩 소속으로 넣고 논문에 이름이 들어가는게 일반적임 (저자 순서는 좀 밀릴 수는 있음) 그런데 글쓴이는 학부연구생 이었던 것이므로 교수가 당연히 이름을 뺄 것임. 기여도가 어느 정도인지 관계없이 (보통 학부연구생은 실험쪽에 기여도가 있을 것이고, 논문 작성엔 기여도가 없을것임) 나간 학부연구생의 이름을 넣어주는 경우는 교수가 선심을 쓴 것이라 봐야함
학부연구생 저자 제외 관련 질문입니다
10 - 제 학부연구생 시절이 생각나네요. 실험 테스트 베드 제작, 실험 데이터 수집 및 분석 한 학기동안 제 아까운 시간 써가면서 매달려서 그 프로젝트에 참가했는데, 나중에 알게된 사실.. 논문이 게재되었고 충격적이게도 제가 작성한 실험 데이터 커브, 일러스트레이션 모든 것들이 그대로 들어가 있었으나 제 이름은 없었더라는..
명백한 연구윤리 위반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한국 사회 특성상 좋은 것이 좋은거죠..... 요즘은 어떠나 모르겠네요.
학부연구생 저자 제외 관련 질문입니다
8 - Ai는 보조 수단일 뿐
" 실험 < 글 " 은 대전제임
글 쓰다보니 집에 돈이 많아서 그런지 글은 못쓰고 데이터만 아둥바둥 가지고 욕심부리고 있는 안타까운 인생을 사는 누가 생각나서 좀 역하네요.
이제 누구한테 논문 넘겨주고 이런 거 못하겠네
8 - 꼭 박사과정, 포닥 인성이 교수 인성을 대변하진 않음
다만 태도가 보이긴 함
박사 or 포닥이 ㅈ대로 한다? -> 높은 확률로 교수가 개차반일 가능성 있음
개차반은 그냥 관심 없는 것 까지 포함함
교수 인성은 그냥 그밑에 몇년 구른 박사 보면됨
12 - 설문연구, 500명 2개월 어려운 일 아니예요.
보통 2주안에 결과보고서까지 해요.
석사졸업 임박 지도교수 무리한 요구
9 - 2인큐는 어쩔 수 없지
교수님 조카랑 한판 함
9
공기업 퇴사 후 대학원 진학에 대한 질문입니다.
2023.11.13

고려대학교 이공계열 학사 졸업 후 1년간 취준과정을 거쳐 비전공인 전기직렬로 서울에 있는 지하철공사를 재직 중인 현직자입니다.
현재 입사 후 교대근무를 하며 여러가지 현타를 느껴 자대 대학원 진학을 생각중인데요.
처음 공기업으로 진로를 결정한 이유는 에너지를 많이 소모하지 않으며 안락하고 조용한 삶을 살고 싶었기 때문이었지만 직장생활을 해보니 노력이 없으면 보상도 없다는 것을 크게 느끼고 있습니다.
또한 입사 후에는 좋은 워라벨을 이용하여 편히 직장에 다니며 타 공기업 이직을 생각하였으나, 취업시장이 갈수록 막막하기도 하고 타 공기업으로 이직하더라도 유의미한 일을 하기 힘들고 별다른 성장이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물론 서울에서 생활하기에는 적은 보수 또한 이러한 생각이 드는데 미친 이유 중 하나입니다. (저는 지방 출신입니다)
스스로 생각하였을때 돈을 크게 많이 벌고 싶다거나 회사를 다니며 여러가지 부업을 하고 싶지는 않고, 한 분야의 전문가가 되어 그 일에 몰두하는 것이 나은 성격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또한 쉬는날에 나가서 사람을 많이 만나거나 소비를 하러 돌아다니기 보다 집에 있거나 운동을 하며 시간을 보내는 편입니다.
현재 27살이고 대학원에 진학한다면 석박통합과정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학부시절 전기전자공학부에서 들었던 수업들 중 전력계통과 전력경제 쪽에 흥미를 느껴 자대의 주성관 교수님 랩실에 관심이 있는 상태입니다.
가정환경은 넉넉하지는 않지만 중산층 정도 된다고 생각하고
부모님께서도 대학원으로 간다면 지원해 주실 수 있고 퇴사하고 대학원으로 가기를 조금 바라시는 상황입니다.
현재 제가 다니고 있는 직장을 그만 두고 대학원으로 진학하는 판단, 괜찮을까요?
조언부탁드립니다.
퇴사 후 대학원 진학 고민 김GPT 5 20 2109
퇴사후 대학원가는거 어떻게 보시나요? 김GPT 2 7 1849
사기업 퇴사 후 대학원 진학 김GPT 1 5 5426-
1 13 2492
자퇴할까요? 김GPT 1 8 3036
퇴사 후 대학원 진학 김GPT 0 5 533
퇴사 후 대학원 진학 김GPT 1 6 3799
학연 자퇴 후 다른 곳 입학 고민 김GPT 1 4 362-
0 4 837
박사과정 밟으면서 점점 드는 생각들 명예의전당 273 43 45031
박사 8학기 자퇴... 2년뒤 후기 명예의전당 527 41 87029-
109 53 112883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우울주의) 실패에 대하여
137 - 대학원 수준이 너무 높아서 힘듭니다
74 -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87 - 직장에서 도망친놈 받아주면 안되는 이유
65 - 제대로된 지도를 받고 싶으면 신생랩을 가
40 - 첫 citation 뽕맛이 엄청나네요...
95 - 괴수랩 장점을 알아챔
25 - 새로 들어온 석사 친구가 괴물입니다.
12 - 맘편히 연구할 수 있게 밥주는 대학이 내게는 명문대다
15 - 원자력연구원 섹스충
13 - 석사졸업 임박 지도교수 무리한 요구
6 - 음... 쓸까말까 고민... 10년전 이야기...
23 - 교수님 조카랑 한판 함
11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지도교수 배정을 입학 후 거절하는 게 흔한 일인가요?
12 - 이제 누구한테 논문 넘겨주고 이런 거 못하겠네
16 - 여러분들은 코딩 능력이 필요 없어질거 같으신가요?
13 - 학부연구생 저자 제외 관련 질문입니다
27 - 교수 승진 요건에 학생 졸업 있나요?
7 - 의대 자퇴 고민중입니다.
23 - 교수 인성은 그냥 그밑에 몇년 구른 박사 보면됨
8 - 공동 1저자 순서 중요한가요?
10 - 논문 투고 후 실수 발견
11 - 다른 랩 갈때 메일 어떻게 써야 하나요..?
6 - 컨택만 하면 서울대 입학이 그렇게 쉬운가요?
9 - 포닥과 포닥지도교수 관계?
6 - 제가 mz인건가요 선배가 꼰대인건가요
7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우울주의) 실패에 대하여
137 - 대학원 수준이 너무 높아서 힘듭니다
74 -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87 - 직장에서 도망친놈 받아주면 안되는 이유
65 - 제대로된 지도를 받고 싶으면 신생랩을 가
40 - 첫 citation 뽕맛이 엄청나네요...
95 - 괴수랩 장점을 알아챔
25 - 새로 들어온 석사 친구가 괴물입니다.
12 - 맘편히 연구할 수 있게 밥주는 대학이 내게는 명문대다
15 - 원자력연구원 섹스충
13 - 석사졸업 임박 지도교수 무리한 요구
6 - 음... 쓸까말까 고민... 10년전 이야기...
23 - 교수님 조카랑 한판 함
11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김박사넷 | 미국 Virginia Tech 신임 교수 초청 웨비나
129 - 지도교수 배정을 입학 후 거절하는 게 흔한 일인가요?
12 - 이제 누구한테 논문 넘겨주고 이런 거 못하겠네
16 - 여러분들은 코딩 능력이 필요 없어질거 같으신가요?
13 - 학부연구생 저자 제외 관련 질문입니다
27 - 교수 승진 요건에 학생 졸업 있나요?
7 - 의대 자퇴 고민중입니다.
23 - 교수 인성은 그냥 그밑에 몇년 구른 박사 보면됨
8 - 공동 1저자 순서 중요한가요?
10 - 논문 투고 후 실수 발견
11 - 컨택만 하면 서울대 입학이 그렇게 쉬운가요?
9 - 포닥과 포닥지도교수 관계?
6 - 제가 mz인건가요 선배가 꼰대인건가요
7
2023.11.13
2023.11.13
2023.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