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취업을 할 때 타분야 학부인턴 경험은 전혀 필요없는 것일까요?

2023.11.05

8

1639

현재 화학공학과 재학중인 학생입니다. 2학년 2학기 시작과 동시에 학부연구생 시작해서 1년 이상 근속하고 교수님 포함한 모든 인원들과 매우 원만하게 잘 지내고 있습니다.
원래는 대학원을 이쪽 분야로 가려고 학부연구생을 일찍 지망했고, 운좋게 교수님께서 받아주셔서 시작하게 되었고 6개월 차에 좋은 기회로 독립연구를 진행하게되어 현재 8개월 이상 혼자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부모님께서 대학원보다 취업하기를 희망하시는데, 이렇게 되면 제 전공분야는 학부로만은 취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진로를 틀어 아예 모르는 분야로 취업 준비를 해서 입사해야합니다… 이 때 학부연구생 경험과 그 안에서 랩매니징을 하는 등의 경험은 아예 자기소개서에 쓰지 않아도 될 정도로 쓸모없는 경험일까요…? 물론 쓸모없는 경험은 존재하지 않겠지만 그래도 지금이라도 진로 생각을 해보고 현명하게 결정하는게 좋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3.11.05

뭐든 경험을 잘 풀어서 어떤 도움이 될지 어필하는게 좋죠 회사 입장에서는 전문성보다는 그 과정과 성향을 보니깐요

대댓글 2개

2023.11.05

아무래도 회사에서 갓 대학 졸업한 스물넷짜리를 뽑을 때는 실력이나 전공숙련도보다는 역량이나 이런 것을 위주로 보겠죠…? 그런데 예를들어 이차전지 회사라면 같은 학부연구생 경력이라도 전지를 만들어보고 사이클을 돌려본 사람을 뽑지 발효기 돌리다 온 학생을 안 뽑울 것 같아서요 ㅠㅠ
너무 걱정됩니다 ㅠㅠ 제가 대학원 생각만으로 현재 국내 플로우를 못 탄 것 같아 걱정이 많아집니다 ㅠㅠ

2023.11.05

어느 분야를 가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제가 말씀드리고자 하는 것은 일반 신입을 뽑을 때 주목하는 것은 이 사람을 뽑아서 써먹을수 있는가가 주 포인트입니다. 따라서 써먹을 직무와 관련된 직무 경험이 있는지가 관건이고 이해할 역량이 되는지를 보겠죠. 아무래도 전공 세부분야가 다르다면 차선으로 밀리는 후보가 되겠지만 적어도 일반 학부생과 비교할때는 연구 경험이 있다는게 강점이 되겠지요 결국 님이 어떤점에서 도움이 될수 있는지 생각해보면 좀더 답을 도출하기 편하실것 같습니다

2023.11.05

윗댓은 무슨 90년대 이야길 하네ㅋㅋㅋ회사가 학교도 아니고 무슨 전문성 보다 과정 성향을 봐요ㅋㅋㅋㅋ 모르면 좀 가만히 있던가ㅋㅋㅋ요즘 적합성 안 맞으면 뽑지도 않고 관계없는 스펙들고오면 오히려 감점요소로 봄

대댓글 3개

2023.11.05

ㅇㅇ 회사가 학원도 아니고

2023.11.05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ㅇㅇㄹㅇ알지도 못하면서 이상한 조언하는 애들 너무 많음

2023.11.06

석사가 아니고 학부졸이라잖아요. 학부마친애들한테 세부전공을 구분한 전문성을 요구할 정도면 얼마나 기존인력이 부실한 회사인가?

2023.11.06

전문 지식이 아니고 태도와 역량을 봅니다. 학부 4년동안 얼마나 많은 전문 지식을 쌓을 수 있겠으며, 회사 업무에 얼마나 도움이 되겠습니까?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