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재밌는 글들이 많네요.

2020.06.25

15

8497

안녕하세요. 저는 과기원 석박 졸업 후 기술 창업하여 회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김박사넷은 예전에 저희 지도교수 평점 매기면서 알았었는데 이런 게시판도 있었네요 ㅋㅋ


다들 많이 힘드실텐데 화이팅 하세요.


다만 글들을 읽으며 걱정됐던 것은 지나친 교수비하 및 신세한탄은 미래에 큰 도움이 안될 것 같다는  점입니다. 


뭐 술안주 수준의 가벼움이면 상관없겠으나 여기 있는 글들을 진리처럼 여기면 자신들이 피곤해질거 같아요 ㅋㅋ


창업한 교수님들 글도 많던데... 저도 교원창업은 매우 반대하는 편이지만 그게 대학원생들을 직원으로 갈아넣는 이유가 아닌 특허 및 연구 성과에 대한 학교 vs 회사의 불분명함 등이 있어 반대합니다.

그리고 목숨걸고 하는 창업인데 겸직이 가당키나 하냐는 생각도 있고요.

무튼 x뺑이 잘 치시고... 언능 대학원 탈출하여 자신이 하고 싶은 일 하며 살길 바랍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2020.06.25

....저 졸업하면 데려가주세요....
한국의 꼰X같은 대기업 경험해봤는데 너무 싫어요....
배나온 꼰X들이 갈구는거 경험 안해보면 몰라요...

월급 너무 작지 않으면되고, 그냥 일만 하게 해주세요...
분야만 맞는다면요

2020.06.25

화공, 환경분석 쪽입니다. 급여는 석사급은 4천, 박사급은 연 6천부터 시작이에요 (스톡옵션 +@) 졸업 먼저 하시고 나중에 관심있으시면 쪽지 주세요. (쪽지 기능이 있나?)

2020.06.25

대학원생들 갈아넣는게 교원창업의 반대 이유가 아니라고 생각하신점은 어떤 점 때문인가요?

2020.06.25

화공, 환경분석 분야라면 주로 어떤업무인가요?
정확하게, 제가 기계공학 학사/석사 학위는 취득했습니다.
기계 학사는 인서울 중위권, 기계 석사는 인서울 상위권 에서 했네요.
외국계 대기업 다니다가
추가로 컴퓨터 싸이언스 분야로 다시 시작해보려고....다시 석사로 입학예정입니다.
나이가 많아서 고민이 많던 찰나에 ㅎㅎ

2020.06.25

영리 회사에서 적은 인건비로 최대의 효율을 내는것이라 크게 반대하고 싶지는 않아요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면), 그리고 본인이 선택한 결과이기도 하고요. 단 제가 제시한 의문은 실제 정부과제로 나온 연구 결과 및 연구성과 (이윤) 등이 교원 창업회사에 온전히 돌아갈 것인가 아님 어디까지를 학교에 배분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는 (지적 재산권 분쟁) 법적인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Sima Qian*

2020.06.25

특허 및 연구 성과에 대한 학교 vs 회사의 불분명함 ->

현재는 겸임교수로 계시는
S대(*bs) 교수님이 유명하시죠. 뉴스에도 나왔고요.

그리고 그걸보고... 나머지 교수들은 반면교사 삼아서 안 걸리도록 최선을 다하더군요 ㅎㅎㅎㅎㅎ

우리나라는 교수창업 못하게 막아야 합니다.
하려면 교수 때려치우던가.

2020.06.25

분석화학 장비를 만드는 일이라고 보시면 돼요. 컴퓨터 사이언스 분야라면 AI 인가요? 사실 AI까지 하고 있으나 이윤창출은 의문점이 있어서 회사 SW 부서는 축소하려 합니다.

2020.06.25

Sima Qian

네 저도 그 사건이 제일 큰 사건이라고 생각해요.
저도 님 의견에 대부분 동의합니다.

다만 이 문제가 법적으로 문제를 삼으면 어떻게든 문제를 삼을 수 있는 부분이라 깔끔하지 않고 더러운 느낌이네요. (그레이 존이라고 하죠?)

2020.06.25

장비를 만드는 일이라면, 기계장비 설계/해석이 들어가겠네요?
제가 기계석사 전공이 CAD/CAE 입니다. 외국계 기업은 S로 시작하는 외국계인데..들어보신적 있을거에요..

컴싸 석사는 아직 시작안했어요.

2020.06.25

Henrik Ibsen

네, 그리고 화학분석 장비를 드론 station에 넣는 일도 진행하려고 합니다. 전공관련 논문을 알려주시면 한번 볼게요.

2020.06.25

2027년에 이글에 댓글달면 데려가주시나요?

2020.06.25

아닙니다 ㅜ 진지하게 답변 달아주셔서 저도 곰곰히 생각해봤는데....
저는 공부를 좀 더 해보려고 해요!
답변&반응은 감사합니다.

2020.06.25

학교가 이윤을 추구하기 위해 학위를 주는게 아니라는걸 생각하셔야지 않을까요
단순히 싼값에 이윤을 추구하는것을 효율적이며 정당하다고 생각하는건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네요
저는 대학원생을 교원창업에 갈아넣는게 학생의 학습권 침해에 해당한다고 생각합니다
창업 때문에 논문도 못쓰고 졸업도 늦어지니까요
또 위와 같은 이유로 스탠포드에서는 교원창업에 학생 및 주니어교수들 참여를 금지 시킵니다
국내 대부분학교에서도 학생 참여 금지 규정 적용하는 곳도 많고요

2020.06.25

아 bs라 하길래 내가 아는 교수 말고또 있나 해서 이니셜인줄 알았네ㅋㅋㅋ
Bertrand Russell*

2020.06.25

교수가 창업하는걸 막아야 하는건. 랩실이 아니라 본인 스타트업 회사로 만들어서 그럼.
게다가 퇴직금, 4대보험, 산재보험 등등 안줘도 되는 노예로 대학원생을 굴리고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