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 학사 졸업 후, 서울 수도권 석사 졸업, 박사 수료(석사와 동일한 학교 및 전공)한 공대 찌질이(30 중반)입니다.
학사도 국립대도 아니고 정말 이름없는 학교 나와서 운좋게 석박 잘 마쳤고, 랩실에서도 교수님이 큰 차별없이 잘 디해주셨습니다. 결정적으로 제 연구성과도 나쁘지 않았고요(랩생활, 논문 퍼블리시, 연구과제 참여 등).
다만, 교수님도 자대생과 타대생 둘중하나를 챙겨야하는 상황 또는 그들간의 갈등상황이 오면 팔이 안으로 굽긴 하더군요, 근데 뭐 그런 상황에서까지 성인군자처럼 굴기를 바라지도 않습니다. 당연하다고 생각하고 이의제기하거나 얼굴한번 붉힌적 없습니다.
근데 문제는 제가 내면에 품고있는 '지방대출신이라는, 이 찌질한 열등감'이더군요. 그냥 모든 상황에서 제가 져주고 들어가는게 익숙해지고, 그런 제 자신이 한심스럽지만 고쳐지질 않아요.. 누군가가 학부를 물어보는 상황 자체가 너무 공포스럽기까지 합니다.
그걸 감추려고 ㅈㄴ밤새고, 연구결과 뽑아내고, 제 덕에 같이 co-author되는 친구들도 많아지고 인정받는 것도 한순간이고. 이 멍청한 열등감이 가시질 않습니다.
급기야는 학사를 다른 전공으로 다시 가고 싶다는 생각도 듭니다. 이 자격지심에서 벗어나는 유일한 길이라는 생각에 이 길을 도저히 떨치기가 힘드네요.
제 고민은 학사를 다시하는게 맞을까, 라는 겁니다. 혹독한 조언도 달게 듣겠으나 개인적 비방이나 욕설은 자제 부탁드립니다.
+현실적으로 부모님과 함께 거주하고 있어서 경제적으로 어려움도 없거니와 여자친구도 이런 제 상황을 알고, 결혼은 본인도 아직 이뤄논게 없어서 좀 늦어도 되니 하고싶은거 하라고 합니다. 뭐..결혼 포기한걸수도 있겠지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9개
멍때리는 레온하르트 오일러*
2023.08.28
이 정도면 한국 사회가 문제인거. 지금 학사를 다시하는건 아무리 한국이라도 가치가 없다 봅니다. 차라리 박사 유학을 가신 뒤 미국서 정착하시는건 어떠세요? 능력만 보여주면, 한국 학사, 나이 아무것도 문제 되지 않습니다. 연봉도 한국보다 셀거구요
조용한 마이클 패러데이*
2023.08.28
한국만 학부학벌을 무슨 신라시대 계급마냥 나눕니다. 아니, 고등학교 수능점수로 인생이 결정되었다면 수능을 10번이라도 응시했겠죠. 시약은 미약했으나 끝으로 갈수록 퍼포먼스를 보여주는 인재를 사회에서 응원해주고 격려해주는게 맞지않나요? 학부학벌은 바뀔 수 없으니, 해외에서 활동하시면서 더 넓은 세계에서 실력을 보여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결국에 한국도 학부학벌로 인하여 자멸하는 과정이라, 차라리 해외에서 큰 업적을 보여주시는 게 개인적으로도 득이라 봅니다
2023.08.2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전문직이나 고시를 붙는거 말고는 현재 극복할 방법이 없어보이네요
대댓글 1개
2023.08.2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뭐든지 사회에서 일반적으로 S대 잡학부보다 하기 어렵다고 여겨지는걸 해보시는게?
2023.08.28
네이쳐 한편 쓰면 해결~
2023.08.28
스스로 마음의 문제네요. 하지만 이리저리 생각해봐도 학사를 다시 하는 건 글쓴이를 위한 길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재고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대댓글 1개
2023.08.28
맞습니다. 저조차도 스스로의 병적 집착같은거라고 생각하거든요. 좀더 깊게 고민해보겠습니다. 조언감사드립니다.
2023.08.28
사실 국내에서 유독 학부에 대한 집착 + 대학원은 세탁이다 라는 이미지가 강한게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이공계에 한해서는 실적좋은 사람들이면 학부가 안좋아도 spk나 타좋은학교에 임용되는경우는 많습니다. 다만, 그런사람들도 본인스스로가 생각하는게 바뀌지않는이상 학부컴플랙스는 계속될수밖에 없습니다. 애초에 학계로 가면 대다수가 학부가 spk가 되는것도 사실이고요.. 제 동료교수도 학부는 안좋은곳을 나왔지만, 그외 실적/경력은 정말 훌륭합니다. 애초에 괜찮은대학 임용시장에서 낮은학부로 살아남은것 자체가, 어느정도 그사람의 경력/실적을 반증하는것도 있꼬요. 그럼에도 그 친구도 학부에 대해서는 웬만하면 말 안하고 싶어하더라고요. 사석에서 말할때보면 그냥 미국에 R1대학 임용을 할 기회도 있었는데, 거길 갈걸 그랬다는 말을 들은적도 있네요.
대댓글 1개
2023.08.28
제가 겪어보지못한 경험담과 목격담으로 조금이나마 용기가 생기네요. 더욱더 정진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2023.08.28
열등감은 자기가 가지는거니까 그냥 그대로 받아들이세요 자기 능력이 충분하고 노력했다고 생각하면 되는거죠.
대댓글 1개
2023.08.28
받아들이라는 말씀이 참 현실적이고, 제가 해낼수있는 가장 빠른 길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조언 감사합니다!
IF : 1
2023.08.28
아직 박사 졸업도 안했는데 30대 중반에 학사를 다시 하는 건 정말 어리석은 짓입니다. 지방대 학석박으로 어린 나이에 S대 최근에 임용되신 분 있습니다. 이 분은 학벌만 빼고 논문 실적과 경력이 다른 경쟁자를 압살하는 수준입니다. 이를 참고하여, 원글자분도 자신의 열등감을 강력한 동기삼아 연구 결과물을 내는데 쓰세요. 그냥 연구성과 나쁘지 않은 수준이다 정도가 아니라, 국내에서 나를 이길 사람이 없겠다 싶을 정도로 압도적인 실적을 내는데 집중하세요. 학사 다시 시작하겠다 정도의 병적인 집착 에너지를 잘 활용하면 충분히 가능할 겁니다.
그리고 이건 다른 이야기지만, 나이 40, 50 넘어가보세요. 학벌이니 뭐니 그 딴거 하나도 안 중요하구요 (심지어 연구실적도). 돈이 더 중요하다는걸 알게 될 겁니다. 정신 차리시고 하루라도 빨리 졸업하고 빨리 취업하시고 돈 버세요.
대댓글 1개
2023.08.28
도움되는 말씀 고맙습니다! 돈이 중요하다는 말이!! 와닿네요ㅎ 좋은 조언 잘 새기고 정진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IF : 2
2023.08.28
홍콩과기대 부교수와 네이버 AI 조직 헤드를 거쳐 현재는 업스테이지라는 AI 회사를 창업하신, '모두를 위한 딥러닝' 강좌로 유명한 김성훈 교수를 아시나요? 이분은 구미전자공고와 대구대 전자공학과 학사를 졸업하셨습니다. 스스로 길을 만들어나가는 사람이 된다면, 학교 이름은 나를 뒤따라오는 것이지 내가 이름에 끌려가지 않게 됩니다.
2023.08.28
현대 정주영, 김대중 대통령, 토마스 에디슨, 벤자민 프랭클린, 신사임당 과거못봄, 이순신 문인 사회에서 무과급제, 김구 과거낙방, 등등등 너무만음.
2023.08.29
안녕하세요. 저도 지방대 학사 출신인데 현재 서울 K대에서 석사 잘 마치고(논문 2개 퍼블) 직장생활 하다가 다시 박사 5학기차 진행중인 사람입니다. 현재는 논문1개 리뷰중이고 2번째 논문은 9월달에 투고합니다. 논문은 다다익선으로 높은 밸류로 써보고 졸업하려고 합니다. 저도 작성자님처럼 지방 지잡대라서 제 성과에 더 몰두하게 되었습니다. 어쩃거나.. 보여줄건 실력 실적 밖에 없으니까 말이죠.. 열등감이나 자격지심 같은거 말씀하시는데 전 성과와 실적이 있다면 충분히 커버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높은 밸류 학사 친구들이 대학원생활 하면서 꼭 좋은 성과를 내지 못하는 점을 빗대어 보면 말인거죠! 아무쪼록 자신감 가지시고 서로 승승승장구 해봅시다.
2023.08.29
아무쪼록 연구하신거 잘 정리해서 박사 학위를 받으시고, 미국으로 포닥 나오셔서 성과내시면 자존감이 올라가지 않을까요? 지거국 학사받고 해외석박하고 포닥하는데.. 연구분야에서 좀 알아주는사람?이 되니 학부컴플렉스가 줄어들더라구요. 지금은 출신학교보다는 박사PI가 누구엿냐에 따라서 부러운 기분이 들기도 하지만요... 저는 이나라 저나라 다니다보니 글쓴이분하고 나이는 비슷한거같은데... 연애는 할 틈도없고 할 기회도 없엇네요 ㅠㅠ 흑
2023.08.29
30대 중반에 학사를 다시 간다고요.....최악의 선택같은데요, 취업을 생각하셔야 하는 시기같습니다만....다들 안좋게 볼겁니다...
2023.08.28
2023.08.28
2023.08.28
대댓글 1개
2023.08.28
2023.08.28
2023.08.28
대댓글 1개
2023.08.28
2023.08.28
대댓글 1개
2023.08.28
2023.08.28
대댓글 1개
2023.08.28
2023.08.28
대댓글 1개
2023.08.28
2023.08.28
2023.08.28
2023.08.29
2023.08.29
2023.08.29
2023.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