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연구실을 정해야하는데 조언 부탁드립니다.

2020.06.17

6

7089

안녕하세요, 지금 한창 연구실 알아보고 있는 신입생 입니다.

제가 지금 합격한 학교에 지원할 때 이유 중 하나였던 연구실이 있습니다.

최근 논문 주제가 정말 꼭 제가 관심있던 거라서, 유기합성에서 다공성물질의 촉매적 활용인데요.

저는 다공성 물질의 합성과 다른 특성에 대해 공부 했었고, 그러다 그 물질의 촉매적 활용에 관심이 생겼거든요.

그래서 가고싶었던 건데 알고보니 연구실은 촉매를 활용한 유기합성이 주인 곳이었습니다.

대학원생들과 포닥 분도 유기 전공이시구요, 

교수님께서도 그 다공성 물질을 직접 연구에 사용하신건 포닥때부터시라고 합니다.

그리고 신생랩이구요...

학교의 다른 연구실에서는 다공성 물질이나 촉매에 대해 배울 수 있는곳이 따로 없는 것 같구요...

주변에서는 신생랩이라는 것 만으로도 재고해보라고 하고요..

제가 아예 촉매에 대해서 잘 알면 덜 고민했겠지만 저는 아무것도 모르기때문에 걱정이 됩니다.

어차피 박사까지는 자기가 하고싶은걸 할 가능성이 낮고 배운다는 생각으로 연구실을 정하라던데,

이 연구실에 가고싶다고 교수님께 연락을 드려봐도 될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0.06.17

제가 난독인가요 ㅜ A,B,C,D라는 표현은 그렇다치더라도
A의 B적 응용, B를 활용한 C가 주인 곳...
이런 표현들 너무 이해가 안되요...ㅜㅜㅜ

2020.06.17

아 ㅜㅠ 넘 상세하게쓰면 좀 그럴거같아서 ㅜㅜ 이해가 많이 힘드시면 그냥 솔직하게 써야할까요? ㅠㅠ

2020.06.17

제가 이해한게 맞다면,

연구실 : B,C위주로 연구하지만 A,D도 조금하는거고
글쓴이 : 애초에 A,D를 주력으로 했었고

그래서 A,D를 메인으로 삼고 싶은 글쓴이가 이 연구실에 가는게 맞나 이고민하는거죠?

2020.06.17

글 수정했습니다 ㅜ 어렵게 써서 죄송해요

2020.06.17

세부적인 생화학적 지식은 저는 없어서 뭐라 직접적인 말씀은 못드립니다만,

저는 결론적으로 가는것을 추천합니다.

이유1. 그 어느 누구도 자기가 원하는 연구를 할 수는 없다.
이건 교수되서도 마찬가지입니다. 교수가 A연구를 하고싶다고, 펀딩(국가 혹은 기업)을 교수 입맛대로 따오기란 쉽지 않습니다. 하고싶은분야60~70%에 세상이 원하는 연구 30~40%는 꼭 껴있습니다.

이유2. 초반엔 고생좀 하겠지만 결국에 버티고 잘하다보면 마지막 결실이 좋을수있다.
글쓴이가 하고픈 분야를 연구실에 다들 처음이나 초창기에 하다보니 서로 버벅거릴수는 있다. 하지만 이게 시간이 흘러 서로서로 내공이 쌓이면 거대한 실적이 될수있다. 게다가 기존 경험/지식과 맞물리면 시너지 날수도 있다.

이유3. 다른 대안이 없다. 있더라도 만들려면 한학기/6개월 지나야하는데, 이는 시간낭비다.

2020.06.17

@Giorgione 친절한 댓글 감사합니다..2가 성립하려면 제가 열심히 뿐만 아니라 잘 해야할텐데 걱정이 앞서네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