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nature communication, science advances 이런데 IF높다고 좋아하는데
미국이나 유럽 애들은 IF 좀 낮아도 근본 있는 저널 더 선호하더라고요
걔네들이라고 저런 저널들에 안내는건 아닌데 되게 무시하고 뭔가 정 안될 때 저런데다 내는 느낌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4개
2023.06.2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래서 미국 유럽애들이 그렇게 하니까 우리도 뭐 그렇게 해야된다는거임? 애초에 네컴 같은 저널이 무시당하고 정안될때 내는 저널이라고 말하는거임? 말투에 사대주의가 그냥 ㅎㅎ
대댓글 3개
무기력한 존 롤스작성자*
2023.06.29
뭐 어떻게 하라고 한적 없습니다만? 니 알아서 하세요
2023.06.2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왜? 네컴 에디터 리젝받고 화났니?
무기력한 존 롤스작성자*
2023.06.29
?? 화는 님이 나신것 같은데
엉뚱한 아인슈타인*
2023.06.29
미국인데 네컴 겁나 좋아함... 분야 무관 어떤 교수를 만나도 좋은데 퍼블리쉬했다고 축하해줌
2023.06.29
한국에서 자리잡으려면 IF높은데로 내려고 해야죠. 그런거 초연해지려면 정교수는 되야지... 가능하면 노력대비 IF높은곳에 내는게 뭐 어떻습니까. 한국이 고쳐야할거는 극단적인 이분법적 줄세우기와 비교입니다. A도좋고 B도 좋다는 마인드가 부족함..
2023.06.29
한국도 근본저널 억셉 받을수 있으면 근본내요 거기가 더 어려워서 그렇지
대댓글 1개
2023.06.29
이 댓글이 정말 맞음 한국 교수들도 대부분 해외박사던 포닥 따고 온사람들이 대부분인데 저널을 모르는것도 아니고.. 그냥 근본 전통 저널 내기 힘드니까 못내는거지..
2023.06.29
뭔소리임 나이있는 분들은 본인 이너서클들어가 있는 오래된 정통저널 내는거지 보통은 if 더 중요시 여기는 곳이 미국임. 논문 낼 때 그냥 분야 if 랭킹 줄세워서 냈는데.
2023.06.29
미국 쪽 나노 소자 하는 랩에선 nature comm이나 sci adv는 IF에 관계없이 좋은 논문이라 인정합니다. 솔직히 저는 이 논문들의 IF가 논문 질이나 리비전 과정에 비해 좀 낮은 거 같아요. 반면 Wiely계열은 IF가 너무 인플레가 심한 것 같아요, 미국에서 이 저널들이 scam같다고 욕하는 교수님들도 봤어요.
2023.06.29
유럽에서 있었는데 물리는 prl pr 시리즈 선호
그냥 사람들이 많이 보는곳이면 괜찮다고 생각하고, if높고 처음보는 저널에 대해 안내려하는 경향이 있는 듯 함.
2023.06.29
누가 넷컴 사어를 팩터높아서 좋다고 생각함..??
2023.06.2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여기 애들 (해외 경험 없는 교수 포함) 한테 백날 얘기해봐야 평생 이해 못함 ㅋㅋ
IF : 2
2023.06.29
예시를 잘못들어서 좀 그런데 틀린말은 아님 해외에서도 네이처나 사이언스 자매지들은 다 좋아함. 공학쪽에서는 IEEE Transactions 계열도 왠만하면 다 좋아함. 이유야 뭐 그 저널계열은 전반적으로 다 평판이 좋고 대체적으로 qc가 잘되기 때문. 미국 유럽 다 경험했는데, 내가 본 사람들은 거의 다 IF보다는 평판높은 저널을 선호함. 특히 신생저널인데 IF만 높으면 잘 안내는건 사실임.
만만한 장자크 루소*
2023.06.29
미국도 네컴 사어 좋아하는데요 ㅋㅋ
2023.06.29
IF 드럽게 따지긴 함. 수학은 Q1 저널 거의 절반이 개뻥튀기 아님 약탈저널인거 같은데 그런데만 골라서 쓰는 사람들 진짜 많음... sh는 물론 서울 k에도 있는거 같더라.
2023.06.29
넷컴 사어보다 예시를 드실거면 IF 뻥튀긴 된 다양한 저널들을 말씀하시는게 좋죠.. 그것과 별개로 국내에서는 임용시 IF를 많이 보기에 어쩔수가 없습니다. 백날 분야에서 알아주는 저명하지만 IF낮은 Transaction 계열 논문써봤자, NCS 자매지 있는 사람이 유리한게 국내 임용시장이에요. 우리나라는 JCR 상위 몇프로에도 집착을 너무많이해서.. 좀 안타깝다고 생각도 합니다. 게재난이도 쉬운데 IF뻥튀기 되서 JCR 높은 논문이 가성비가 가장 좋죠..
대댓글 1개
2023.10.31
JCR상위 중에 보화찾기가 정답 맞죠 ㅎㅎ
2023.07.01
PRL 저널 같은 경우도 IF는 9 점대이지만 물리전공자들은 게재하면 자부심을 가지죠. 아인슈타인도 이 저널에 투고해서 게재를 했으니깐요~ 요즘은 중국인들이 너무 많아서 IF를 그대로 믿어야 하나... 의문이 듭니다.
2023.07.01
놉. 결국 미국 유럽 애들도 네이쳐 사이언스 자매지 좋아해 ㅋㅋㅋㅋㅋ
대댓글 1개
2023.07.01
그리고 넷컴이나 사어를 언제부터 if보고 써 ㅋㅋㅋ if 내기 엄청 힘들고 에디터들도 까탈시러운디
2023.07.01
의학계열에 있는 사람으로서, 백번 동의합니다. 의학계열은 IF에서 코로나 인플레이션이 너무 심해져서 코로나 이전에 2~3점 아래거나 만들어진지 5년도 안 된 하급/신생 저널들이 중국 코로나 논문 펌핑을 받아 2021 JCI 부터 10점을 훌쩍 넘긴 경우가 많습니다. 그럼 그런 저널에는 유독 한국인 논문들이 넘치기 시작합니다. 주변에도 보면 그런 저널에 publish 한 것을 성과라고 자랑하는 사람들도 있고요. 한국의 Impact factor를 신봉하는 풍토를 보여준다고 생각합니다.
2023.07.02
임용이나 연구비 심사 할때 점수화하기 편해서 그렇지요. 사실상 논문을 저널 상관없이 공정하게 정성평가하기 어렵기도 하고요.
2023.06.29
대댓글 3개
2023.06.29
2023.06.29
2023.06.29
2023.06.29
2023.06.29
2023.06.29
대댓글 1개
2023.06.29
2023.06.29
2023.06.29
2023.06.29
2023.06.29
2023.06.29
2023.06.29
2023.06.29
2023.06.29
2023.06.29
대댓글 1개
2023.10.31
2023.07.01
2023.07.01
대댓글 1개
2023.07.01
2023.07.01
2023.07.02
2025.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