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단순히 남에게 지식을 설명 잘하려고 대학원을 가는거면 애초에 마인드가 잘못된 듯 하네요. 결국 지금 chat gpt에 질문하는 주체는 우리잖아요. 현재 존재하는 지식으론 설명할 수 없는 질문을 하고 그 답을 하려고 연구하는 건데요. 글쓴이는 chat gpt가 대답할 수 있는 질문을 하려고 연구합니까? 그런거면 스스로가 연구하기에는 호기심이 많이 부족한거에요.
솔직히 AI가 님들보다 똑똑한데
16 - 쩝 이런걸 질문이라고 하시는 이유가 뭐죠?
지방대 박사 vs SPK 학부 3학년
22 - 무슨 초등학생들이 디지몬이 쎄냐 포켓몬이 쎄냐 비교하는거같음
지방대 박사 vs SPK 학부 3학년
11 - 다 본인 페이스가 있는거지 뭔 휴식없이 사람이 어떻게 굴러감. 굴러간다고 생각하면 그건 본인 착각임.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27 - 난 주말에 연구하는건 당연하다고 생각하긴 하는데 강제하는건 문제가 있을듯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12 - 닥쳐 좀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11 - 아이디어 차원인건 SKY 학부생이 더 획기적인걸로 output 할 수 있다고 봅니다만, 보고서, PPT, 논문 작성 등은 박사가 잘하지 싶네요.
순수 아무 도움/조언 없이 혼자 스스로 다 한다면요;
아직 학부생인거 같은데 아직 인생 얼마 안살아보셔서 수능 잘치고 SKY간 사람이 만능처럼 보이나 본데, 그 사람들의 노력을 폄하하는건 절대 아니고 인정하지만, 연구랑 수능은 다릅니다...
그리고 내가 볼 때 글쓴이는 훗날 박사과정하다 포기하거나 빌런 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보임; 생각 수준하고 정신연령이 딱 사춘기 온 중2~3정도네요;
지방대 박사 vs SPK 학부 3학년
10 - 모든 사람은 능력이 다릅니다. 남들과 비교하면 본인만 불행해져요. 모두가 다 천재가 될 수 없어요. 자기 능력 인정하고 노력해서 성취할 수 있을만큼만 그만큼만 하면 됩니다.
박사급 능력의 석사생
21 - 미국에서 학부 했는데 어떤 학부생이 네이처 본지 1저자로 내기도 함. 비교하면 끝도 없음
박사급 능력의 석사생
15 - 아니 누가 쉬지 말랬나요? 주말에 공부도 안 하고 꼬박꼬박 쉬는 애들은 애초에 학문하고 어울리지 않는다는거지요. 도피성 진학해서 주말마다 노는 애들 괜히 찔려서 튀어나오네.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16 - 중딩급 능력의 박사생은 봤습니다
박사급 능력의 석사생
18 - 앗 취업 도피처가 아니었다고?!?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11 - ㅋㅋ 희대의 명언: 모든건 결과가 말한다.
주말에 뼈빠지게 나오고 새벽까지 해도 보고서 개판에 논문 안적고 실험 야매고 기초지식 없고.. 그러면 좋은 연구자는 아님.
성실한 연구자가 좋은 연구자랑 동일하지 않음. 이런건 선진국 문화를 받아드리는게 맞는듯. 미국은 철저히 실적주의임. 주말? 출퇴근 시간? 아무도 신경암씀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10
이차전지분야 진로 고민입니다
2023.06.12

지금 상황은
석사 희망, 학점: 3.8/4.5, 연구실 학부 인턴 경험(유기 OLED), 나노기술연구협의회 나노-소자공정 기초교육 수료 정도입니다,,!
저는 올해 초부터 이차전지 분야로 타 대학원 진학을 희망하여 알아보는 중에 대학 네임드와 향후 논문 실적을 생각해볼 때, 현재 학과에 존재하는 랩실을 가는게 맞을지 타 대학으로 가는 것이 맞는지에 대한 고민이 있습니다.
저는 현재 여러곳에서 리튬이온배터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수계아연전지 연구를 하고있는 추세라 판단하여 관심을 가지고 공부중에 있습니다.
이 분야를 유지한 채로 컨텍할 랩실을 찾아보니 유명한 이차전지 랩실은 티오가 없다는 답변, 무답변이 있었습니다,,!
아마 현재 학교 수준도 영향이 있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그리고 현재 학교에 있는 랩실의 상황은 포닥이후 처음으로 교수임명되어 몇개월 안된 상태이며 포닥시절 1저자로 NATURE에 기재된 이력이 있습니다(담당교수가 교신저자)
선배님들이라면
현재 학교에 남아 배우며 석사과정을 하는게 좋다고 생각하시나요
아니면 인기있는 랩이 아니더라도 타대학원으로 가서 학교 네임드도 올리며 실적을 쌓는게 좋다고 생각하시는지 여쭙고 싶습니다!!
선배님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제 성적과 상황에 대한 쓴소리도 달게 받겠습니다!!
지방대 석사 진학 고민중입니다. 김GPT 1 10 5724
자율주행관련 랩실 문의 김GPT 1 11 11630
대학원 다니면서 학사로 취준 김GPT 10 7 10825-
1 3 5823
자대대학원 가는 게 맞을까요? 김GPT 3 10 6659-
0 8 4964
이런 경우 대학원이 잘 안맞을까요? 김GPT 4 5 2193-
0 7 3515
대학원 석사 진학 자대vs타대 김GPT 1 12 1779
나는 포항살이 대만족 명예의전당 138 79 53344
나때문에 엄마가 포기한 것들 명예의전당 147 21 19591-
98 32 61164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73 -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36 -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71 - 드디어 제 석사 논문이 accept 되었다네요!
49 -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40 -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35 - [조언 요청] 재현되지 않는 연구와 조작된 데이터,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11 - (웃으라고 쓰는 뻘글) 교수님 속터지니까 한 소리만 할게요
17 - 카이스트 면접 끝나서 하는 말인데..
6 - 박사과정생 계속 하는게 맞을까요
6 - CCUS 연구 랩실 어디가 가장 실력있나요? 질문 및 추천
4 - 면접을 너무 망쳤는데 랩실에 합격여부 사전문의
6 - 2~3년 지난 한국형 딥시크 만든다고 떠들썩한거 나만 웃기나 ㅋㅋ
4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73 -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36 -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71 - 드디어 제 석사 논문이 accept 되었다네요!
49 -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40 -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35 - [조언 요청] 재현되지 않는 연구와 조작된 데이터,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11 - (웃으라고 쓰는 뻘글) 교수님 속터지니까 한 소리만 할게요
17 - 카이스트 면접 끝나서 하는 말인데..
6 - 박사과정생 계속 하는게 맞을까요
6 - CCUS 연구 랩실 어디가 가장 실력있나요? 질문 및 추천
4 - 면접을 너무 망쳤는데 랩실에 합격여부 사전문의
6 - 2~3년 지난 한국형 딥시크 만든다고 떠들썩한거 나만 웃기나 ㅋㅋ
4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3.06.12
대댓글 1개
2023.06.12
대댓글 1개
2023.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