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사립은 아니지..지사립운 수석해도 혹시라도 지사립출신 있으면 자대생 안 올까봐 안 뽑으시는데..
2023.06.02
둘 다 안뽑
2023.06.03
학점 비교는 적절치 않아 보임...
학교마다 학점기준이 많이 다르고 심지어 학교 내에서도 학점 기준이 많이 달라서 비교 어려움... -평점 A,B 비율도 학교별로 편차가 매우 큼... (A+만 제한하고, 성적장학금 줄이는 대신 A+B 100% 허용, 서강대 A+B 85% 등, 경북대 A+B 60~70% 등 너무 다양)
경북대졸업생으로서 설명하자면 -공대생들 상대로 교양과목 불이익(사실상의 문과 조공학점) 있어서 거기서 학점 많이 날아감... -석차도 의미가 없는게 편입생들이나 전과(또는 복전) 진행한사람에게 오히려 유리... -학점 기준도 10년에 한번이 아닌 몇년에 한번씩 바뀔 만큼 너무 잦아서 비교집단도 애매모호해짐...
대댓글 2개
슬기로운 로버트 후크*
2023.06.04
석차의 경우가 제일 정확하고
하지만 편입생들은 오히려 불리함. 2년동안 4년치 전공을 들어야되서.
전과나 복전은 전학과 학점이 높은 사람들을 받아주기때문에 전학과가 적성이 잘맞았으면 유리할수있어도 불합리한건아님
결론: 석차가 제일 정확하고 편입생은 불리함
2023.06.04
2년동안 4년치 전공이라고 하시는데 그 4년간 요구전공학점 수 체크는 해보신건가요? 4년치 학점을 2년동안 다듣는거도 아닌데...
유사과목 전공인정 안된다 하더라도 2년 내에 자교생들과 비슷한 조건으로 들을수 있는 학교가 경북대입니다.
그리고 전적대에서 잘 받은 학점은 포함시켜서 일방적으로 유리한 결과 받는거에 대해선 언급이 없으시네요.. 전적대가 A비율 높으면 차이가 많이 날턴데...
그런 조건으로 인해 높은 석차 가진 사람들 상당수가 편입생입니다.
그리고 학점 조건은 같은 강의를 듣는데도 사람마다 다른 상황(재수강 조건이 끼어있는거도 아닌 상태)... 같은 점수에 다른 학점을 받는데도 합리적으로 생각하는지 궁금하네요..
전과 복전 편입의 경우에도 받아주면 다라는 식으로 이야기하시는데 교양과목을 의무과목으로 지정해서 문과몰아주기하는 경북대에 그게 정상적인지도 궁금하네요. (반면 이공계에서 문과 쪽 교양과목 수강은 제한이 많이 걸립니다.)
다른학교면 모르겠는데 게시글이 부산 경북이라고 작성되어 있으니까 작성합니다.
2023.06.03
지사립은 학점은 의미없는거 아냐 어차피?
2023.06.04
어느 학교나 5등 안쪽인 상위권은 인재로 본답니다.
2023.06.04
전 후자를 높게 봅니다.
2023.06.04
보르헤스님이 언급하신 지사립 공대 재학중인데 편입이 답인가요?
슬기로운 로버트 보일*
2023.06.04
지방대 자체가 공부 안한 거임 걍 ㅋㅋㅋㅋ 그리고 지사립은 걍 3년 내내 처놀다가 원서만 쓰면 넣어주는 대학들인데 거기서 뭔 학점이 의미가 있나 ㅋㅋㅋㅋ
2023.06.04
지사립 4.0을 넘어서 과톱이 지거국 3.5겨우 되는게 현실입니다. 그리고, 그걸 다 떠나서 ㅋㅋㅋ 니들이 지방대 무시하는데 ㅋㅋㅋ 솔직히 학교수준이 낮은게 아니라 니들이 지방살기 싫어하는거임. 알겠니? ㅋㅋㅋ 지방대생 보면,학벌로 깔볼게 아니라 니들대신에 지방 살아줘서 고맙다고 절이라도 해. 걔네들 없으면 대한민국 망함.
2023.06.01
2023.06.02
2023.06.02
2023.06.02
대댓글 2개
2023.06.02
2023.06.02
2023.06.02
2023.06.02
2023.06.03
대댓글 2개
2023.06.04
2023.06.04
2023.06.03
2023.06.04
2023.06.04
2023.06.04
2023.06.04
2023.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