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1. GPA 보다는 연구 실적이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어차피 스탠포드와 MIT 연구실에는 GPA좋은 미국인들이 많이 지원합니다.
한국 설카포에서 받은 높은 학점(Summa Cum Laude)의 힘이 크지 않습니다.
CS학과 Summa Cum Laude라면 미국 AI대학원 진학 후 퀄을 쉽게 통과하고
코스웍을 잘 따라갈 가능성이 높죠.
그러나 컴공이 아니라면 GPA가 당신의 AI연구 적합성을 결정하지 않습니다.
2.
AI 연구는 GPU와 Pytorch로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즉, 대단한 연구 환경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작성자 분께서 미국 경험이 없더라도 한국 국내 랩에 컨택하여
Visiting Student Researcher나 석사과정을 수행하면서
충분히 논문을 쓰실 수 있습니다. 그 다음에 미국 탑스쿨을 지원해보세요.
3. 학점과 학벌에서 본인이 하위권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그렇다면 인턴쉽을 하면서 연구를 더 열심히 하시면 됩니다.
원래 인생에는 상승과 하강이 있습니다. 겁 먹지 마세요.
Stanford MIT AI대학원 입시
13 - 왜 쫓아냈어요 ㅠㅠ
한달 나오고 관두는 신입생들은 뭘까요...
30 - 현명한 학생 아닐까요 아닌 랩 오래 다니다가 그만두는 것보다 훨씬 서로에게 좋음
한달 나오고 관두는 신입생들은 뭘까요...
16 - 어그로
Yk학부에서 카이스트 박사 따면 학벌 세탁되나요..
12 - 진짜 세탁하려면 하버드 mit 이런데를 가세요..
Yk학부에서 카이스트 박사 따면 학벌 세탁되나요..
12 - K대학원은 잡대 학부도 다오는데 무슨 세탁?
Yk학부에서 카이스트 박사 따면 학벌 세탁되나요..
11 - 현직 교수입니다. 공감합니다..ㅋㅋㅋ
미국 포닥들 삐대는거 참 가소롭다...ㅋㅋㅋ
11 - 1.인정. 서울대 학석박인데 실적없는 물박사들 너무 많음. 그냥 서울대 쩌리들이 갈 곳 없어서 대학원 가는 느낌. 실적좋은 비서울대 학부 선호.
2.인정. 테뉴어 받으시고 꾸준하게 연구지도 하는 교수님들은 그냥 무조건 리스펙. 보통일이 아닌데 열정이상의 노력이 필요.
3.다 인정하는데 마지막문장만 인정X. 과탑했으니 SKP에 가는것은 본인만의 특권입니다. SKP에서 만나는 인맥과 연구시스템은 매우 훌륭합니다. 교수님때문에 자퇴를 한다면 어쩔수 없지만 SKP는 충분히 도전할만한 학교이고 경험해볼만한 학교입니다.
4.인정. 한국학생들의 고질적인 병이 수동적인 태도입니다. 무조건 떠먹여주실 바라는건 대학원생이 아니죠. 실패하더라도 하나씩 부딪쳐보고 해결해나가고 배우는 과정의 연속이라 생각.
5.최근에 임용되신 조교수님들 찾아가서 상담을 받는것은 무조건 추천. 엄청난 실력자임과 동시에 제가 본 대부분의 분들도 매우 훌륭한 트레이닝을 받고 인성도 좋으신분들임 (물론 나중에 테뉴어를 받으면 착취형 교수로 돌변하겠지만 ㅋ)
현직 교수가 쉐어해주는 대학원생활 팁들?
14 - 이런 이야기는 본인 실적 까고 하는 겁니다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3 - 글이나 제대로 쓰세요ㅋㅋ실적 없어서 과제 떨어지고 추하게 커뮤에 글 쓰는 걸로 밖에 안 보여요. 실적만이 증명된 연구자인지 알 수 있는 유일한 척도인데요? 실적은 없이 제안서 글 싸지른걸로 뽑자는게 더 어이가 없네요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2
포닥 때 논문쓰기의 어려움이란 이런것이야...
2023.05.22

나는 한국서 skp 학석박 하고, 미국 MIT, UC Berkely, Stanford 중 한곳에서 포닥중.
과고 졸업하고, 전문연 등등 해서 포닥치고 어린편이지만, 포닥은 이제 2년 3개월정도 됨.
한국에서 석박 할 때, 나름 top 저널들에 논문 내본경험도 있고하니,
최고 대학, 대가랩에 왔으니 당연히 1~2년 만에 Nature, Science 쓸 거라고 나름의 자신감도 있었고, 기대도 했음.
하지만, 포닥은 정말 대학원시절이랑 정말 다름.
연구실 by 연구실이라고 할수도있지만, 내주변과 나를 종합해본결과, 3년동안 정말 열심히 잘한사람이 1~2편 내고, 3년간 논문한편없이 돌아간다음 나중에라도 마무리해서 내는사람이 정말 많음.
그이유는 일단 영어쓰는 환경등 정말 다른것도있지만, 그 학교의 시스템이해하고, 모든장비 다 트레이닝 받고, 장비 구매하고 (미국은 진짜 오래걸림), 하는데 1년지남. 거짓말아니라 진짜 1년지나가있음.
1년이지나고 2년차년동안 실험해서 data를 정말 잘얻는다해도, 교수가 논문 잘안봐줌.
대가랩기준 포닥만 10명이상, 박사과정까지합지면 진짜 40~50명됨. 자기 manuscript 봐달라고 PI, 지도교수한테 보내는 Mansucript 만 정말 10개가넘음 거기에 cowork 하는것까지합치면 진짜 20개정도됨.
즉 그 manuscript 가 정말 마음에들어야 PI 가 리뷰하고 고쳐주고 논문 내자고함.
심지어 연구실 by 연구실이지만 대가의 경우 거의 10에9은 정통성 있는 논문 내자함.
신생저널 진짜 쳐다도 안봄. 한국서는 신생이거 뭐고 IF 높은순으로 쫙 섭미션했는데, 여기서는 그게안됨...
나도 이제서야 논문을 작성마무리하고 있지만, 앞으로 publish 될때까지 1년정도 더걸릴거라고생각함.
즉 MIT 포닥이 2년만에 Chem. Mater. 논문냈다고? 그러면 진짜 적응 잘하고 data 잘뽑고 교수가 논문 좋게 생각하고 빠르게 낸거임. 미국은 Chem. Mater. 이너서클분위기는 있지만, 엄청 높게쳐주거든.
특히 단독 1저자면 나는 더 respect 한다.
그래서 포닥와서 2년만에 Nature Science 쓰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내가봤을때는 10에 9은 그러지 못함....
2~3년내에 논문 1편만 잘마무리해도 나는 포닥기간떄 충실해 자기일 잘했다고본다.
논문없이 돌아갔다고 물박사니 뭐니는 말도안됨. 여기는 연구를 잘해도 상황이 되어야 논문을 낼 수 있거든.
후 manuscript 쓰면서, 아까 글보면서 느낀 나의 감정을 끄적여본다.
한.국.그.립.다 ㅠ_ㅠ
논문 수저 수저 김GPT 59 21 16022
대학원 가기가 원래 이렇게 어렵나요 김GPT 25 15 14193
포닥때 논문쓰기어려워? 김GPT 1 18 3867
학사논문 궁금합니다 김GPT 0 8 15973
논문 쓰기 어렵다 ㅎㅎ 김GPT 5 2 1483
대학원때 논문쓰기가 어렵네요 김GPT 0 0 1609
한 대학원 이야기 김GPT 21 23 16592
논문 하나 읽는데 걸리는 시간 김GPT 6 11 22091-
14 4 5625
대학원 월급 정리해준다 (공대 기준) 명예의전당 221 75 175693-
257 41 62511 -
124 17 16813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2023.05.22
대댓글 1개
2023.05.22
대댓글 1개
2023.05.22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