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파트타임.ㅋ 지도 돈주고 학위 사러 와 놓고ㅋㅋㅋ
교수님이 날 저놈 이라고 부르는데 이게 맞음?
38
- 님도 많이 힘드신가봐요 공격적이신거보니.. 같이 힘내요.
교수님이 날 저놈 이라고 부르는데 이게 맞음?
31
- 글 내용은 괜찮다만 언급하는 대가랩 기준이 매우매우 낮은듯.
국내에 대가랩이 어디있음 ㅋㅋㅋ
대가랩은 걍 논문 뽑으면 평균적으로 당해년도 끝나기전에 그 논문 인용수가 수십, 100 넘어가는곳을 대가랩이라 함.
랩에 인원수도 많고 그 이상으로
그 랩 논문 다들 알림받아 읽고 인용하니 인용수 그냥 쫙쫙 오름
대가랩이라 불리는 곳도 모든 박사과정이 탑저널 뽑는 건 아니다
19
- 병원을 가..
한국의 카르텔 정리
18
- 교수는 자기 연구 하기 위해 교수가 된 것이고
그러기 위해서 인건비 및 연구비를 확보하기 위해 고군분투 하는 것이고
그 연구실에 들어간 대학원생은 교수의 연구를 도와주면서 연구 방법론을 배우고
본인이 하고 싶은 연구는 졸업한 뒤에 본인이 교수가 되든 정출연에 들어가든 그때가서 할 일인데
처음부터 자기가 하고 싶은 연구를 하려고 하는 것은 교수가 뭘 믿고 자신이 애써 따온 연구비를 제공할까
이 정도 역학 관계는 대학원에 들어갈 때부터 이해하고 들어갔어야 하는데
도대체 석사과정을 어떻게 보냈길래 교수는 학생 인생에 괸심이 없다고 찡찡댈까
엄밀하게 말하면 본인의 인생은 교수에게 맡겨둔 게 아니다
교수는 자신의 연구를 위해 학생에게 인건비와 연구비를 지급하고 그러면서 연구 방법론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데
그 기회를 잡는 건 본인이 알아서 할 일이지 교수가 앉혀놓고 주입할 것도 아니다
석사 끝나고 박사과정 입학하고나서야 깨달았습니다
33
박사 대기업 취업시 논문 갯수
2023.04.18
20
3513

감사하게도 여러가지 여건이 갖춰져서
IF 합 60, 7편 정도의 SCI 논문을 연구실적으로 가지고 있습니다 분야는 반도체 소재 쪽이고요
그런데 걱정되서 여기저기 물어보니까
사기업, 특히 대기업은 논문이 많아봤자 소용없고
출신 학교를 더 많이 본다고 하네요 ㅠㅠ 허탈하기도 하네요
제가 학부랑 박사하고 있는 학교 둘다 좋은 학교는 아니어서 지금 추가로 작성하고 있는 작은 논문이 2편정도 있는데
이것만 마무리하고 논문은 접어두고 몸을 추스르면서 취업이나 면접 준비에 열을 올려야 할지
졸업전에는 쓸 수 있는 한에서 최대한 많이써야되는지
관련 경험이 있으신 박사님 혹은 박사과정 분들의 고견을 여쭙고 싶습니다 ㅠㅠㅠ
(학계 생각은 전혀 없습니다,, 여러가지로 포닥이나 다른 루트는 이제 너무 지쳤어요)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김GPT
대기업 vs 교수 중 고민이라면29
82
23794
김GPT
연구실적 안 보는 대기업 갈거면10
15
3855
김GPT
박사 졸업 후 대기업 입사0
14
5482
김GPT
대기업 이직 논문 여부 중요도0
6
1060
김GPT
박사졸업 후 정출연 vs 대기업5
17
7850
-
4
8
3871
김GPT
사기업 연구원25
7
5275
-
0
10
6260
김GPT
랩선택에서 중요한 점0
2
2889
-
160
26
38334
-
222
60
69134
명예의전당
나의 선생님 (자랑 포함..)116
18
13111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2023.04.18
대댓글 1개
2023.04.18
대댓글 1개
IF : 5
2023.04.18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