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대부분 내용에 동의하지만,
10대 때 습관 안고쳐진다는부분은 동의못함.
목적(동기) 없이 공부하는 수능과
셀프모티베이션 되어서 하는 연구는 천지차이
능력없는 애들이 불평불만하는 것 보다
능력없는 애들이 아무것도 안하는게 더 심각함.
대학원이건 사회건 학벌 컷 있는 이유 그리고 있어야 되는 이유
36
- 보통 이런분들이 가장 내세우는게 학부부심이죠
대학원이건 사회건 학벌 컷 있는 이유 그리고 있어야 되는 이유
42
- 적절한 거리감 유지도 필요합니다.
너무 가까우면 나중에 공과 사 구별을 못하게 되거든요.
교수가 많이 어려운가요?
35
- 교수와의 거리는 경험상...
내 연구 결과가 기똥차게 잘 나오면 자동으로 가까워지고
내 연구 결과가 지랄맞게 안나오면 멀어지더라... 내가 피하는 건지 교수님이 좀 더 결과가 나오면 불러서 대화를 하시려는 건지 ㅎㅎ
결과가 잘 나오면 그게 연구에 대한 자신감이라 교수님을 만나도 대화가 잘 풀리는듯.
교수가 많이 어려운가요?
25
- ㅄ
카이스트 데사 떨어지신 분 계시나요..
37
연구자면 실력으로 증명하면 되지
2023.04.09
7
3005

수험생때는 실력으로 증명하는게 대학교 입학이니까
대학 간판이 중요하지만,
대학원은 솔직히 입학하는 그 자체보다 그 이후가
훨씬 중요한 생태계잖아?
Ssh든 yk든 ist든 spk든
최근 임용한 스펙들 들어보면
그냥 박사에서 실력 잘쌓고 좋은 포닥자리에서
포텐 터트리면
박사가 저기 지방대든, spk든
잘난 사람들이 뽑힌다.
아 물론 좋은곳에 좋은 기회가 더 많겠지~
그걸 누가 몰라서 그래~
하지만
점점 시간 지날수록 본인 노력+ 훌륭한 지도교수님 있으면
공동연구를 하든 뭘하든 해서 충분히 좋은 연구할 환경은
갖출수 있는 시대잖어
그냥 묵묵히 자기 길 걸어가고 그 분야의 다들 최고가 되자
그게 연구자의 목표 아니야?
언제부터 연구자들의 꿈이 설카포 해외 미박이 이런거였어~
그건 그냥 최종 목표를 위한 스텝일뿐이야
다들 하루하루 연구 열심히하자.
그게 나를 증명해줄 가장 좋은 길이니까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김GPT
지도교수와 잘 맞는다는것86
19
35106
-
4
30
5990
-
47
13
9139
-
5
16
5887
-
8
24
4040
-
6
23
21320
-
2
22
18960
-
16
9
4119
-
0
19
8098
명예의전당
대학원생 예절에 대해 쓴 글 보고...91
9
12106
-
205
25
13728
-
160
25
39867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2023.04.09
2023.04.09
2023.04.09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