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편입 합격 했는데 이제

2023.02.21

10

2005

하위 지거국에서 부/경 라인 화학과로 편입 해서 이번에 3학년으로 진학을 합니다.

일단 자연대니까 대학원은 무조건 갈 생각인데 막상 붙으니까 앞으로 뭘 어떻게 해야할지 잘 모르겠네요.
편입생이라 졸업도 빡세게 해야 할 것 같고 대학원은 간다면 자대를 갈지 타대를 갈지 타대를 간다면 ist쪽으로 가고 싶은데 아직 구체적인 연구분야도 확실하게 모르는 상태라…
타대를 간다면 편입 후 교수님이나 학교 분위기에 적응되자마자 또 새로운 환경에 가는게 쉽지 않을 것 같고
자대에 좋은 연구실에 가고 싶은데 요즘은 또 지거국도 힘들다는 말에 열심히 해서 ist대학원 석사를 하고 싶다는 생각도 듭니다.
아직 잘 모르는상태지만 관심있는 분야 랩실이 디지스트에 있어서 가고싶다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일단 학교 적응하면서 학점관리 하고 학부연구생 하면서 제가 하고 싶은 연구분야를 찾고 자대에 연구실로 갈지 타대로 갈지 정하는게 맞겠죠..?

솔직히 처음엔 원하는 학교에 붙어서 잠시 행복했지만 편입 후에도 갈길이 멀어서 너무 막막하고
주위에 알려줄 사람도 없어서 답답하네요. 질문도 좀 두루뭉실한거 같아서 죄송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기쁜 플라톤*

2023.02.21

하위 지거국도 아니고 부/경인데 G/DG/UN를 높게 생각하는게 잘 이해가 안되네요. 부/경 메이저랩이면 얘네랑 똑같은 수준입니다.


높은곳을 노리시려면 yk spk를 노리시는게 맞습니다. 요즘 G DG UNI도 사람없어서 큰 문제없으면 지방대도 갑니다 (YK도 요즘 지방 꽤 보임)

대댓글 1개

2023.02.21

그렇군요.저는 ist정도도 저한텐 높다 생각 했고 가서 학부에서 온 자대생들과 함께 하는게 쉽지 않겠다 생각을 하긴 했습니다..일단 좀더 넓게 보고 관심있는 연구 분야를 정해야 겠습니다. 일단 자대를 가지 않더라도 학부연구생 경험은 있는게 좋을까요?

IF : 1

2023.02.21

가이드라인 따윈 없습니다.
최선을 다하셔서 전공 공부하시고, 학점따시고.
본인 관심있는 연구실에 컨택하시고.
그냥 관련 분야와 학교높은 순위부터 다 도전하세요.
여기서 글쓴이님 학벌이 이거밖에 안되니까 어디가 마지노선이다 이러면 그말따라서 높은 상향지원 안하실껀가요?
그냥 최선을 다 하시고요. 후회없이 도전하세요. 그게 다입니다.
편입 축하드립니다.

대댓글 3개

2023.02.21

일단 spk까진 생각을 안했고 서울쪽은 상향지원을 안한다기 보다 학비때문에 고려를 안해봤습니다..
사실상 신입생과 다를거 없는데 3학년이라 최대한 빨리 알아보고 결정 해야한다는게 걱정이네요. 전공 공부 하면서 시간 날때마다 관심 분야 랩실 찾아보고 ist말고도 좀 더 넓게 봐야겠습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2023.02.21

아 그리고 혹시 자대를 가지 않더라도 대학원을 갈 생각이라면 학부연구생 경험은 하는게 좋을까요?

IF : 1

2023.02.21

이공계대학원은 학비가 없습니다.
있다면 연구실에서 다 내줄정도로 지원합니다.
학비걱정하지마세요.

그리고 학부연구생 경험은 중요합니다.
본인이 연구랑 잘 맞는사람인지도 알아봐야합니다.
대학원은 적성에 안맞으면 지옥으로 변하거든요.
짓궂은 쿠르트 괴델

IF : 1

2023.02.21

편입이후 학점잘받고 적응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학점 4.0/4.5를 목표로 열심히 해보시고 다른 활동들은 학점 잘받기 전까지는 하지마세요.

대댓글 2개

2023.02.21

조언 감사합니다. 그렇다면 학부연구생이나 대학원 컨택은 4-1쯤에 하는걸로 아는데 편입생도 동일하게 하면 될지…
편입생이다보니 4학년때 수업도 빠듯하게 듣고있어서 정 어렵다면 한학기정도는 늦어져도 상관 없긴 합니다..
짓궂은 쿠르트 괴델

IF : 1

2023.02.21

학부연구생은 필수가 아닙니다. 진학할 연구실에서 하는게 아니라면 큰경험이나 스펙이 되질 못합니다.
연구실에 들어가셔서 경험과 역량을 쌓으려면 9to10으로 학과공부는 뒷전으로 놓고 연구하셔야 하니 전체 평점이 4.3/4.5 수준이 아니라면 접어두세요.
굳이 하고싶다면 진학을 희망하는 연구실에서 하세요

2023.02.21

편입 후 학점 관리 잘 하시면 문제 없어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