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연구실에 컨택했을때 줌으로 면접봤었던 한 교수님이 해주신 말씀이 기억이납니다. 사고력, 문제해결력은 아무리 대학원생활을 해도 잘안길러져서 우리연구실에는 제가 적합하지 않을거같다구요.
연구실에 들어온지 한달이 벌써 다되어가는데도 아직 나아진게 없는걸보면 앞으로도 똑같을까봐 매우 두렵습니다.
제가 대학원 왔어도 됐던걸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3.02.07
그런 잡생각 많으면 대학원 못 다닙니다~ 머리 비우세요~
대댓글 4개
2023.02.07
비판적인 시선으로 무언가를 바라보고, 그걸 분석해내고, 문제를 찾아내고, 새로운 아이디어로 새로운 연구를 하는 대학원 생활을 기대하셨다면 그건 아직 조금 일러요. 시간이 흐른 뒤에는 아무렇지도 않게 가능할 거예요.
말씀하신 것처럼 주어진 것만 받아들이기에도 아직 부족한 실력이라 느끼실 거고 지금은 너무나도 당연해요
어린아이들이 부모의 말을 그대로 따라하는 거 외엔 표현해 낼 수 있는 문장의 갯수가 몇 개 없는 시기를 오래 보내다가 하나씩 조합해서 새로운 문장을 만들다가 지금 우리처럼 유창하게 하나의 글을 읽고 쓰고, 누군가의 생각을 반박하고 이해할 수 있듯이 모두다 순서가 있는 거고 머지 않았어요.
저는 석사도 해보고, 박사도 다녀보고, 좋다는 연구소에서도 일을 해봤지만 늘 느낀 건 최소한 1년-1년 반이 필요하다는 거였어요. 그것만 지나가면 익숙해지고, 익숙해지고 나면 뭔가를 할 수 있는 시기가 와요.
우수한 학생들 세상에 많아요. 물론 그렇죠. 그치만 그것만 보고 있을 게 아니에요. 괴로워하지 마세요. 그런 생각 너무 길게 오래 가져가면 피곤하고 힘들어요. 안 그래도 힘든 공부 지쳐가며 할 필요가 없어요. 잡생각 놓으시고, 차라리 게임을 한 판 하고 머리 비우면서 생활하세요.
부족함은 당연합니다. 당연한 걸 너무 힘들어하면 괴로워요.
머리 잘 식혀가면서 무던하게 잘 보내시길.
2023.02.07
박사는 어느정도 재능의 영역이라고 생각하지만, 석사는 누구나 노력으로 채울 수 있어요. 힘내시길.
2023.02.07
감사합니다. 힘들떄마다 말씀해주신거 생각하면서 잘 버티겠습니다.
2023.02.0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정말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
이기적인 닐스 보어*
2023.02.07
1. 본인이 느끼는데 부족함을 채우기 위해 남들의 배이상을 노력하고 있는가? 남들 잠자고 놀러다닐때 배로 시간을 투자하세요.
박사 6년걸리는데 고작 1달 하고 이런 생각을 하시면 안됩니다. 지금 딱 1.4% 하신거에요. 인생으로 치면 한두살짜리 아기가 자기 인생 한탄하는것과 다를바 없습니다.
2023.02.08
저도 연구실 들어온 지 한 달 되었고 신생랩이라 어디 털어놓을 데도 없었는데 덕분에 힘이 되는 댓글 볼 수 있게 되었네요 감사합니다 작성자님도 화이팅입니다
2023.02.08
저도 한 가지의 아이디어를 도출하기 위해 공부했던 기간이 6 개월이었습니다. 하지만 그 한 가지 아이디어를 만들기 위해 무수히 많은 피땀과 눈물을 흘렸지요. 한 가지 아이디어가 나오니 두 개, 세 개 아이디어로 뿌리 뻗치기 시작하더니 그 후 졸업할 때 까지 논문 작성을 쉬지 않고 실적 쌓으면서 졸업했습니다. 자신의 능력을 지나간 시간으로 판단하지 마세요. 어디 한 부분이 툭 튀어 오르다가 파내기 시작하면 겉잡을 수 없이 빠르게 실적 쌓아집니다. 스스로를 너무 과소평가 하지마세요.
순수한 하인리히 헤르츠*
2023.02.09
1달이면 받아들여야 할 걸 일단 이해하고 있다는 것만 해도 상당하다고 생각하는데...
2023.02.09
석사때 연구주제 잡는데만 짧게는 1학기 길면 2학기까지도 씁니다. 그동안 연구하는건 논문만 읽는거만합니다 아이디어 내는게 공부하고는 또다른 창작의 영역이라 생각됩니다 그러니 시간이 걸리는건 당연한겁니다. 기죽지 마십시요. 참고로 저 연구주제 한 7번은 까였고 주제 제대로 잡는데만 거의 1년 걸렸습니다. 물론 과제 잡일이 많긴하였지만..
2023.11.10
요즘 유튜브에 없는 거 없습니다. 논문 읽는 법, 번역하는 법, 핵심을 파악하는 법, 좋은 논문 찾는 법 등 등 심지어 논문 쓰는 방법도 친절하게 다 나와있습니다. 제가 그렇게 졸업했습니다.
시간 나실 때 틈틈이 영상 시청하여 꿀팁 얻어가십시오. 못해도 어떻게 비비면 비빔면은 만들어집니다. 너무 걱정 마시고 자신을 믿으십시오.
2023.02.07
대댓글 4개
2023.02.07
2023.02.07
2023.02.07
2023.02.07
2023.02.07
2023.02.07
2023.02.07
2023.02.07
2023.02.08
2023.02.08
2023.02.09
2023.02.09
2023.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