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논문 작성시 모든 참고 문헌을 정독하시나요?

2023.02.03

7

3397

논문 작성시 "모든" 참고 문헌들을 정독하고 다시나요?

introduction 작성시 "A 연구자는 B 에 관하여 연구를 했고 C 라는 결과를 얻었다." 와 같이 가볍게 언급하고 넘어가는 경우
abstract랑 conclusion 읽어도 파악 할 수 있는데 굳이 다 읽는건 시간 소모같아서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3.02.03

그렇게 정리해서 하는 경우도 있고 특히 revision deadline이 임박했는데 논문 완성이 요원할 때.
보통은 연구 하는 와중에 구글 스칼라가 내 연구와 관련된 논문 추천해주면 평소 읽어뒀다가 논문 쓰면서 하나하나 cite하죠.

논문을 쓰는 기간에도 알고 있는 다른 그룹에서 비슷한 논문이 나오면 경쟁(?)심에서 이것 봐라(?)하는 ㅋㅋ 마음으로 읽어뒀다가 인용하죠

2023.02.03

"모든" 논문을 정독하는 건 불가능하죠. 그렇지만 적어도 논문은 한 번 publish 하면 박제되는 거나 마찬가지인데 잘못 읽고 인용하면 부끄러우니 내용을 꼼꼼하게 보면서 쓰는게 좋죠. 저자들이 intro 에 적은 문장을 paraphrase 하는 정도라면 상관없지만요.
쩨쩨한 레온하르트 오일러*

2023.02.03

Survey 논문이라면 한땀한땀 정독하죠.
재빠른 헤르만 헤세*

2023.02.03

아니요. 필요한 부분만 읽습니다. 정독할 필요 없어요. 뭐하러 그런 비효율적인 짓을..

2023.02.04

해보세요 자연스럽게 소모인지 아닌지 알게됨
조급한 쇠렌 키르케고르*

2023.02.04

전혀요
정독하는 논문은 내가 쓰는 논문의 방법론이라던지 기초연구라던지 직접적인 배경이 되는 그런 중요한 논문들만 읽는거고,
나머지는 어떤 논문에서 어떻게 해서 어떤 결과를 얻었고 의의는 뭐다 정도만 파악허면 끝입니다. 이건 abstract 및 그림 한두개만 보면 사실상 파악 되는 내용들이죠.

2023.02.09

논문 각 잡을때부터 한편 두편 찾아봤던것들 미리 정리해두는편입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