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님께서 원래 SCI 저널을 염두해두셨던 연구인데, 국내 학회에서 논문 수가 부족하서 한편 내주길 부탁하기고 했고
이후 영어 저널에 내기 전 초안 느낌으로 국내 저널용으로 작성해보라고 하셨습니다.
근데 제출하고 나서 드는 생각이 국내 저널에 출판된 논문을 해외 SCI에 제출하는 것은 자기 표절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현재 결과가 약간 부족해서 SCI 저널에는 업데이트 될 예정이고, 몇 가지 방법론이 추가될 예정이긴합니다.
그래도 50%이상은 같은 내용일 것 같습니다.
괜찮은 건가 싶어서 주변 선배들한테 물어보니 학회지 별로 기준이 다르고 이전 연구랑 몇 %이상 차이가 있으면 괜찮다고 하시던데요..
다른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데 여쭙고 싶습니다.
참고로 CS관련 분야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2022.12.04
엄밀히 말하면 표절 맞죠
대댓글 1개
2022.12.04
이런 경우는 보통 해당 분야 학회들의 규정과 관습에 따릅니다. 연구윤리교육에서도 맨날 나오는 건데, 잘 모르시면 함부로 말씀하지 말아주세요.
2022.12.04
팁을 드리자면 target journal 사이트의 guide to authors 와 같은 탭에서 저널 규정을 확인하고, 영어가아닌 다른 언어로 출판된 manuscript이 duplicate publication case에 해당하는지 확인해보세요. (저널 에디터에게 메일보내면 답변줍니다. 근데 메일보내기 싫으시면 사이트를 자세히 살펴보세요..) 기출판된 혹은 예정인 영문의 학회지의경우, manuscript의 copy를 보내달라고합니다 (Novelty check을 위해서).
Wiley 의경우 이렇게 명시하고 있습니다. “Re-publication of a paper in another language may be acceptable, provided that there is full and prominent disclosure of its original source at the time of submission.”
저와는 다른케이스지만 이전에 학회지와 저널 풀페이퍼 출판관련해서 골머리를 앓았는데.. 잘확인해보시고 시간낭비없게 좋은결과 얻으세요!
대댓글 1개
2022.12.04
조언 감사합니다. 교수님께도 말씀드려고보 타깃 저널 규정을 확인해 봐야겠네요
즐거운 막스 플랑크*
2022.12.04
랩실 내 인종과 성별 구성이 어떻게 되나요....? 혹시 막 인종차별적인 느낌으로 파벌정치나 뒷담화가 이뤄지는건가요..
대댓글 2개
2022.12.04
이건 무슨 맥락에서 나온 말씀이시죠..;;
즐거운 막스 플랑크*
2022.12.05
무슨 오류가 있었는지 아래아래 게시글에 쓴 댓글인데 왜인지 여기에도 달렸네요..;;;
2022.12.05
표절 맞죠. 나중에 문제 안 생기시려면 교수님과 잘 상의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2022.12.05
일단 국내 학회인지 저널인지 구분해주셔야 합니다.
본문에서 혼용해서 쓰셔서요.
학회라면 표절이 아닐 가능성이 높고, 저널이라면 표절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뭐가 됐든 해당 국내 학회/저널 규정을 확인하셔야 합니다.
보통 cs 분야에서 학회 게재된 논문은 30% 정도의 내용을 확장하여 저널 게재시 표절로 보지 않는다거나 비슷한 내용의 조항이 있습니다.
대댓글 2개
2022.12.05
정확히는 학회논문집이라고 하던데, 따로 저널이 있진않은 것 같습니다.
2022.12.05
그럼 표절이 아닐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일단 정식 출판되는게 아니라면 표절이 아니고요, 출판물이 있는 경우라면 학회 규정을 확인해보거나 학회측에 문의해보시면 될 듯 합니다.
2022.12.04
대댓글 1개
2022.12.04
2022.12.04
대댓글 1개
2022.12.04
2022.12.04
대댓글 2개
2022.12.04
2022.12.05
2022.12.05
2022.12.05
대댓글 2개
2022.12.05
2022.12.05
2022.12.05
대댓글 2개
2022.12.05
2022.12.06
2022.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