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국외 저널에 실릴만한 논문의 주제는 어떤 주제일까요

2022.11.24

8

2605

출판된 논문들을 보면 이런 논문도 실릴 수 있나 이런 건방진 생각을 하다가도

막상 논문을 쓰다보면 제가 쓰고 있는 논문의 주제가 너무 조밥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렇게 지당하고 당연한 주제가 저널에서 accept이 될까 싶은 두려움도 들구요

여러분들도 이런 감정 느끼시나요?

과연 저널에 실릴만한 논문 주제인지 아닌지는 어떻게 가늠할 수 있는걸까요

여러분들의 고견 듣고 싶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2.11.24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출판되고있는 저널들의 논문들 몇개만 읽어봐도 느낌올텐데?

대댓글 1개

2022.11.24

안오더라
accept 되어보면 느낌 잡을 수 있을줄 알았는데 더 오리무중

2022.11.24

같은 주제여도 어떻게 풀어가느냐에 따라 다른거죠. 막말로 Nature에 게재된 주제로 국내학회 내는 경우도 있고요.

대댓글 1개

2022.11.24

풀어나간 다음에도 가치판단이 잘 되시나요?
저는 익숙해진 다음에는 자꾸 너무나도 별거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근데 이게 처음부터 별거 아닌거였는지, 익숙해져서 그렇게 느끼는건지를 모르겠어요.

2022.11.24

관련 분야 최신 리뷰논문들 보면서 figure of merit을 하나하나 비교해보세요~
용감한 토마스 홉스

IF : 1

2022.11.25

먼저 억셉(출판)된 논문들 보시면서 안목을 기르시는게 좋습니다.
읽어보시고 기존의 방법은 뭐고 새롭게 제안한 방법은 뭔지 분간해 내셔야 하고요.
아직 모르겠다면 아직 덜 읽어봐서 배경지식이나 기존 연구들을 모르는 상황으로 판단되니 논문을 더 읽어보세요
하루에 1~2편씩 꾸준히 읽는걸 추천드립니다.

2022.11.25

주제, 즉 무엇을 연구하냐는 별로 안중요합니다.
연구해서 나온 결과 contribution이 리뷰어들에게 합당하게 여겨지냐가 중요합니다.
아직 그걸 구분할 레벨은 아니셔 보이네요..
청승맞은 알렉산더 벨*

2022.11.25

출판된 논문들을 보면 이런 논문도 실릴 수 있나 이런 건방진 생각을 하다가도
막상 논문을 쓰다보면 제가 쓰고 있는 논문의 주제가 너무 조밥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 지극히 정상적임. 오히려 논문 잘 보고 계신 것 같네요. 요새들어 논문 퀄리티가 저널 퀄리티랑 잘 부합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요. 급낮은 저널에 좋은 논문도 있고 급높은 저널에 수준낮은 논문도 있고... 본인 분야에 어느정도 전문가가되면 그 기준에 맞춰서 논문들 평가하면 됩니다.
+ 논문은 스토리텔링이 가장 중요합니다. [Make Sense + contribution]에 신경쓰면 본인이 생각하기에 허접같아도 좋은저널에 엑셉도 돼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