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국내 임용시 학부 학점

2022.11.16

29

4595

국내 교수 임용시 학부 학점이 2점대(4.3만점)면 자대 교수님들 선에서 합격을 주셔도 총장 면담에서 떨어질 가능성 큰가요?

미국 top 대학 박사(학부 대외경력 및 석사 실적으로 holistic 평가 덕에 합격했습니다) 다니고 있고, 실적을 좋을 예정(?)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9개

2022.11.16

다른 게 암만 좋아도... 학점 2로 미국 top school 힘들텐데...

대댓글 11개

2022.11.16

본문에 적어두었어요. 다른 강점이 있어서 미국 박사 잘 합격했습니다.
만만한 스티븐 호킹*

2022.11.16

석사 후 전문연중인 로봇공학 탑스쿨 박사 지망생입니다. 혹시 어떠한 점을 어필하셨는지요?

2022.11.16

논문실적이겠죠 뭐. 제가 아는학생도 학부생때 TRO쓰고 탑대학갔습니다. 석사때 TRO든 TMECH/soft robotics든 쓰고가면 좋아할 교수는 많아보입니다. 아니면 학부생인데도 ICRA IROS 풀페이퍼발표 경험만있어도 좋게생각할것같은데요.
만만한 스티븐 호킹*

2022.11.16

마르크스님. 로봇 쪽 잘 아시는거 같아서 여쭤봅니다.
제가 내년 6월부터 연구실 소속되어 석사 프로젝트(논문은 12학점인데 프로젝트는 9학점) 예정입니다. S대 기계공학 석사(열유체쪽…) 있는데 지금 일하면서 파트타임으로 컴퓨터공학 석사 하고 있거든요. 지금부터 준비하고 2023년 6월부터 로봇공학 연구실(미국) 소속되어서 열심히 하였을 때 2023년 12월 / 2024년 4월에 박사지원 스펙을 위해 노릴 수 있는 실적이 어떻게 될까요?
만만한 스티븐 호킹*

2022.11.16

다음달부터 풀타임 학생으로 전환 예정입니다.(퇴직)

2022.11.16

네 저는 실적이랑 학부 때 외부 활동을 많이 했어서(미국이 좋아할 법한 대외활동들인 것 같아요) 그 점이 감안되어 합격 받았습니다. 학부 학점 낮은 이유를 굳이 제가 설명하지 않아도 납득이 될 정도로 학부 활동이 많았어요. 또한 석사 때 논문 4편을 써내면서 연구능력을 입증한 것 같습니다. 이유 없이 학점이 낮으면 서류컷 당하겠지만 저도 나름 믿는 구석이 있어서 지원을 해보았는데 좋게 봐주셨던 것 같아요.

2022.11.16

로봇쪽도 분야가 워낙 많다보니 잘 판단해보세요. 분야마다 강점도 다르기도하고요.
컴공석사와 기계공학 열유체 석사 등 다양한 말이 나와서 지금 어떤상황이신지 정확히는 모르지만, 대충유추하자면 spk석사고, 내년중반기에 미국에 잠시 가서 프로젝트한다는거겠죠.
미박가려면 학부, 학부학점, 영어성적, 논문실적, 추천서(국외 추천서면 더 좋습니다) 정도가 전부니, 하나가 부족하면 다른것으로 채우시면 되겠죠. 미국에 잠시 가서 좋은모습 보여줘서 남을수있는것도 좋습니다. 다만, 주변에 볼때 지도교수 덕으로 학위과정중 좋은학교에 파견(보통 본인 펀드가 있는상태로 가니, 해당기관에서는 공짜로일하는 사람온다해서 잘 받아주죠)갔다가 차후에 아예 끊기는경우도 많이봤습니다. 그만큼 풀펀딩으로 학생뽑는것과, 본인이 장학금들고가서 뽑아달라는건 난이도차이가 상당히 큽니다. (해외포닥도 동일함)
저는 로봇쪽 국박이고 포닥으로 top3로 와있지만, 저는 애초에 박사하면서 실적은 많이 괜찮은편이였습니다. 저희연구실도 그랬고, 현연구실 소속들도 보면 다들 괜찮은 논문실적 들고 온 경우입니다. (저였으면 학부/석사때는 못쌓을 실적)
spk, 그중 분야에 따라서 박사때 tmech한편쓰는게 어려운곳들도 많이있습니다. 따라서, 지도교수가 가이드잘해줘서 석사떄 실적 잘내는게 쉽지만은 않습니다. transaction계열들은 리비전이 1년걸리는것도 있고요. 미박 준비하실거면 미리 교수랑 합의가 잘돼있어야하고, 본인이 석사때 정말 잘해서 좋은결과 얻어야합니다. 영어성적도 필요하고요. 이런거 모두 준비하다가 번아웃와서 유학포기했던 애들도 많이봤습니다.
미박이든, 해외포닥이든 높은곳을 목표로하시면 실적이 좋아야하며, 지금 단순히 본인이 갈수있냐없냐 물어보시는건 너무 시기상조같습니다. 있는자리에서 최선을다해보고 되면 가는거고 안되면 못가는거죠.

2022.11.16

다시보니 석사졸업후 석전연이고, 프로젝트인지 뭔지모르지만, 미국석사를 진행중이시다는 말씀이신가요?
미국석사는 난이도가 박사에 비해서 많이 쉬운편이라서, 자대 박사로 못가는경우도 상당히 많이있습니다.
석사하면서 미국교수들 추천서 + 본인석사지도교수 추천서 잘받는게 중요하겠네요. 논문실적은 있으면좋지만 현실적으로 그게 가능한상황일지도 궁금하네요. 저희학교학생은아니고 성대친구였던것 같은데, 미국탑10석사하고 30위권 박사로 갔던 친구도 봤습니다.
만만한 스티븐 호킹*

2022.11.16

네 감사합니다. 제가 폰으로 길게 쓰다보니 이상하게 적었네요.
말씀하신 대로 기계 유체연구실에서 석사를 끝냇고 일하면서 컴퓨터공학 석사를 한개 더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네 저도 로봇공학 박사입학 난이도가 매우 어려운건 익히 알고 있습니다. 현실적으로 연구실 생활 반년 ~ 1년으로 노릴 수 있는 저널이나 학회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여쭤보고 싶었습니다. 상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2022.11.16

컴싸쪽 베이스면 잘 모르겠네요. 그쪽은 학회들을 많이 노리는것 같기도 하고요.
제가 생각하는 로보틱스 범위에서는
Sci. Robot. > Nature com./Sci. adv./Nat. mach. intel. > TRO > Tmech/TIE/soft robotics/adv. intel. sys./IJRR > RAM/RAL 정도인것 같네요. ICRA/IROS는 RAM/RAL정도는 취급을 해주기도하고요.
보통 IEEE 계열은 리비전이 긴편입니다. 따라서, RAL정도가 그나마 빠른편이라서 시기상 RAL을 노리는게 좋아보이긴하는데, 경쟁력있는 실적이랑은 사실 거리가 멀죠. 저중에서는 순수로보틱스는아니고, 소프트로봇쪽에 가까운 adv. intel. sys.쪽이 리비전이 가장짧습니다.
근데 제가말한건 기계공학과 베이스 로보틱스고, 컴싸쪽은 다를수있습니다. RAL이 아닌 ICRA/IROS등을 노리는것도 좋습니다. 이후에 다듬어서 tmech/TIE/TRO에 제출해볼수도있고요.
여튼.. 탑스쿨에서 이친구 괜찮네 라고 생각할만한 실적이면 TIE 라인에있는 정도수준은 돼야한다고 생각은합니다.

2022.11.17

CS계열이나 이론/알고리즘 쪽은 네이쳐,사이언스 계열에는 보통 논문을 안냅니다. 이쪽 분야들에서는 RSS나 CoRL같은 학회들도 상당히 좋습니다. 그리고 IJRR은 분량,난이도 등의 면에서 볼때 Tmech/TIE는 아니고 TRO와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2022.11.16

전혀 없습니다

2022.11.16

학부 학점 보지도 않습니다

2022.11.16

ㅎㅎ 학부 학점을 전혀 안보신 다는 분 하브넷 가서 임용 공고 몇개만 한 번 찾아 보시길.
학부 학점을 상위%로 점수내고요. 이는 '정량평가'항목에 포함되는 학교가 있습니다.
저도 이번주 서류 준비하면서 열심히 계산해봤네요.

다른 게 좋으면 물론 커버되겠지만 정량평가 항목에 학부 학점 평가 있습니다.

대댓글 1개

2022.11.16

저도 이렇게 알고 있어서 걱정이 참 많이 되네요. 미국 임용을 목표로 해야하나 고민입니다.
청승맞은 피터 힉스*

2022.11.16

자대라면 교수님들 선에서 말나올순 있을거같은데

대댓글 1개

2022.11.16

오히려 자대 교수님들 사이에서 말이 나온다는 게 어떤 말씀이신지 잘 알 것 같아요ㅎㅎ 좋은 의견 감사드립니다.

2022.11.16

학교 by 학교입니다. 대부분 정량적으로는 평가에 들어가지 않고, 떨어뜨리려면 떨어뜨릴 이유가 될수는 있죠. 연구실적이 뛰어나다면 그것때문에 크게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2022.11.16

학교는 연구기관이기도 하지만 교육기관이기도 하기 때문에 학점이 심각하게 낮으면 강의 역량에 물음표가 달립니다.
강의에 전혀 신경 안쓰는 학과야 상관없겠지만...

대댓글 1개

2022.11.16

강의 역량이라.. 정말 그렇겠네요. 감사해요.

2022.11.16

교수임용은 합격시킬때는 백가지 이유가 필요하지만, 떨어트릴때는 하나의 이유면 된다... 라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로 어떤 요소로 떨어질지 모릅니다.
그래서 일단 그런거 신경안쓰고 일단 쓰고 생각하세요

대댓글 1개

2022.11.16

정말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천운이라는 말이 괜히 있는 게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이 참 많이 드네요.

2022.11.16

떨어뜨릴 때 학부학점을 핑계로 떨어뜨리지 학부학점 때문에 떨어뜨리지는 않습니다 (경험담)

대댓글 1개

2022.11.16

명언이시네요.. 다음번은 잘 되시길 바랍니다
짓궂은 마르셀 프루스트*

2022.11.16

서울대 학부시면 2점대 출신 교수님들 종종봤습니다.

대댓글 2개

2022.11.16

서울대학교를 말씀하시는 거죠? 인서울 대학교가 아니고?
짓궂은 마르셀 프루스트*

2022.11.16

서울대학교요
깜찍한 리처드 파인만*

2022.11.17

서울 20권 대학에 있는데. 저는 후배교수 뻡을 때 보늠데 다른 교수들은 안보는는듯 비슷한 학점인 흐배교수가 뽑히더라구요. 아무래도 성적이 나쁘면 좀 불성실할 것같아 찝찝한데. 의외로 상실하더라구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