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그런 잣대로 그 사람의 노력을 모욕하면 좋나요? 저 정도 정보면 누군가 특정까지도 가능할 거 같은데 박사까지 학부 이후에 수식이나 여러 스킬은 배양이 가능합니다. 저 분은 박사학위(심사 교수들의 인증)나 교수 임용(학과 동료 교수들과 총장의 인정)으로 충분히 보여줬다고 생각합니다. 학부생들 입학하면서 대부분 교수 출신이나 논문 등 잘 안보고요. 대학원 관심 생길 때나 겨우 찾아봅니다. 님같은 사람이 사회 좀먹는 사람입니다. 남 신경끄고 본인이나 신경쓰세요.
지잡공대 출신으로 서울대의대 교수가 될 수 있나?
51
- 저 교수님들 존경스럽다..... 얼마나 부던히 노력해서 저기까지 가셨을까
지잡공대 출신으로 서울대의대 교수가 될 수 있나?
26
- 그 지도교수도 잘못했지만, 고소한 것을 자랑하는 것도 불가피한 것은 이해하지만 좋게 보이지 않고, 그것을 칭찬하는 사람들은 도대체 무슨 생각으로 대학원 생활을 하는 것인지...ㅉㅉㅉ
결국엔 지도교수 고소했다.
24
- 이색기교수네
결국엔 지도교수 고소했다.
18
- 비슷한 입장에 처해본 사람으로써 조언드리자면 답은 정해져 있습니다. 개인연구 깔짝거리는 시간 전부 없애고 1개월 정도 과제만 죽어라 파서 성과내고 교수한테 던져주는거요. 그리고 논문은 다른 학생이랑 쓰시던 말던 알아서 하라고 선포하는 수 밖에 없습니다. 논문까진 안쓰더라도 월급받고 다니는 마당에 과제실적은 내야 어쨌든 밥값은 하는거 아니겠습니까.
작성자님이 과제연구 하기 싫은거 진짜 십분 이해합니다. 그러나 계속 회피하는건 말이 안되는겁니다. 재미있는걸 열심히 하게 되는건 당연한 거구요, 의식적으로 열심히 하려고 노력을 들여야 하는건 재미없는 일들입니다. 자꾸 재밌고 잘 되는일 위주로 시간을 쓰려는 충동을 억제하고 일의 우선순위를 정하여 영리하게 시간배분을 해야합니다.
마지막으로, 연구능력이 아예 정체되서 최신이론이나 기술을 전혀 구현도 못하고 심지어는 팔로우조차도 안하고 있는 교수들이 대한민국에 태반입니다. 말이 연구자이지 그냥 학교에서 강의하면서 과제제안서만 쓰는 사무직 노동자로 전락하여 그 삶에 안주하고 연구관련 해서는 사이비같은 말만 번지르르하게 아는척 하는 교수들 엄청나게 많습니다. 이런 현실을 받아들이시고 지도는 기대하지 마시고 본인 앞길은 알아서 개척해야 합니다.
지금 누구 탓을 하고 원망하고 있을 시간이 없습니다. 좌절하며 자기연민에 빠져있을 시간도 없습니다. 현명하고 효율적으로 과제실적 채우고 그것을 방패막 삼아 무능한 교수의 방해로부터 벗어나 개인연구에 대한 자율성을 주장하는 수 밖에 없습니다.
교수님이 배정한 과제와 내가 하고 싶은 연구, 박사과정 넋두리
15
인과관계 영어표현 정리
2022.09.04
20
29591

학교 대나무숲에서 관련 질문이 올라와서 이걸 정리해서 올렸는데
반응이 좋은 거 보고 다른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거 같아서 여기에도 올려봅니다.
저는 영어 막 원어민은 아니지만… 인과관계 관련 표현 관련해서 나름 정리해서 올려봅니다.
틀릴 수도 있으니, 틀리면 많은 지적 바랍니다..!
여기서부터 음슴체.
<인과관계 정리>
(1) Since / As / Because 원인 + 결과
as는 뜻이 많기 때문에 since, because 쓰는게 더 뜻이 와 닿음.
(2) 원인. Therefore/Thus/Hence/As a result, 결과.
두 문장으로 분리시켜 쓸 수 있는 간단한 형태이지...
그런데 period (.) 대신 semicolon (;)을 활용할 수도 있음.
A; therefore/thus/hence, B
마찬가지로 however도 ; however, 이런식으로 쓸 수 있음.
너무 길어지지 않는 선에서 ; 써서 표현하면 있어보일 수 있음..ㅎㅎ;
실제로 토플이나 GRE writing에서 ; 써보니까 좋은 요소라고 함..
그런데 너무 남발하면 안 좋음.
(3) 결과를 나타날 때 thereby와 thereafter 활용하기
이 표현은 진짜 써봐야 와닿음.
, thereby ~ing 혹은 , thereby being p.p 표현은 굉장히 문체를 다양하게 함.
근데 thereby 로 이어질 때 주어를 잘 봐야함.
We added this chemical, thereby drastically reducing the reaction time.
=> We added this chemical. By doing so, we drastically reduced the reaction time.
The tubes were treated by the chemical, thereby being more shrunk.
틀린 표현: The tubes were treated by the chemical, thereby more shrinking the tube.
tube가 주어인데 뒤에 목적어로 나와서 어색하게 됨. thereby는 뒤에 ~ing나 pp의 주어가 문두의 주어로 맞춰줘야 하는 걸 명심하자.
thereafter 는 then, afterwards 이런 표현과 결을 같이 함.
바로 얼마 후에 이런 표현쓸 때 soon쓸 수 있지만, paraphrasing하여 shortly thereafter 이런식으로 쓸 수 있음.
원인 서술하고 시간적으로 연달아서 발생하는 어떤 결과를 표현할 때 thereafter를 써보자.
We added this chemical and observed aggregation shortly thereafter.
(4) Consequently와 Subsequently
consequently는 결과적으로 --> result and discussion에서 써보자
subsequently는 이어서 (and then) --> method에서 써보자
의미가 다르니까 잘 써보자... 부사를 맛깔나게 써보는 것도 중요함.
(5) Result in, lead to와 Result from
중고교때 많이 배우는 result in과 from... 쉽게 써볼 수 있음.
원인 result in 결과, 결과 result from 원인
그리고 result in을 바꿔쓸 수 있는 동사구는 lead to야.
여기서 to는 전치사므로, lead to ~ing가 맞는 표현이야.
흔히들 lead to V로 쓰기 쉬운데 주의하고... 원인 lead to 결과 명사 혹온 결과 ~ing로 표현해.
(6) Originate from / Come from
result from 처럼 쓸 수 있는 것들. 결과가 주어일 때 사용할 수 있는 표현이지.
(7) Cause, Drive, Bring, Trigger
원인이 주어일 때 바꿔쓸 수 있는 타동사들임.
수동태로 쓰면 결과를 주어로 쓸 수 있어. caused by, driven by, brought by, triggered by
(8) contribute to 와 be attributed to
내게는 제일 fancy해 보이는 형태ㅎㅎ
연습하면 좀 자유롭게 써짐.
contribute는 ~을 기여/기부하다 말고도 자동사 원인이 되다라는 동사도 됨.
그래서 원인 contribute to 결과 명사/동명사로 쓸 수 있어.
Chilling a chamber contributed to a decrease of(in) the activity of the enzyme.
흔히 증감을 나타날 때 increase, decrease 명사로도 쓸 수 있는데... 관사 빼먹기 쉬운데 a 붙이는게 대부분이므로 붙여줘야함.
-- (덧)
그럼 Chilling decreased the activity랑 다른점은 무엇일까 묻는다면...
contributed to a decrease 는 약간 다르게 표현한 것이라서 decreased로 간결하게 해도됨.. 그런데 조동사를 붙이면 의미 차이가 벌어질 수 있음.
can decrease와 can contribute to a decrease 는 뉘앙스가 다름.
can decrease는 chilling이 감소시킬 수 있다 라는 능력/가능성의 표현이고
can contribute to a decrease는 chilling이 감소하는 원인일 수 있다 라고 말하는 표현임.
가능성/능력을 말하느냐, 원인일 수 있음을 말하고 싶으냐에 따라 표현의 맛이 달라짐.
--
attribute는 ~의 덕분으로 하다, 어떠한 속성으로 기인하게 하다 이런 뜻이 있는데
결과 be attributed to 원인 명사/동명사 라는 표현으로 쓸 수 있어.
아래 문장은 웹사이트에서 따왔는데.. 해석을 해보자면.
Simulation Software Market is Attributed to Rise in Industrial Engineering and Statistics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시장 (결과)은 산업 공학 및 통계의 발전(원인)에 기인한다.
The health officials reported three more deaths attributed to COVID-19
당국은 covid 19로 인한 세 명의 추가 사망자를 발표했다.
두번째 문장은 논문에서도 We reported (results) attributed to (causes) 이런 식으로 abstract, introduction의 in this study ~, conclusion 등에서 변형해서 써볼 수 있음.
(9) , which 와 분사구문의 차이
흔히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 어쩌구... 앞문장 전체가 영향을 미칠 때 어쩌구... 했던 것을 학교 때 배웠을 건데 이것도 인과표현에 활용이 가능해.
문장, which influences/affects/results in/leads to/indicates/implies/infers ...
근데 이 표현에서 which 뒤는 강조된다기 보다... 이걸로 이렇게도 될 수 있더라구요 이정도의 부가적인 뉘앙스가 강하다고 나는 배웠어.
그래서 좀 뒤를 동등한 중요도나 뉘앙스로 연결해주고 싶으면 차라리 분사구문으로 표현해주는게 좋다고 배웠어. 분사구문이 두 문장을 합치는 거니깐!
그래서 원인과 결과 둘다 중요하게 말하고 싶을 때는 , which 보다는 분사구문이나 다른 표현으로 사용해보자.
----
감사합니다.
김박사넷 추천 PICK! 김박사넷AI가 추천하는 게시글도 읽어보세요!
-
51
16
24078
-
98
14
39572
명예의전당
저 미국 교수입니다149
73
39203
명예의전당
대학원 생활이 힘든 이유들88
25
58738
명예의전당
좋은 논문을 쓰기 위해 필요한 역량102
5
15231
-
131
25
39186
고전인기
외국인 많은랩 필히 거르세요94
27
34960
-
146
78
58539
-
127
13
136623
고전인기
초심자들을 위한 논문 쓰는 팁487
69
79200
-
87
9
37820
-
158
30
66806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건대 공대가 어느 정도 위치인가요?
6
50
- 교수 학부 학벌
0
26
- 과기원이나 포스텍, 켐텍 등으로 진학한 지방국립대나 지방사립 출신들 있으신가요?
19
23
- 꼭 봐주세요)다른 랩실도 이런지요? 실험실 군기 관련.
6
25
대학원도 아이비리그면 전공랭킹과 상관없는 prestige가 있나요?
0
36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2022.09.04
2022.09.04
2022.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