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물리 관련 현황이 어떠한지 아시는 분 있으실까요
자대생/타대생 비율이라든지, 타대생 진학 비율 정도
기회 자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8개
2022.08.0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자대생인데 노물리쪽은 항상 무난합니다. 우리나라에 원자로 해석코딩 전문가가 그렇게 많지도 않고, 수요가 적지만 인기가 없고, 졸업생들도 적어서 그런 것 같아요.
서울대 노물리면 주교수님, 심교수님 계시는데 평가는 대충 김박사넷 보시면 됩니다.
두 분 다 한국 노물리계의 거장급이시지만 원자력계에서 한자리들 하시는 정교수시다보니 그 좀... 그런 게 있어요.
위에서 말한대로 정교수셔서 컨택만 성공하시면 입학은 문제없으실 겁니다. 그분들보다 입김 쎈 교수님 지금 과에 안 남아계셔요.
컨택 성공했는데 떨어지시면 컨택을 실패하셨거나, 떨어트린 교수님들이 학과장님 상대로 도전하는 꼴입니다 ㅋㅋ
대댓글 14개
2022.08.0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자대생 비율은 높은데 문제는 전체 학생도 적습니다. 두 분 다 그렇게 학생에 목마르지 않으셔서 그런 것도 있어요.
자대생 중엔 꿈이 확고한 학생 아니면 그쪽은 잘 안 갑니다.
타대생이셔도 컨택만 성공하시면 되는데 만만한 교수님들이 아니라는 것만 알고 컨택시도하시는 걸 추천드려요
얌전한 제임스 와트작성자*
2022.08.06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다만 더 여쭤볼 것이 있습니다.
불편하시지 않으시다면 오픈 카톡으로 들어와주실 수 있으실까요.
주소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s://open.kakao.com/o/sKbC73te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2022.08.0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아니요 다른 사람들도 정보 얻어갔으면 해서 쓰는거여서 오픈톡 말고 김박사넷으로 쓰시면 시간내서 답변 드릴게요
얌전한 제임스 와트작성자*
2022.08.06
그러면 필터 없이 질문 드리겠습니다.
1. 심교수님 연구실이 노심설계와 코드디벨롭 중 어느 쪽인가요?
최근 발행하신 논문에선 그 경향을 알 수 없어 여쭤봅니다.
2. 댓글 내용에서 "만만한 교수님들이 아니라는 것"
어떠한 점에서 말씀하신 건지 자세히 말씀해주실 수 있나요
2022.08.0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1.
심교수님은 박사 때부터 연구원 근무할 때까지도 McCard를 우선으로 연구하신 분이셔서 코드개발이 사실상 그분의 커리어십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노물리 연구실들이 그렇듯 노심설계와 코드개발은 결국 물고 물리는 관계여서 둘 다 다루시기도 합니다. 새로운 노심해석을 위해 자체 코드를 개발해서 안전해석을 하기 때문에 둘을 완전히 떼어서 생각하긴 어렵습니다.
2.
정교수신데다가 학계쪽에서도 상당히 위치가 높으셔서 교수님들을 대하실 때 매우 신중하셔야하며, 의견교환도 수직적이십니다. 그리고 나머지는 김박사넷 평가랑 대충 맞습니다. 그런데 이부분은 체념하셔야하는 게, 현재 skp 노심설계 교수님들 다들 80~90학번대셔서 모두 권위적이신 면이 있으시니 공통적인 단점이겠네요.
실적면에서는 주교수님은 정치쪽도 자주 발담그시지만 코드개발 실적은 현시점에도 상당히 준수하신 게 자대생들 사이에서도 꽤 의외라고 평가받고요. 심교수님은 실적이... 질문자님께서 검색하신대로 부족하십니다. 해외실적도 부족하고, 있는 실적들은 대부분 국내위주세요...(개인적으로 여긴 안 가셨으면 합니다.)
주교수님 제 기억으로 이번년도에 자대생 중에 컨택한 학생 거의 없습니다. 차라리 주교수님 추천드려요. 두 분 다 코드를 통한 노심해석이 주력이시지만, 주교수님은 코드개발 및 노심설계 전반적으로 다루시고, 심교수님은 기존 코드들 위주로 노심해석하시는 편입니다. 미묘하게 달라요
2022.08.0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솔직한 마음은 노심설계 교수님들 많이 고이셔서 참.... 할말하않
얌전한 제임스 와트작성자*
2022.08.06
정말 감사합니다.. 다만 들으면 들을수록 제가 우려했던 것과 차이가 거의 없네요. ㅎㅎ;
가뜩이나 없는 노물리. K,S 연구실 셋 중에 둘 줄어드네요.
K 떨어지면 세부전공을 바꿔야하나 싶습니다.. 하..
2022.08.0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K 노물리면 김교수님이실텐데 사실 실적으로만 보면 주교수님이 나으실 수도 있어요. 세 분 다 노물리쪽에서 워낙 거장이셔서 권위적이시라는 점은 공통사항입니다.
김교수님은 주교수님에 비해 노심에 집중하십니다. 코드개발 목표시면 주교수님 추천드려요.
2022.08.0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아 랩실 기준으로 심교수님쪽 원생들 분위기는 되게 좋더라구요. 교수님이 노터치 위주셔서 랩실원들끼리 으쌰으쌰합니다. 이번에 저희과에서도 정말 성격 좋은 형이 들어가더라고요.
그리고 이건 전해들은 얘기인데 심교수님 화를 어지간하면 안 내신다는 거 보면 의외로 무난한 대학원생활일지도?
얌전한 제임스 와트작성자*
2022.08.07
코드개발 말구, 디자인 측면에서는 그럼 심교수 랩이 활발하다는 거겠네요.
서울대 대학원에서 순혈주의에 대한 말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위 두 랩실에 적용해서요
얌전한 제임스 와트작성자*
2022.08.07
타대생 현황에 대해서도 궁금합니다.
2022.08.0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순혈주의는 사실 원생들의 타대생 차별보다는 교수님의 자대생 선호현상에서 비롯되는데 대부분의 교수님들은 학과불문 서울대 자대생들을 '매우' 선호하십니다.
그러다보니 차별당한다고 느낄 가능성은 솔직히 충분한데 그나마 다행인 건 학생들끼리는 그정도로 덜떨어진 인간이 별로 없으니 안심하셔도 되고요.
타대생은 물어보니까 그렇게 많진 않다더라고요. 교수님이 받을 학생만 받다보니 타대생이라고 막 받진 않는 듯해요.
2022.08.0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물론 비인기분야다보니 자대생 비율도 높진 않고, 타대생도 많진 않을겁니다. 추측컨테 자대생 40프로 정도? 지 않을까요
얌전한 제임스 와트작성자*
2022.10.27
안녕하세요. 혹시 심 교수님은 따로 연구실 홈페이지가 없나요?
검색해서 들어가면 neutron.snu.ac.kr 이 나오는데, 이건 주 교수님 연구실 같아서 여쭤봅니다
쑥스러운 밀턴 프리드먼*
2022.08.08
주랩은 절대 추천하지 않습니다.
지도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학생들이 알아서 합니다.
근데 그러면 논문이라도 알아서 낼 수 있게 해야하는데 그건 또 아니고 교수님 리비전을 무조건 받아야 낼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리비전이 빠른 것도 아니며 1년씩 걸리는 건 예사입니다.
2022.08.05
대댓글 14개
2022.08.05
2022.08.06
2022.08.06
2022.08.06
2022.08.06
2022.08.06
2022.08.06
2022.08.06
2022.08.07
2022.08.07
2022.08.07
2022.08.07
2022.08.07
2022.10.27
2022.08.08
대댓글 2개
2022.08.09
2022.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