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등록금도 커버 안 되는 곳 많습니다
석사 월 220 받는 랩 흔한가요?
29 - 불법이고 연구윤리 위반입니다. 랩비로 활용하는 연구실을 보시면 신고해주세요.
석사 월 220 받는 랩 흔한가요?
29 - GPT가 썻나보네요
당신과, 당신의 과학을 사랑합니다.
14 - 대부분의 실험과학과 공학 연구는 교수 혼자 하는 연구가 불가능함. 대학원생은 그 노동력을 제공하고 인건비를 받고 최종적으로는 학위를 받는 거고.
다만 혼자 혹은 소수가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인문/사회학이나 이론과학(수학 포함)의 경우 대학원생이 연구에 크게 도움이 되지는 않을 수 있음. 하지만 여전히 학생 지도하며 공부가 되거나 책임감으로 연구를 진행하게 되는 정도의 장점은 있음.
그리고 분야를 떠나 대학원생 키우는건 후속 세대를 키운다는 점에서 중요함. 대학원생이 없으면 다음 세대 교수도 없음.
교수님이 대학원생을 데리고있으면 좋은 이유가 있나요?
12 - 원래 그런게 어딨음 ㅋㅋ 교수가 실적 독점하려고 하는거지. 혹시 나중에 기술이전하면 돈도 혼자 다 먹고 ㅎㅎ 그런 욕심쟁이 교수들 많음. 지분율 5~10%만 떼어줘도 될텐데 별거 아닌 욕심으로 학생들과 연구원들에게 욕먹고 신뢰를 져버리는 어리석은 짓이지.
특허는 원래 교수혼자 단독으로 가져가나요?
21 - Q) 원래 한국은 이런식인가요? -> A) 아뇨 그 교수가 욕심부리는겁니다
특허는 원래 교수혼자 단독으로 가져가나요?
16 - 대한민국 최초의 노벨상 수상자 배출 대학다운 결정이네
연대 박사장학금 쩌네요..
12 - 전액이 아니라 정액 이던데
연대 박사장학금 쩌네요..
11 - 학교에서 교수한테 연구비뜯어서 내주고 생색내는거라 들었습니다. 결국 연구실입장에서는 똑같습니다.
연대 박사장학금 쩌네요..
15 - 교수들 돈 뜯어서 모아서 주는 거라 주는 방식만 바뀜.
이미 교수들 돈 뜯은거라 저거 받고 과제 인건비도 그 전처럼 지급할 리가 없음. 그만큼 제하고 주겠지.
학생 입장에선 과제에서 100% 주던걸 저거 50 과제 50 주는 걸로 바뀌는 차이? 의미 없음.
단 하나의 의미는 이 예산 삭감 상황에서도 돈이 남아도는 극소수 랩에서는 과제인건비 상한선이 높아질테니 더 줄 수 있다 정도?
결국 원래 많이 주던 랩이 더 줄 수 있는 여지가 생겼다 외에는..
연대 박사장학금 쩌네요..
14 - 정신나간 교수인듯…
특허는 원래 교수혼자 단독으로 가져가나요?
11 - 제대로 찾아보지 않은거라 틀렸을수도 있음.
이거 오히려 2년만 주는거라 학생한테는 안 좋은거 같음.
2년 뒤에 교수가 너 이제 장학금 안 받으니까 이제부터는 인건비 그만큼 올려줄게 라고 할까? 글쎄...
교수 입장에서는 학교가 준 거고 내가 준거 아냐 그걸 왜 나한테서 달라고 하는거지? 할 가능성이 큼.
게다가 박사 2년을 했으니, 그만두기도 애매하고, 그냥 다녀야함. 그래서 2년으로 설정한 것 같음.
학교랑 교수 입장에서는 완벽한 설계인 듯. 장학금에 낚여주면 감사한 상황.
돈이 넘쳐서 더 줄 수 있는 연구실과 돈이 너무 없는 무급 연구실 학생들한테만 좋은 경우 같음.
연대 박사장학금 쩌네요..
15 - 그사람이 밉상이라 거슬리는거죠. 뭔가 득되는 사람이었음 안거슬렸을거임
연구실 내에서 사적인 전화하는 게 맞나요,,?
14
학부생인데 혹시 pytorch 추천하실 책이 있나요?
2022.08.03

파이토치로 ai 개발을 하고 있는 학부생입니다.
대학원에 언젠간 진학하겠지만 먼저 엔지니어로서 소양을 다지고 싶습니다 ㅠㅠ
제가 ML engineering에 관심을 갖게되면서 한두권의 책을 샀는 데, 초심자? 입무자 수준의 책들이었습니다.
혹시 추천하실만한 책이 있을까요?
파이토치 사용하는 책 위주로 추천부탁드려요..!!
(짧은 버전)
================================
(상세)
아 그리고 저는
CNN, RNN, LSTM, TRANSFORMER 정도 원리를 대략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상태인 반면에 백엔드 지식이 부족합니다.
CV에서 요즘 ViT에 관심을 두고 있구요.. object detection, behavior recognition, tracking ... 등등에도 관심을 갖고 찾아보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학부생이라서 서면으로만 조금 공부하고 실전은 이제야 슬슬 익혀가고 있는데 (ai 모델 개발, 학습 ...)
그러던 도중에 ml engineering이 제 관심과 겹치는 것 같아서 책을 찾는 도중이었습니다!
한글로 된 책이면 좋겠습니다(영문은 더듬더듬 읽는 수준입니다)
그리고 혹시 CV, NLP로 좋은 책 있으면 그것도 추천해주시면 감사합니다!!
이상.. 가끔 박사넷에 들어와 언니오빠들 이야기 보러오는 학부생이었습니닷 감사합니닷
-
90 10 46290 -
0 5 635
파이썬 및 머신러닝 책 추천부탁합니다 김GPT 0 3 2320
비전공자 인공지능 최적화이론 공부 김GPT 2 14 7094
학부연구생 CV 김GPT 0 2 2470-
1 15 11814 -
0 3 947 -
3 31 5819 -
0 11 1611
슬픈 국내 AI의 현실 명예의전당 123 38 36664
주저자 논문을 써보고 싶은 학부 저학년들에게 명예의전당 164 21 47390
논문 1저자 투고 후 아예 제명 당했습니다. 명예의전당 130 85 76299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 좋소 미국 공대 교수 질문 받습니다
60 - 이제 슬슬 spk거릴 시기 지나지 않았나..
159 - 욕먹을 생각하고 쓰는 꼰대글 (feat. 9 to 9)
125 - 대학원을 무작정 버텨서 졸업하라는 것은 옛말
50 - 대학원생이 행정일 하는게 그렇게 징징댈 일임?
45 - 학부 수준에 따른 실력차
57 - 난 그냥 칭찬받고 인정받고 싶었던 것 뿐인데
18 - 모두가 잊고있는, 반드시 잊혀질, 대학원의 본질
72 - 석사 월 220 받는 랩 흔한가요?
25 - 대학원에서 어른이 된다는 것은…
33 - 당신과, 당신의 과학을 사랑합니다.
31 - 경희대 국제 현직이신분 계십니까~
6 - 대학원은 정말 우울에 매몰되기 쉬운 환경인 것 같습니다
13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CS분야 상위권 교수 임용, 커트라인이 오르고 있습니다.
24 - 지금 석사 취업이 너무 힘든 것 같습니다.
36 - 교수님이 대학원생을 데리고있으면 좋은 이유가 있나요?
12 - 학부생과 대학원생 연애 헤어진 후
6 - 고려대 토익 600점대면 쓰면 마이너스인가요?
10 - 교수님에게 언제쯤 도움이 될수 있나요?
6 - 특허는 원래 교수혼자 단독으로 가져가나요?
14 - kci 논문과 sci 논문 질문
10 - 연대 박사장학금 쩌네요..
10 - 연구실 내에서 사적인 전화하는 게 맞나요,,?
12 - 취업 vs 대학원
13 - 다른 사람을 왜 설득해야 하죠?
15 - 학부 조교 활동
8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좋소 미국 공대 교수 질문 받습니다
60 - 이제 슬슬 spk거릴 시기 지나지 않았나..
159 - 욕먹을 생각하고 쓰는 꼰대글 (feat. 9 to 9)
125 - 대학원을 무작정 버텨서 졸업하라는 것은 옛말
50 - 대학원생이 행정일 하는게 그렇게 징징댈 일임?
45 - 학부 수준에 따른 실력차
57 - 난 그냥 칭찬받고 인정받고 싶었던 것 뿐인데
18 - 모두가 잊고있는, 반드시 잊혀질, 대학원의 본질
72 - 석사 월 220 받는 랩 흔한가요?
25 - 대학원에서 어른이 된다는 것은…
33 - 당신과, 당신의 과학을 사랑합니다.
31 - 경희대 국제 현직이신분 계십니까~
6 - 대학원은 정말 우울에 매몰되기 쉬운 환경인 것 같습니다
13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안녕하세요 spk 2학년 학부생 카네기 멜론 석사 질문 드립니다
9 - 미국석사 준비하는 사람들을 위한 tip
20 - CS분야 상위권 교수 임용, 커트라인이 오르고 있습니다.
24 - 지금 석사 취업이 너무 힘든 것 같습니다.
36 - 교수님이 대학원생을 데리고있으면 좋은 이유가 있나요?
12 - 고려대 토익 600점대면 쓰면 마이너스인가요?
10 - 특허는 원래 교수혼자 단독으로 가져가나요?
14 - kci 논문과 sci 논문 질문
10 - 연대 박사장학금 쩌네요..
10 - 연구실 내에서 사적인 전화하는 게 맞나요,,?
12 - 취업 vs 대학원
13 - 다른 사람을 왜 설득해야 하죠?
15 - 학부 조교 활동
8
2022.08.03
대댓글 1개
2022.08.03
대댓글 1개
2022.08.03
대댓글 2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