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학부생 SCI급 논문

2022.06.26

9

5268

이번에 학부연구생으로 연구활동 하고 있는데, 교수님께서 SCI논문들좀 확인하시더니
저희 연구 성과가 기존 논문들보다 퍼포먼스가 더 뛰어나고 시사점도 많다고 하시더라구요..!

그래서인지 저희와 함께 SCI급 논문을 작성하기로 하셨는데 학부생 수준에서 SCI 논문 1저자가 된다면 어떤 영향력이 있는지 궁금해서 이렇게 글 남겨봅니다.

외국인 교수님이시긴 한데, accept된다면 향후 퍼포먼스에 어느정도 영향력이 미칠지 한번 고견 여쭤보고자 글 남겨봅니다 ㅎㅎ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멍때리는 하인리히 헤르츠*

2022.06.26

질문이 어디에 무슨 영향력이 있냐는거죠..? 대학원 입시할때 좋게 작용하겠죠

IF : 5

2022.06.26

이득이죠

대댓글 1개

IF : 5

2022.06.26

근데 교수가 내보자고해서 sci 무조건 나간다고 장담할 수 있는건 아닙니다. 억셉될때까지 시간도 오래걸리고요.

2022.06.26

분야와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그 연구가 석사나 박사과정 중일 때도 논문게재가 안될 수도 있습니다.
제가 아는 것은 제 지도교수님이 포닥 때 하던게 Cell에 게재됐는데 그게 8년 걸렸습니다.

대댓글 2개

2022.06.26

학부생 때 되면 좋긴하죠. 취업할 때도 뭐라도 이득이 될테고 대학원 갈 때도 이득이 될겁니다.

2022.06.26

와... 저희 분야는 오래 걸려봤자 1년+@인데 8년까지 걸리는 분야도 있군요... 게재가 결국 됐다는건 그 논문의 novelty가 그때까지도 유지되었다는 것인데 그게 더 신기하네요. 리스펙..

2022.06.26

학점도 좋고 영어도 준비되면 논문실적과 함께 미국박사 준비하셔도 좋겠죠

2022.06.26

실적이 있으니 바로 미국 박사 지원해도 되겠죠. 분야마다 다르긴 하겠지만 저희 분야 기준으로 적어도 6개월 이상 걸립니다.

2022.06.26

우선 자신감과 경험이 생기게되고, 실적이 나오면 당연스럽게 분야에 더더욱 흥미를 갖게됩니다.
또한 연구실 지원시 큰 자산이 될것입니다.
저도 대학원 생각이 없었는데, 한번 경험삼아 했던 학부연구생동안 지도교수가 던진 아이템에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해서(오히려 분야에 대해서 무지했어서 그런 생각이 가능했다고 봅니다) 논문을 쓰게되고, 이 계기로 상당히 연구에 흥미를느껴서 박사학위까지 받았네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