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K 중에 하나입니다.
1. 과제 과할만큼 많이 따오심
2. 본인이 해오지 않았던 새로운 분야 개척을 원합니다.
3. 본인이 해오지 않았기 때문에 그만큼 잘 모르시고, 연구나 과제 수행에 있어 대학원생들에게 아직 까지는 많이 의존하십니다.
4. 그러다 보니 가끔씩 잘 모르고 지시를 내리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5. 하지만, 연구실 사람들은 아니면 아니다라고 이야기를 하기 보다는 예예하고 나중에 불평불만을 합니다.
6. 그러다보니 연구지도에 있어 디테일 적인 면은 떨어지는 편입니다.
7. 그럼에도 큰 틀에서 연구의 성립 여부, 연구 방향성에 대해서는 잘잡아주신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8. 연구 욕심도 많으시고, 학생들에게 관심을 많이 가져주십니다(물론 그걸 싫어하는 학생들도 꽤나 있는 편입니다.)
9. 또한, 인건비나 기타 생활적인 면에 있어 아낌없이 지원해주십니다.
어찌보면 새로운 분야를 하고 있다보니...
디테일한 지도는 조금 떨어지긴 한데
그만큼 주도권을 가지고 연구를 할 수 있습니다.
교수님이 확실한 주도권을 가진 연구실을 경험해보지 못했는데..
다른 연구실은 어떤가요? 그리고 교수님이 꽉잡고 가는 거랑 비교했을때 어떤게 나은 방식일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9개
꼼꼼한 아리스토텔레스*
2022.04.21
거기서 버티고 살아남으면 쭉쭉 뻗어나갈 수 있지!
IF : 5
2022.04.21
앞에서 아닌건 아니라고 잘 얘기하는것도 능력인데... 학생들이 가뜩이나 개척하는 상황에서 일을 좀 꼬고있는 측면이 있네요.
2022.04.21
비슷한 상황의 연구실 박사중이고 있고 저는 5에서 문제가 생긴다고 생각해요.
그 자리에서 아닌건 아니다라고 얘기할 수 있어야 합니다. 본인 연구 주제인만큼 뚝심있고 주도적으로 주장할 수 있게 충분한 공부와 고민이 필요하겠죠.
앞으로 본인 연구에 태클이나 의문을 가지는 사람들이 꽤 많을건데 날 뽑아주고 지도해주고 싶어하는 지도 교수님조차 이기지 못하면 그 사람들을 어떻게 이기겠냐는 마인드로 임해야합니다.
물론 당장은 쉽지 않겠지만 자기 연구 주제에 대한 자신감이나 애정이 있으면 결국엔 해낼 수 있다고 봅니다.
저도 선배님들께 배운 건데 연구에 임하는 자세부터 고쳐지더라구여. 홧팅.
2022.04.21
저는 미국대학에 있는데 저희 랩 한정, 모든 진행되는 프로젝트가 그런식입니다. 교수님은 정말 매니저 역할만 하고 있고, 학생들이 모두 각각 새 분야를 연구합니다. 장점은 잘 살아남으면 나중엔 학생들이 해당 분야 개척자가 되서 잡 찾기 아주 용이하고, 못살아남으면 혹은 분야가 이상하면 박사 졸업도 위태해지더라구요.
허기진 노엄 촘스키*
2022.04.21
보통 이런 식으로 교수는 대학원생이 공부해온 내용을 거꾸로 배우죠. 교수가 공부해서 빠삭하게 알고 연구 진행하는 경우는 정말 거의 없습니다. 그런 교수 딱 한 번 본 적 있네요 (교수가 새로운 분야 6개월-1년 공부해서 정리한 노트를 학생들에게 제공)
겁먹은 존 폰 노이만*
2022.04.21
대부분의 랩이 다 비슷한 것 같아요.
털털한 제인 오스틴*
2022.04.21
교수가 내용을 다 알고 있어서 학생들을 drive 하는 경우에는 학생들이 스스로 배우는게 별로 없는거 같아요. 학생이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게 하는게 (이론적으로는)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이 과정에서 잘해내면 포닥 가는거고 못하면 취업하는거죠.
대댓글 4개
방정맞은 안톤 체호프*
2022.04.21
“이 과정에서 잘해내면 포닥 가는거고 못하면 취업하는거죠.”
이건 무슨 말이죠? 취업하는 사람은 실력이 떨어지는 낙오자라는 말인가요?
2022.04.21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학계를 희망했던 사람들에 한한 이야기라 생각하면 될 거 같네요
꼼꼼한 아리스토텔레스*
2022.04.21
교수가 내용을 다 알고 있어서 학생들을 drive 하는 경우 - 선생님
원글 경우 - advisor, principal investigator
선생의 역할은 학부때 끝 .
2022.04.21
교수 전문 분야를 학생이 연구하게 되면 적어도 처음에 뭘 공부해야 하는지 정도는 가이드를 받을 수 있을 텐데, 교수가 큰 주제만 던져주고 학생이 맨땅에 헤딩하면서 배워야 하는 경우는 처음 2년 정도는 너무 힘든 것 같아요. 이런 문화를 가진 랩의 장단점은 위에 댓글들에 동의함.
2022.04.21
지식 떠먹여주는건 학부가 끝이에요
2022.04.21
저도 4년차 즈음부터는 교수님은 제가 발표하면 그냥 듣기만 하세요. 평소 내 맘대로 연구 방향을 이끌 수 있은 건 좋은데, 가끔 스스로 한계가 느껴질 때 시니어 리서쳐의 의견을 구할 곳이 없다는 게 답답하게 느껴지곤 했습니다. 아직 졸업은 못했는데 지금은 지도 교수님이 소개해주신 분야의 대가와 일하고 있어요. 이 분은 실험 전문가인데 저는 시뮬레이션&이론 전공이라서, 차라리 혼자 일하던 때가 좋았던 것 같습니다 ㅋㅋ
2022.04.21
댓글이 조금 충격적이네요. 지도교수의 역할은 학생을 지도할 뿐 아니라 연구를 바라보는 철학과 관점, 지식까지 모두 알려주는 겁니다. 학부처럼 수업을 통해 하나하나 알려주는게 아니라, 연구 그 자체에 대한 방향성과 특히 저년차때 지식을 알려주는 것 역시 포함입니다.
2022.04.21
학생 혼자 새로운 실험 개척하고, 교수로부터 배우는 게 없으면 뭐하러 대가랩을 가려고 하는지 모르겠네요. 학교 상관없이 교수 인품 좋고, 연구비, 인건비 빵빵한곳 가서 혼자 연구하면 되죠. 세계 유수의 대가랩 출신 박사들이 다른 곳에서 임용되어 실적을 잘 내는것은 그들이 원래 잘했던것 뿐 아니라, 그 연구실에서 보고 배운것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https://academictree.org/ 저는 이런식으로 방치되는 연구실 문화가 굉장히 안좋고, 교수로부터 얼마나 지도를 받을수 있는지가 아주 중요하다고 여깁니다.
대댓글 1개
2022.04.21
일단 제가 속한 랩의 경우 방치는 아닙니다.
끊임 없이 관심가져 주십니다.
논문의 경우에는 음 지식적인 부분보다는 디테일에 함정에 빠지지 않도록 끊임없이 검토해주십니다.
물론, 어쨌던 논문이라는 결과물을 요구합니다.
그리고 심심하지 않도록 과제를 끊임없이 가져다 주십니다ㅎㅎㅎ지식적인 부분에 대한 지도는 아무래도 부족하나, 큰틀에서(investigator 보다는 더 세심하게) 잡아주시곤 하는데 그래서 저는 저희 지도교수님이 대가까지는 못되더라도 어느정도 긍정적인 부분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연구실 원들의 생각이 다 그런건 아니다 보니하는 푸념글 이었습니다
2022.04.21
원래 연구가 그런거 아닌가요? 잘아는 걸 계속파는건 연구 가치가 없어요. 잘모르는걸 게다가 남들도 모르는걸 파야 연구 가치가 커지죠.
2022.04.22
우리 랩은 교수님이 매 학기마다 랩미팅 자료 준비해서 발표하고 연구주제 제안도 함. 박사과정들도 같이 안되는건 안된다, 된다 편하게 하는 이야기이고.. 그래서인지 학생들도 자연스럽게 아이디어 제안하고 토론함. 당연히 관련 자식들 공부하는건 자기 몫인데 상위 10%에서 출판되는 논문들조차 이게 무슨 의미가 있는 싶은 논문들이 정말 많음. 지도교수의 역할은 연구의 본질적 가치를 일깨워주고 특히 제안 단계에서 많은 역할을 한다고 생각함. 학생이 학술적으로 큰 의미가 없는데 시간을 많이 쏟는만큼 안타까운 일이 아닐수가 없음.
2022.04.24
사람마다 관점이 다르겠지만 난 본인이 진짜 거의 모르는 분야 과제 억지로 따오고 개척하는 분과 본인이 잘 알고 잘하는 분야만 파시는 분의 차이를 직접 느껴본 결과 걍 압도적으로 후자임. 지도력 차이가 넘사임. 교수 자체가 그 분야에 대해 정통하기 때문에 지도에 큰 의미가 있는건데 본인도 잘 모르는걸 지도해서 어케 좋은 논문을 쓰는게 가능하겠음.. 위에 정말 좋은 말이 있는데 석박사가 하는 연구의 학술적 가치를 재단하고 방향을 잡아주는게 교수의 역할이라고 생각함. 그런 쪽으로 봤을때 전자는 교수의 역할을 거의 못한다고 봄.. 랩미팅하면 머함?? 들을수 있는 코멘트에 전문성이 없는데.. 그리고 결국 그차이가 실적 차이로 이어지는거지. 여러모로 별로라고 봄
2022.04.21
2022.04.21
2022.04.21
2022.04.21
2022.04.21
2022.04.21
2022.04.21
대댓글 4개
2022.04.21
2022.04.21
2022.04.21
2022.04.21
2022.04.21
2022.04.21
2022.04.21
2022.04.21
대댓글 1개
2022.04.21
2022.04.21
2022.04.22
2022.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