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CV쪽 전공한게 후회되네요

2022.03.16

13

3923

나름 탑티어(NeurIPS CVPR ICML ICLR+ICCV ECCV) 에 1저자로 4개 갖고있긴한데,

요즘 인플레가심해서 점점 기준이높아지는거같아요

잘하는 사람들도 계속 늘어나고, 매년 기준이 높아지니까 논문을 내야한다는 압박감때문에 스트레스가 심합니다.

해외취업 교수직은 아예 꿈도못꾸고 국내대기업 가는게목표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뻔뻔한 마이클 패러데이*

2022.03.16

이건 뭔..

대댓글 1개

2022.03.16

솔직히 이게 박사4-5년 하면 딱 평균아닌가요? 일년에 하나 내는건데

2022.03.16

흠..
속편한 아담 스미스*

2022.03.16

훌륭합니다.. 힘내세요!

IF : 2

2022.03.16

안그래도 CS쪽은 학회 위주로 돌아가다보니, 빠르게 트랜드가 변해서 거기서 오는 스트레스가 상당하다고 들었습니다.
연구 결과 몇달만 늦게나와도 옛날방식이 된고 뒤쳐진다고 하더군요

2022.03.16

저는 능력이 모자라서 Submit 은 일년에 세네개정도 하는데 그중에 한개씩 되는거같아요

학회를 최대 세번정도 거치면 1년이 지나버려서 논문을 preprint 상태로 놔두고 새로운걸 해야되니까 이번에는 꼭 accept되어야한다는 스트레스가 장난아니네요

대댓글 2개

IF : 2

2022.03.16

그럴것 같습니다. 한번 reject되면 다시 살릴수도 없으니 난감하겠네요.
다른 분야도 나름의 고충이 있으니, 위안삼고 버텨보시기 바랍니다.

제가 하는 분야는 반대로 논문하나 나오는데 투고 후 억셉까지 리비전 2번 정도 해야되고, 기간은 보통 1년, 오래 걸리면 2년까지도 걸립니다.
논문 한편 분량이 더블컬럼으로 10~20페이지 되기 때문에 작성하는데도 시간 많이 걸리고 리젝되면, 좀 더 낮은 저널에 내서 또 1년을 기다려야 합니다.
그래서 박사 졸업할때 scie 저널 1~2편 가지고 졸업하죠...
문제는 이걸 가지고 학계로 가려면 정량적 편수가 부족해서 힘듭니다. 결국은 기업으로 많이 가죠.
아니면 포닥하면서 실적 열심히 쌓아야죠.

블루오션으로 떠오르는 일부 분야를 제외하면 상황이 크게 다르지는 않을거라고 봅니다.
그러니 힘내시고 박사과정 마무리 잘하시기 바랍니다.

2022.03.16

CV말고 논문쓰는데 시간이 더 많이 걸리는 다른 분야였으면 4편 채우지도 못했을텐데요ㅎㅎ 각 분야가 장단이 있다고 생각하셔야 합니다

2022.03.16

박사 졸업이 가까운거 같은데 어쩌겠어요 포기하시고 포닥가서 많이 쓸 생각 하세요
씩씩한 카를 마르크스*

2022.03.16

그러게요. 인플레 때문에 경쟁에서 많이 뒤쳐지셨네요. 국내대기업은 갈 수 있지 않을까요

대댓글 1개

씩씩한 카를 마르크스*

2022.03.16

근데 어차피 상대평가이니 불평불만 할 필요 없을 듯 합니다. 결국 잘하는 사람, 진짜 탑 논문 있는 사람이 교수로 가겠죠.
청승맞은 프랜시스 크릭*

2022.03.16

제작년만해도 3편이면 상위권대학 교수도 가능했는데 말이지

대댓글 1개

2022.03.17

그건 아님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