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연구계획서에 과학적으로 틀린 내용이 들어가면 큰일나나요?

2021.10.02

11

2482

뭐 화려한 전문지식을 추가적으로 많이 알고 있는 학부생 아니고
전공에서도 어려워하는 부분 많은 평범한 학부생입니다.

연구계획서를 쓰는 중인데 음...

관심 분야의 연구 가치, 최근 동향, 한계점 1문단정도 언급하고
1문단정도는 그럼 나는 무슨 연구를 해보고 싶은지 논문 읽다가 생각난거 몇가지 적고,
마지막 1문단은 다짐...? 정도 써서 낼까 하는데요.

중간 부분이 제일 중요할꺼 같은데 제일 잘 모르겠네요.
이런거 해보고 싶다 해서 적었는데 교수님들의 시선에서는 과학적 내용상 안맞은 헛소리면 어쩌죠. 크게 마이너스 될까요..

근데 아직 제가 아는 전공상으로는 안틀릴 자신이 없는데 교수님도 그정도는 감안하고 읽으실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활기찬 프랜시스 크릭*

2021.10.02

님이 암만 맞게써도 틀릴텐데요?

대댓글 1개

2021.10.02

그럴꺼 같긴해요ㅋㅋㅋㅋ그냥 최소화해서 대충 이런 기대효과가 생길 연구를 하고 싶다 이런식으로만 말하는게 나을까요? 괜히 있어보이는 말하다가 틀리는것보단..

2021.10.02

관련 논문이라도 좀 읽어보고 쓰세요

대댓글 4개

2021.10.02

과학적 내용상 헛소리인지 아닌지를 밝혀내는게 연구의 기본인데 그냥 쓰고보겠다는건 기본자세부터 아웃임

2021.10.02

아뇨 제 상황은 논문을 안읽어서 이런 고민을 하는게 아니구요. 관련 논문은 1년 전부터 짬짬이 읽고 정리도 해보고 하는데 그런걸 읽으면서 이런걸 이런걸로 해보면 어떨까? 하는 사소하지만 저의 생각들이 있잖아요. 그런것들을 연구 계획서에 적으려고 했는데 논문 읽음에도 불구하고 전 전문가가 아니니 과학적으로 실현 가능성이 없는 내용일까봐요.
확신이 안들면 제 생각은 최소화해서 적는게 맞을까요

2021.10.02

그럼 어떠한 논문을 읽었고 이 논문의 결과가 이렇게도 응용될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는 식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가 보세요. 단순히 서술하기 보다는 어떤 점에서 응용성을 보았는지 사고의 흐름을 구체적으로 적되, 실현성에 대한 부분도 이렇게 생각해보았다 라는 정도로 써 보셔요. 혹시 틀렸다면 면접에서는 연구 경험이 적다보니 미쳐 파악하지 못했으니 대학원에 입학해서 다른 방법을 모색해 보겠다 라는 식으로 대답하시면 될 것 같아요 제가 상황을 오해해서 뉘앙스가 좀 안좋았던 것 같네요 죄송합니다 건승하십쇼!

2021.10.02

말씀해주신대로 뉘앙스만 좀 바꿔도 괜찮을 꺼 같네요.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2021.10.02

학부생 아가한테 날이 서있네ㅋㅋ 니네 찐 같다

대댓글 2개

2021.10.02

ㄹㅇ 한국은 살기에 너무 피곤하다. 다들 왜그러는지..

2021.10.02

다시 제 글을 읽어보니 제가 상황 설명을 오해할 여지가 있게 적은 것 같습니다. 다들 댓 감사합니다!!

2021.10.03

괜찬음 ㅂㅅ ㅅㄲ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