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3년제 전문대 졸업 후 학점 은행제를 통해 학사 학위를 취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컴퓨터공학석사(분산 컴퓨팅, 지능제어 시스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목표로 추가적인 학문을 해보고자 하는 학생입니다.
대학교 입학 전까지는 각종 산업체 경력(서비스 개발 등)을 쌓았었는데, 학습의 목적과 더불어 다른 환경에서 많은 사람을 만나면서 문제 해결 능력을 길러보고자 대학교에 진학하게 되었습니다. 현재는 더 나아가 대학원에 진학해보고자 합니다. (대학원 입학 시 나이는 28세입니다)
3년제 전문대졸(131학점) 4.5 / 학점은행제(18학점) 성적 미정
정보처리산업기사, 사무자동화산업기사
TOEIC 765점입니다.
아무래도 학점은행제를 통한 학사 학위이다 보니 불이익이나 차별이 있을 것은 예상합니다. 현실적으로 포스텍, KAIST 등 공과 계열 대학원 탑에 위치한 대학원을 목표로 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렇다면 과기원(UNIST, DGIST, GIST 등)에 대한 가능성은 어떻다고 생각하시나요? 도전해볼 가능성이 있다면 도전해보고자 합니다.
또한 비슷한 케이스로 진학하신 분이 계셔서, 어떻게 준비하셨는지 공유해주신다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현실적인 조언을 받고자 이곳에 글을 남겨봅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0.01.14
독학사 학위로 IST는 솔직히 어렵습니다...
2020.01.14
ㄴ그럼 어느정도가 마지노선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게시판 서칭을 조금 해보니 일부 인서울권(숭실,성균관 등)은 인원 부족으로 가능하다는 의견도 있던데 이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2020.01.14
열정으로 어필한다면 지거국은 가능하지싶네요
2020.01.14
서포카 ist 연고 성한 까지는 힘들듯 합니다. 그 아래로는 일단 컨택은 계속 해보세요. 아 그리고 UST라고 정출연에서 석사학위 받으시는 코스고 있는데, 완전히 학계로 가실 생각이 아니시면 이쪽도 고려해 보시길. 실험하는 분야면 잡일하다 배우는거 없이 졸업할 수도 있어서 비추천하겠는데 컴퓨터쪽이면 UST도 고려해볼만하다고 생각합니다.
2020.01.14
4년제대학 편입 후 대학원 준비하세요
2020.01.14
댓글 달아주신 세분 모두에게 감사드립니다.
학과 교수님들이 지거국 출신이신데다 저의 거주지도 지거국 인근이라 지거국쪽으로 많이들 추천해주셨었습니다. 관심 분야가있는것은 당연하구요.
다만 해당 지거국이 최종 성적 증명서만 본다고하여 다른 대학의 대학원도 알아보는 과정이었습니다.
그 이유는 학점은행제로 학사학위를 취득할 경우 최종 성적 증명서에는 그 전 대학(편입,전문대 등)에 대한 성적과 이수 과목이 기재되지 않기때문에 많이 불리하다고 생각했습니다.
4년제 대학 편입의 경우 주변에서 반대의 의견도 많고.. 아직까지는 저도 확신을 못하고있는 상황입니다.
마지막으로 UST에 대해 소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관련 정보를 찾아보겠습니다.
2021.01.28
제가 아는 분은 학점은행제 그걸로 작년도에 건대 붙으셨던데
불가능한 것 같지는 않더라구요
교육대학원 지원하셨는데 처음엔 학점은행제가 불이익이나 이런것들도 있을 것 같고
인서울권은 아무래도 무리일것같다고 생각이들어 아주대 (아주대가 안좋다는것은 아닙니당,.,)
지원했다가 합격을해서 한번 더 도전해볼까? 라는 생각에 전기 지원으로 건대 지원하셨는데
건대도 합격하셔서 건대 진학하셨어요
학점은행제라 해서 불이익이나 이런건 없는 것 같아요
그래서 저도 그거보고 이번에 학점은행제로 타전공 학위 받으려고 준비중에 있거든요..!
2020.01.14
2020.01.14
2020.01.14
2020.01.14
2020.01.14
2020.01.14
2021.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