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SCI / 저널 / 임팩트팩터' 제가 이해한것이 맞나요?

2021.09.03

8

3062

제가 이해한것이 맞나요??

1. 대부분의 저널은 임팩트팩터가 있다.

2. 임팩트팩터가 높은것을 SCI급 논문이라고 한다.

근데 여기서 질문이 있습니다

그러면 SCI 논문이라는것이 되기 위한 임팩트팩터 몇까지의 기준이 있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배고픈 레오나르도 다빈치*

2021.09.03

1. 네
2. 아뇨
3. IF 낮아도 (0.5 미만) SCI인 저널 많습니다.

IF : 1

2021.09.03

1. SCI (Science Citation Index) 는 이름 그대로 "색인(Index)" 입니다. ISI 라는 일종의 출판사에서 Journal 혹은 논문집이 많다보니 다룰 가치가 있는(?) 논문들의 목록을 모아 놓은 것이죠. 여기에 권위를 주는건 (제가 알기론) 한중일이 심하고, 심지어 제가 갔던 학회에서 출판하는 저널을 SCI 등재시키는게 어떠냐는 건의를 한국 교수님이 말씀 하셨더니 어떤 교수가 헛소리 하지 말라면서 면박을 주던게 생각나네요 (...)

2. Impact factor 는 저 ISI의 형제회사인 Clarivate 에서 보유한 Web of Science 에 걸린 논문들끼리의 인용관계를 추적해 최근 두 해간의 평균 인용수를 나타낸 정량 지표입니다. IF가 높은 저널에 실릴수록 높은 인용수를 가지게 될 확률이 높아지니, 파급력이 큰 publication이 될 확률이 높아지겠죠? 하지만 이건 분야마다의 논문 쓰는 분위기에 따라 다릅니다. 예를 들어서 의학의 경우 인용을 하는 학문도 많고 의학 안에서도 워낙 많은 논문들이 나오다보니 인용이 기본빵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학과의 경우 (경상대 제외 ㅎㅎ) 편수 자체가 많지 않으므로 인용 되기가 어렵다보니 IF 보다는 학자들의 평판을 더 신경 씁니다.

대댓글 2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2021.09.03

1. 대부분의 저널은 임팩트팩터가 없다고 보는 게 맞음. 우리가 읽는 저널들이 대부분 임팩트 팩터가 있어서 그렇게 보일 뿐. 몇번 자기 이메일 걸고 논문 내다보면 듣도보도 못한 저널들에서 투고해달라고 스팸 엄청 날라오는데 세상에 저널은 많고 거기 올라오는 trash들도 많음.

2.sci는 IF로 구분하는 게 아니라 그냥 한 사기업이 정한 저널 목록. 사기업이 정해준 목록을 가지고 정부에서 좋은 저널이다 인증해주고 여기 출판하면 점수 주고 하는 것도 웃기긴 함.

대댓글 2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