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학부생이고 딱 학부생 수준의 질문을 가져왔습니다
저는 대학원에 가고 싶고 계속 연구를 하고 싶습니다.
그걸 위해서 일단 저는 우선 대학 공부에 열중해야 한다 생각했습니다.
여기까진 너무 당연한데..
보통 제게 공부를 한다하면 시험 준비를 하는거고
시험 준비를 한다면 저는 시험 범위에서
개념들을 다 설명할 수 있고
예제, 문제들을 반복적으로 풀고
중요하다 생각하는 증명을 외울만큼 필사를 해봅니다.
이렇게 하니 왠만한 시험에서 모르는 문제가 거의 없었고 실제로 성적도 잘 받았습니다.
그러다 며칠전 문득 든 생각이 이건 시험을 위한 공부지 학문을 위한 공부가 아닌듯 했습니다.
어차피 증명을 외우다시피 해도 솔직히 내년이면 까먹습니다.
물론 보면 아 이거 공부한거지! 이건 이거지! 합니다. 하지만 제가 외웟던 모든 공식들의 증명, 유도를 평생이고 기억할수는 없습니다..
지금 저는 군대에 있고 전공 공부를 시간 나는대로 하고 있습니다. 복습하는거니 시험도 없고요.
그러다보니 저는 제 공부법에 의문이 들었습니다. 어차피 까먹을 증명과 유도를 시험보듯 외울 필요가 있나? 하고요. 그리고 만약 아니라면 대체 어느정도로 숙달해야 하나 의문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김박사넷에 선배님들에게 질문합니다.
공부하는 시간을 여쭤보는게 아니라
깊이를 얼만큼 파야 하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꼼꼼한 프리모 레비*
2021.08.21
외울만큼 필사하는 것도 중요하고 잘하신 것 맞습니다. 적어도 한 분야에서만큼은 그렇게 체화된 이론과 감각이 있어 전문가가 되는 밑거름이 되거든요.
왜 그렇게 증명이 되고 다른 증명방법은 무엇이 있으며, 증명에서 사용한 다른 theorem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이며 등등 하나를 보더라도 분석하고 파고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댓글 1개
2021.08.25
분석하고 능동적으로 사고하는게 중요하군요! 감사합니다. 앞으로는 교과서에 있는 증명말고 다른 방법도 떠올려볼게요
2021.08.21
멋지십니다. 제가 학부 땐 작성자님만큼 준비하지 않아서 학점이 평범했어요.
공부법에 정답이 어디있나요.. 분야를 180도 바꾸지 않는 한 학부에서 배운 개념이 분명히 대학원에서도 쓰입니다. 왜냐면 그 학과에서 가장 범용적이고 일반적이면서 모든 최신 이론의 기반이 되는 내용을 학부 때 배우니까요. 비록 시험용 공부라 까맣게 잊더라도 다시 그 내용을 복습할 때 누구보다 쉽게 이해하실거에요.
그럼에도 대학원생! 이라면 수동적으로 암기랑 이해만 하기보다는 능동적이고 비판적인 자세로 근거를 생각하며 공부를 해야겠지요.
대댓글 1개
2021.08.25
앗 저도 자랑할만한 성적까진 아닙니다..ㅋㅋ 학업에 집중하기 힘든 시기가 있었어서 성적이 빠방하진 않은데 지금 보니 글은 제가 열심히 한 때를 기준으로 썼군요.
IF : 5
2021.08.21
학부 수준에서는 어느 과목 어느 분야에 어떤 개념과 수식이 있는지 정도 파악할 수 있으면 되는 것 같습니다.
어차피 나중에 연구하시면 쓰게되는 개념과 수식은 정해져있고, 구체적인 활용은 그때 파면서 직접 부딪히시면 됩니다.
아 그리고 개념과 수식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맨 처음 나오는 가정이 매우 중요합니다. 가정의 개념을 반드시 익히고 넘어가시면 좋습니다.
2021.08.21
외우는 것도 중요한데, 각 챕터, 과목을 연결해서 큰 그림을 그릴줄 아는게 나중에 큰 도움이 됩니다.
2021.08.23
학부공부 전혀필요없습니다. 서로 다른 영역이에요. 오히려 쌓아온 가치관때문에 정신적으로 손해봅니다. 학부공부는 보통 노력과 결과가 비례합니다. 근데 연구는 아니에요. 연구에서 필요한거는 센스고 이건 노력과는 다른영역이고, 또 실험이라는게 생각하는대로 되는경우는 본인이 잘못알고있을 가능성이 높을정도로 들이는 시간과 노력대비 결과가 좋지않습니다. 실험을 12시간 한다고하면, 실험준비와 디버깅 11시간에 진짜실험 1시간도 안됩니다. 공부만 열심히 해서 학점 그럭저럭 받아오며 4년을 살다보면 이 생활 못견뎌요.
대댓글 1개
2021.08.25
학부공부가 필요없나요? 저는 이론을 전공할거라 실험쪽이랑 다를수는 있겠지만, 어떤 말씀을 하시는지는 알겠네요. 그럼 공부만 하는게 아니라 어떤걸 해야 할까요?
2021.08.23
학부수준에서는 가장 적절한 공부인데요? 시험을 위해서 공부를 하신다면 그것 보다 훨씬 대충하지 않나요? 저는 학문적인 호기심으로 공부를 한다면 현재 공부법이 옳다고 봅니다. 그리고 까먹는 건 당연한거구요. 대신 면접을 보거나 컨택을 할때에는 다시 공부를 해야하긴합니다만, 그정도로 공부를 하셨다면 준비하실 때 대충하신분들과는 확연한 차이가 나요. 학문적인 부분은 그 정도로 하시고, 원하시는 연구분야 찾으셔서 필요한 타전공 공부와 실무적인 공부도 하심이 좋을 것 같습니다.
대댓글 1개
2021.08.25
학문적인 호기심으로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저는 물리학과이고 이론쪽을 더 철저하게 하고 싶어서 지금은 수학과 전공서적으로 공부 중입니다. 지금 군대에 있어서 실무적인 공부나 연구분야를 찾기에는 제게 시간이 넉넉하지 않네요... 전역이 얼마 안남았으니 전역하고나면 제 관심분야를 더 공부할게요! 감사합니다
2021.08.21
대댓글 1개
2021.08.25
2021.08.21
대댓글 1개
2021.08.25
2021.08.21
2021.08.21
2021.08.23
대댓글 1개
2021.08.25
2021.08.23
대댓글 1개
2021.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