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희 랩 BK 장학금 받는 연구실 입니다. 3명 정도가 장학금 혜택을 받는데, 그 학생들은 BK 장학금 + 일부 연구비 하여 대학원 등록금과 쥐꼬리만한 생활비를 충당합니다.
BK 장학금 받기전에는 연구비에서 동일한 금액이 모두 집행 되었구요.
즉 BK 지원 받기 전과 후 학생이 받는 인건비는 동일할 뿐이고, 연구비에서 집행되는 인건비만 줄어들었네요.
당장 등록금도 제대로 못주는 연구실이라면 BK 는 가뭄의 단비와 같지만, 그 외의 연구실은 그냥 교수의 장학금 같은데요.
BK 란 시스템이 학생에게 직접적으로 무슨 혜택을 주는지 잘 모르겠어요.
이것도 탁상행정의 결과물입니까?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8개
Thomas Mann*
2020.01.08
교수가 연구비가 부족해도 학생에게 인건비를 줄 수 있음
교수 개인이 연구비를 뒤로 빼돌린다면 모르겠는데 아니라면 아무 문제 없음
2020.01.08
글 쓰신게 마치 학생이 BK 따왔는데 왜 지도교수가 내 장학금을 빼앗아가냐 ㅡ 뉘앙스네요. BK도 학교 교수들의 국가사업 중 하나일뿐입니다. 취지가 대학원생 인건비을 충분히 계상해주자는 것일 뿐, 과제 제안서와 발표, 평가가 모두 교수들을 축으로 진행됩니다. 그 받은 펀드를 학생에게 어떻게 배분할지는 전적으로 교수가 결정할 문제인거죠. 그리고 많은 경우, 학생 월급을 늘리는것보다는 학생 수를 늘리는쪽으로 귀결됩니다.
2020.01.09
BK에 있으면 이런저런 교육관련 지원이 나옵니다. 당장 학회 참석 부터가 연구과제로 지원 받는거랑 BK에서 나오는거랑 다르죠.
연구과제에서 인건비가 덜 나가면 그 돈으로 재료비라도 더 쓸테니 연구할 기회는 많아질거구요. 교수가 뭐 돈 아낀다고 그게 그 사람 호주머니로 갈까요?
대댓글 2개
2022.12.15
진짜 잘 모르시네요....
2024.08.31
사실인데요? 덕분에 이번 연구비 삭감사태에서도 큰 무리없이 연구 진행중입니다만요.
물론 조금이라도 올려주었으면 하는 아쉬움은 있지만...
2020.01.09
돈벌러 대학원 가셨어요?
대댓글 1개
2022.12.15
그런건 아니지만 기본적으로 노동시간 대비 생활권 보장은 되야 대학원도 다닐만 한거죠.
2020.01.09
글쓴이 입니다. 윗 댓글들 처럼 대학원생이 좀 더 늘어나거나 BK지원으로 연구 환경이 풍족해 진다면 제가 글을 쓰지도 않았겠죠. 저희 연구실은 나름 과제도 풍족한 편이며 인원은 10명 정도 됩니다. 다만 BK 로 인해 저희랩 인원이 단 1명도 늘지 않았다는 점을 알려드리구요. 하는 일이 주로 컴퓨터 시뮬레이션이라 재료비가 들어갈 것도 없습니다. 학생이 체감하는 BK 수혜전과 후에 전혀 연구 환경과 연구의 질과 연구원의 수가 달라지지 않았는데, BK 보고서 작성을 위해 오히려 귀찮은 잡일만 많아졌다는 것 뿐입니다. 저는 학생으로서 교수님이 연구비를 어떻게 쓰시는지 알지 못합니다. 다만 귀찮은 BK 보고서가 많아져서 BK 하지 않았을때가 훨씬더 일하기 편했다 라고 평가하고 싶습니다.
2020.01.09
덧 붙여... 학생에게 체감되는 BK 효과가 없다면은 BK 장학금은 누굴 한 것인가 라고 반문할 수 밖에 없는 것이죠.
2020.01.09
"글 쓰신게 마치 학생이 BK 따왔는데 왜 지도교수가 내 장학금을 빼앗아가냐 ㅡ 뉘앙스네요." 전형적인 확증편향이자 망상은 자제 부탁 드립니다. 최소한 글을 있는 그대로 읽지도 못하시네요.
2020.01.09
그런 상황이라면 글쓴이 같은 문제의식 제기할 수 있다고 봅니다. 하이브레인 가면 BK 부작용 때문에 교수들이 미치기도 합니다 (보고서 압박, 행정, 파벌 등등). 근데 글쓴이 지도 교수님이 무엇땜에 BK를 하시는지 모르겠지만 걍 학과에서 떠밀려 할수도 있습니다. 애초에 과제 많고 인건비 다 커버 되는 랩은 BK필요 없습니다.
2020.01.09
글쓴이님, 국가과제 제안서를 써본적이 있으세요? 한번이라도 써본적 있으면 지금 글/댓글에서 주장하시는 말이 정말 말이 안된다는걸 아실텐데요. 민간과제나 사업비로 돌아가는 연구실이면 모르겠습니다만, 글쓴님 연구실이 일반적인 곳이라면 연구비는 상당비율 국가과제로부터 받으셨을겁니다. 교수는 국가과제에서 인센티브 외의 보수를 받을 수 없고, 그래서 BK가 되어 장학금을 타도 그 차액이 교수에게 보수의 형태로 들어갈 방법이 없습니다.
BK 전후로 랩 월급도 똑같고 인건비도 똑같다면, 높은 확률로 글쓴님의 교수님은 학생인건비차액을 산단 풀링에 넣고 계류시켰을겁니다. 이건 풀링제 실시하는 학교에서 합법이며, 역시 학생들에게 과제 짤렸다고 어느순간 인건비 0원이 되는 대참사를 막기위한 일종의 보험활동입니다.
그리고 글쓴님은 제게 확증편향이나 망상이라는 표현을 적기에 본인 스스로가 과제 돌아가는 룰을 몰라도 너무 모르고 계십니다. 보통 저런 단어는 국가사업의 본질을 모르고 예산 계획안 열람도 못하는 분들이 자기 서류작업 많아졌다고 이런 사업을 '교수의 장학금' '탁상행정 결과물' 이라고 몰아가는 분께 좀 더 적합하다는 의견입니다.
Thomas Mann*
2020.01.10
아니 본인 무식한거 티를 이렇게 내면 어떡하냐
2020.01.10
Otto Diels, 온갖 똑똑한 척은 다하면서 말은 참으로 개념없게 하네요? 저는 왜 교수가 내 장학금 뺏아가냐 라고 하지도 않았는데 그런식으로 말을 비꼬고, 이제는 과제 제안서 써봤냐고 물어보시네 상대방의 의도를 왜곡하고 무시하는 비꼬기식 질문은 자제하시길 바랍니다
제가 님 방식으로 물어보죠. 님 국내 대학원 경험이나 해보셨어요? 국내 대학원생이면 국가과제 제안서 한 번쯤은 안써봤을리가 없을텐데 왜 그런 초보적인 질문을 하시죠????? 아오늘 궁금해서 연구비 관리하는 행정원 누나한테 물어봤어요. BK 인건비 풀링은 커녕... 교수가 산학과제에서 우리 인건비 집행해 주던거 BK 들어오면서 집행 안하고, 교수 인건비를 늘렸던데요???
Thomas Mann*
2020.01.10
연구비는 PI가 따와서 PI재량으로 배분하는건데 왜 주제파악을 못하고 뻘소리하냐
교수가 총 연구비에서 인건비를 늘이건 재료비를 늘이건 국외여비를 늘리건 니가 알 바 아님
불만이면 본인이 순수 본인 능력으로 연구비 따와서 본인 맘대로 쓰면 됨
2020.01.11
길게도 남기셨네요 ㅎㅎ 아무튼 물어보신 부분은 제대류 답변드려야 할 것 같아 저도 답글을 좀 쓰겠습니다 ㅡ 저는 국가과제 제안서 대학원다닐때 물론 써봤지요. 지겹도록 쓴게 자랑은 아닙니다만 아무튼 참 많이도 썼습니다. 설마 겪지도 않은걸 일반화했겠습니까. 글쓴님 답변보니 기껏 들고있는 레퍼런스가 행정원 누나래니까 어디서부터 답을 드려야 속이 풀릴지 저도 좀 답달기가 어렵긴 한데;;
아무튼 bk 전에 산학과제에서 집행해오던 학생인건비가 있다는건 꽤 신기한일입니다. 정말 기업 친화적인 과제를 중심으로 하지 않으면 산학과제는 교수도 인건비 계상이 되기때문에 애초에 학생몫이 굉장히 작거나 아예 없는 랩이 많거든요. bk라는 국가과제가 하나 더 늘어서, 이제 그 돈을 본인의 인건비로 비로소 계상했다는데 그걸 '교수장학금'이래니까 제가 공감을 못해드리는겁니다. 오히려 님 랩 교수는 산학과제라는 본인이 오롯이 따온 '장학금'을 학생들에게 우선적으로 떼주고 있었다고 봐야죠. bk가 된 이제서야 그 돈 일부를 자기 돈으로 받기 시작한거구요.
대학원생 인권 외치는것 좋습니다. 국내 대학원의 근무시간 노동강도 인건비 ㅡ 전부 개선할부분 많고 힘들게 지내는것 사실입니다. 하지만 개선을 요구할때에는 기본 논리와 기본 지식은 있어야합니다. 지금 말씀하신 사례는 너무 잘못 짚으셨어요. 아직 연차가 낮으시다면 이제 곧 알게될테니 좀 더 겪은 뒤 스스로 반성하시고, 연차가 높다면 이런 공감받지 못할 논리를 펼친것에 부끄러운 줄 아십시오.
대댓글 2개
2022.07.14
님은 작성자가 몰라서 물어보는걸 차분히 답해주실 생각안하고 삐꼴생각과 나는 잘아는데? 이런 질문은 수준이 낮아도 한참이네라는 잘난척을 먼저 하려는 기분드네요. 몰라서 물어본다고 생각하고 충분히 잘 답변할 수도 있지 않을까? 본인도 현실에서 물어보기 어려운점이 있으니 그걸 인식하고 여기서 질문을 던지는게 아닌가 싶네요. 님은 아마 현실에서도 이런식으로 타인한테 대하겠죠? 진짜 그렇게 살며는 존재감이 넘쳐나겠네요.
2023.02.22
대댓글 인정.. 모르면 무조건 입 닫고 있는게 아니라 불합리하다고 생각하면 글쓴이처럼 말 하는게 좋다고 생각하고, 글쓴이의 생각이 잘못되었다면 논리에 의거해서 생각을 정정해주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댓쓴분께서 마지막에 쓴 메커니즘을 첫 댓글부터 미리 적어두었다면 좀 더 좋았을 것 같습니다.
2020.01.08
2020.01.08
2020.01.09
대댓글 2개
2022.12.15
2024.08.31
2020.01.09
대댓글 1개
2022.12.15
2020.01.09
2020.01.09
2020.01.09
2020.01.09
2020.01.09
2020.01.10
2020.01.10
2020.01.10
2020.01.11
대댓글 2개
2022.07.14
2023.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