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과학과 특성상 학부 공부를 좀 해봐야 감이 잡히시긴 할거같아요
실력이 어느정도 수준이실지는 모르겠지만 아직 신입생이시면 미래에 대해서 생각할 시간이 많기때문에...!
일단 송도 1년부터 행복하게 살아보고 결정하시죠
2020.01.08
ㄴ 1학년 학점은 어느정도 관리하는게 좋을까요? 그리고 만약 1학년으로 돌아가신다면 무엇을 하셨을 것 같나요?
G. M. Trevelyan*
2020.01.08
1학년 학점은 대부분 전공학점에도 포함되지 않긴 하는디 그래도 공부 놓아버리면 계속 놓기때문에 적당히 잘 받으면 되는거같고,, 1학년으로 돌아간다면 전 공부는 딱히 더 했을거같진 않고 송도에서의 추억을 더 만들었을거같네요 사람마다 다르긴 하지만
2020.01.08
마지막까지 포기하지 마세요
2020.01.08
1학년때 열심히함 -> 군대가지말고 4학년까지 쭉 공부, 3학년 전에 삐끗하면 군대가셈
1학년때 열심히 못함 -> 군대가셈
복학후 군머버프 받고 2학년 학점따고 전자 혹은 기계 다중전공 ㄱㄱ
군머버프도 못받는다면 꿈을 포기
2020.01.08
IT쪽은 어떤지 모르겠으나 제조업 대기업 같은 경우 석사는 학사 경력 3년차와 동일. 당연히 연봉 별차이없음. 박사는 보통 과장 1년차. 직급으로는 학사졸 동년배보다 빠른 진급이나 그 동안 연봉 차액이 어마어마하기 때문에 장점이라고 할 수 있을진 생각해봐야합니다. 학사졸로 갈 수 있는 직군이라면 학사졸로 가는게 금액적으로는 백퍼 이득.
2020.01.09
ㄴ 전자 복전이 크게 의미가 있으려나요?
2020.01.09
1년 더하는 복전은 의미없고, 4년제 안에서 하는복전이면 의미가 큼. 그리고 전 컴 혹은 기 컴 복전은 취업깡패? 아님 취업마피아임.
님 학부성적만 잘 보살펴준다면 어딜가든 환영받음
2020.01.10
연대 입학 예정자의 질문의 수준이 너무 낮네요.
뭐 한국 고등학교 공부 자체가 입시용이라서 인생에 대한 고민을 안해봤다고 생각하겠습니다.
1. 대학교 공부는 자신과의 싸움이자 철저한 노력과 실력의 산물입니다.
그냥 미친듯이 공부하세요. 1학년때 부터 열심히 한 애들이 졸업 할때 까지 왠만하면 성적 쓸어갑니다. 이건 공부를 잘해서가 아니라 인생을 바라보는 태도가 다른거에요.
어떻게 공부를 어느정도까지 해야되냐고 물어 볼 수 있죠? 대학공부는 끝이 없어요. 교수들도 잘 모를만큼 양이 방대하거나 이해할 수 없을 정도로 어렵습니다.
나는 대충 살겠다 그럼 b ~ b+ 받을 정도만 하면되고, 뭔가 인생에서 하고 싶다 그럼 a ~ a+ 받아야죠. 학점이 높아야 뭐든 할테니까요.
명심하세요 20대 어떻게 살았느냐에 따라서 인생이 바뀝니다. (대학은 그냥 출발선일 뿐입니다.)
2020.01.08
2020.01.08
2020.01.08
2020.01.08
2020.01.08
2020.01.08
2020.01.09
2020.01.09
2020.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