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짭짤한 학계 장사

2021.08.03

16

10110

좀 연구가 업인 사람들이 굳이 알리고 싶지 않은 얘기를 좀 하면

기업과제해서 돈 가져가는건 그건 액수가 크고, 사실 과제수행에 따른 부담도 있잖아.. 근데 학계에선 그런것만 있는게 아님. 그 외 학계 장사들도 있는데 크게보면 하나가 논문이고 다른 하나가 학회임.

논문은 이걸 어떻게든 SCI를 만들고 진짜 애를 써서 Q1 저널이라도 만드는 날에는 APC라고 하잖아. 논문 발행할때 돈내는거.. 그걸로 꽤 짭짤하게 챙긴다. 이것도 한국/해외 불문인데 요즘은 중국이 엄청함. 미국이 많이 했고. 한국은 국내 학회 규모상 자기들이 인용해주고 어쩌고해도 Q1만드는건 진짜 쉽지 않은데, 중국은 요즘 JCR 1등 저널 이런것도 막 만들거든. 한국 교수중에서도 그런 저널내는 중국애들이랑 좀 친분 있으면 그 저널에 논문 10편씩 내서 교무회의 소집시킨 교수도 안다. 논문 수당 있는 학교인데 이거 너무 과하단 얘기 나와서.

내가 박사과정때 칸쿤에서 하는 학회를 갔는데, 여기가 미국에 그래도 나름 업계에서 이름이 없진 않은 사람이 학회를 했는데.. 리조트비 포함 학회 등록비 2000불.. 그런데 가서 보니까 무슨 스페셜 세션 등록비가 따로 있는데, 그 세션에 등록을 하면 모든 등록자 명의로 상을 주더라... 그때 느꼈지. 아 완전 이거 장사구나.

요즘 MDPI 프론티어 등이 너무 APC 과하게 챙겨서 말이 나왔고.. 수학회장이 MDPI 논문 내는거 유의하라고 메일을 뿌렸지.. 근데 MDPI가 왜 점점 힘을 얻는지 알아? 그게 돈이 엄청나게 됨... 저널 하나로 거의 연 수익이 수M 단위로 가기도 한다.

다른 하나는 학회지. 국제학회. 이걸 한국이 유치를 하면.. 등록비로 막 800불-1000불씩 받고. 그런데 학회가 돈이 많이 드는데 능력있는 교수들은 기업 스폰 끌어오고 과총지원금, 지방 자치단체 (뷰로 같은) 지원금 받고 어쩌고 하면 이게 억단위로 돈이 남기도 한다. 왜냐면 인지상정 등록해달라고 하면 1-2명 해주는게 인지상정이고.. 그럼 억단위로 돈이 남으면 교수들이 통상 한 5000만원 학회에 기탁하고 (무슨 상같은걸 만들기도 함) 목에 힘 빡주고.. (근데 생각해보면 동원해서 한건데.. ㅠ) 나머지는 자기들끼리 인건비 계상하고 무슨 결산회의하는데 쓰고 그래.

이게 좀 과했던게 몇해전에 모 대형학회에서 있었는데 저런식으로 수천만원 남긴것중에 결산회의한다고 서울에 5성급 호텔 루트탑 빌려서 와인 까먹고 놀다가.. 학회 감사가 자기 인정못하겠다고 다 물어내라고 했거든. 근데 이게 학회 등록비로 받은건 사실 재단법인 회계라 일단 감사가 OK하면 넘어가는건데 꼬장꼬장한 시니어 교수님한테 걸려서 '니놈들이 정신 못차리는구나' 한번 본떼를 보인거지.. 그때 그 모임 주최한 교수가 가서 빌고 통사정해서.. 결국 반성문 쓰고 반 뱉어내는 선에서 해결봤다.

내가 이거 쓰는 이유가 뭔지 알아? 이런거 없어지라고.

학계에서 저런거.. 그냥 좋다고 받아쓰고 학회지 장사하고 국제학회 열어서 돈 남겨서 놀고 어쩌고 하는거.. 노는거 좋은건데 적당히 하면 누가 뭐라고 하냐. 지들 돈 아니라고 저렇게 하면.. 그걸 참가자들한테 돌려줄 생각을 해야지.

그래도 90년대에 비하면 한국 학계가 2차원정도 깨끗해지긴 했는데, 아직 2차원 정도 더 가야해. 너희들은 나중에 국제학회 조직위원이나 학회지 편집위원 차출당하면.. 저런 장사관행에 대해서는 하지 말자고 얘기해. 그렇게 안하면 학계가 양아치들이랑 다를게 없어지는거야.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2021.08.03

글이 좀 이상한데, 논문 장사하는건 학계가 돈을 버는게 아니라 출판사가 돈을 버는거야 ㅋㅋㅋ 네이쳐가 게재료 천만원씩 하면서 NPG가 벌어가는 돈이 얼마나 많은데 ㅋㅋ Elsevier나 Wiley는 다를까? 돈은 연구비에서 다 내고, 리뷰어는 공짜로 착취하고 돈은 출판사가 벌어가는 구조지 ㅋㅋㅋㅋ

대댓글 1개

2021.08.03

리뷰어는 공짜지만 에디터는 돈 챙겨요. 그리고 그 출판사 자체를 학계가 운영하는 곳들도 있습니다. 물론 퍼블리셔가 챙겨가는게 문제지만 결국 거기에 돈을 내니까 이 구조가 만들어지는거죠.

2021.08.03

니가 간 칸쿤 학회는 그걸 개최한 학회도 문제지만, 뭐가 좋은 학회인지도 모르는 놈도 문제임. 이미 약탈적 학회로 몇년전에 이슈가 된 유형인데, 제발 학회가기전에 공부좀 해라. 그 학회가 뭔지도 모르고 간놈이나 그걸 보내준 교수나... 연구실 참 잘 돌아간다

대댓글 3개

2021.08.03

글쓴이가 저 학회가 좋고 나쁘고를 모르는게 아니라, 나쁜줄 알고, 이런 약탈적 학회를 없애자는 이야기인데요.

2021.08.03

원글에 적혀있지? 작성자가 칸쿤학회를 간 이야기

2023.06.24

이런사람들이 사기 당한 사람 보고 니들은 멍청하니까 당해도 싸다고 하는 사람들이죠. 그러다가 지가 당하고 똑같은 취급 받으면 그땐 또 자기 업보는 싹 뇌에서 지워버리고 불같이 성냄. 핀트 몾잡는 능지도 능지지만 참 마인드 자체가 못 배워처먹었네요

2021.08.03

내가 저 학회 첫 회 가보고 이상하다 싶어 기억해뒀다 한국에 왔는데 많이들 가길래 가지말라고 전해줬다. 이게 벌써 15년전 얘기야... 와셋이니 뭐니 문제 된게 그 후 10년 뒤고. 그렇게 적어둔 사람들이 많아서 이게 부실학회 리스트업도 되고 한거란다. 그리고 와셋이랑은 좀 다르지만.. 아직도 동원하는 관행이 남아있는것 역시 엄연한 사실이고.

대댓글 1개

2021.08.03

15년 전이면 와셋 터지기 전이니 몰랐을수 있겠네. 지금도 그런거 가는 연구실이거나 주변에 그런거 보면 상종하지 말아야 함. 뭐 그거를 떠나서, 출판사나 학회가 장사하는거라는건 부정할수가 없음.

2021.08.03

출판사 장사를 모르는구나 ㅋㅋ 뭘 새삼스럽게 써 ㅋㅋ 오픈 엑세스들 다 같은 통속이고 그렇게 돈버는거 보니까 사이언스, ACS 얘네들도 mdpi처럼 장사함 ㅋㅋㅋㅋㅋ 코메디

2021.08.03

결국 이게 보면.. 학계가 질적평가할 능력이 없고.. 그렇다보니 IF로 줄세우다보니 벌어지는 일들이죠. 그러니 출판사들은 학계 헤게모니와 손잡고 장사용 저널을 만들어서.. 유명 연구자들 좀 섭외해서 리뷰 논문쓰고 자기들끼리 서로서로 인용하는 룰 만들어서 IF 높이고요. 국내 학회지들도.. 아직까지도 투고시에 자신 저널 논문 몇편 이상 인용... 이런 룰 가지고 있거나 에디터가 메일 보내서 인용해라.. 하는 곳들 있습니다.
웃는 리처드 파인만*

2021.08.03

학회 장사 꽤 짭짤함. 지금도 국내에서 저런 것만 매년 하는 곳 있음. 온갖 분야 다 신청할 수 있게 해 놓고.
국제학회는 한 번만 개최해도 1억 이상 남겨먹을 수 있음.

우리나라는 쓸데없이 저런 목적으로 만든 학회가 너무 많아서 한 번 싹 털어서 분야별 대표학회만 남기고 다 없애버려야 함.
약삭빠른 로버트 보일*

2021.08.03

그래서 추가 비용(페이지 수, 오픈 액세스 여부) 말고 무조건 돈 내야하는 저널엔 절대 안 씀. 학회는 지도교수가 탑티어 학회 국내에서 개최해서 진행되는거 옆에서 봤었는데, 다행히 학회 조건에 지역 운영사를 끼게 되어있어서 학생들은 하나도 고생 안함. 은근 흥행은 되어서 글쓴이 말한대로 남은 돈으로 학회에 상 만들고, 학과에 기부하고 그러더라. 그런거 보면 요새 딥러닝 쪽 학회는 돈 엄청 모을듯 ㅋㅋㅋ

2021.08.03

님이 학교나 기관에서 공짜처럼 보는 일반적인 저널들은, 님 학교나 기관에서 출판사에 돈 주고 열람권을 사온 겁니다.
Open access라는 것은 구독자가 지불하던 비용을, 저자들이 비용을 지불하는 시스템이고요.

Open access가 논문 당 2,000달러수준 받기 전에는
무슨 Elsevier, IEEE 같은 출판사들이 기부천사라서 APC 안 받고 공짜로 출판해준건줄 아시나요?

논문이 출판되는 순간, 해당 논문의 저작권은 저자에서 출판사로 넘어가고
출판사는 학교나 기관에 열람권을 돈 받고 팔아서 수익을 내는 구조입니다.
애시당초 '약탈적'저널이라고 부르는 것 부터 우습다는 것이죠.
사람들이 본인들 기관과 학교에서 돈 주고 열람권 사와서
Scholar에 논문만 검색하면 대부분 공짜로 볼 수 있으니, 공짜인 줄 아는데
이미 비용 다 지불하고 보는겁니다.

출판사에 대해 정말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이 쓴 글 같은데요..

2021.08.03

MDPI의 문제점은 APC에 눈이 멀어서 리뷰를 대충하는 부분이 있고 자기네 출판사 저널을 왕창 만들어서 서로서로 인용해서 조직적으로 IF를 끌어올리는데 있는거지 APC를 받는 거 자체에 있는게 아님.
오픈억세스 아닌 wiley, ACS, Springer, Elsevier 등등 출판사들 보면 각 나라 각 대학들에 구독료로 돈을 어마어마하게 매년 뜯어 냄. 결국 대학에게서 매년 돈을 한번에 거액으로 뜯느냐 오픈억세스 해주고 각 저자에게서 편당으로 푼돈을 뜯느냐의 문제인데 잘 모르는 사람들은 APC 받는 저널은 돈 내는게 보이니 돈 밝힌다고 욕하고 오픈억세스 안하고 구독료 받는 저널은 그게 안보이니 고상한 저널인것처럼 생각하는데 조삼모사임. 원래 어느 정도 수준 있는 저널들 가진 출판사는 옛날부터 이든 저든 돈을 뜯어가고 있음. 심지어 어떤 학회에서 대형 출판사를 끼고 저널을 만들면 그 출판사는 저널 시스템을 대행으로 해주면서 학회에서도 매년 돈을 받고 대학에서 구독료를 또 받음. 이게 국제적인 저널 시스템이라 한국학계 어쩌고 우리가 뭐 하지말자 노력해서 되는 것이 아님. 최소한 저널에 있어서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거둬가는 돈은 새발의 피임.
약삭빠른 로버트 보일*

2021.08.04

저자에게 돈 별로 요구하지 않는 저널들하고, 요구하는 저널하고 둘 다 장사질 관점에서 별 차이 없다는 분들은 다들 후자에 논문 최소 한번씩은 내본 사람들이 아닐까.ㅋㅋ

2021.08.06

어디던 금융치료가 최고지...
달달하다구...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