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차전지가 워낙 잘하는 사람들이 많이 그쪽으로 몰리기도 했고, 박사따고 난 5~6년후면 시대가 바꼈을 수 있다해서 조심하고들 하던데
전고체전지도 같은 맥락일까요??
전고체전지는 별로 하는 사람이 많지는 않은거같던데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개
2021.07.25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배터리분야는 계속발전 연구중이라 전망은 좋은편
도도한 버지니아 울프*
2021.07.25
2015년 연구실 선택 당시에 배터리 과포화 아냐?라면서 다른 쪽을 고려했었으나.
배터리는 여전히 핫하고 앞으로도 핫할 거 같다 ㅎㅎ
대댓글 1개
2021.07.25
특히나 전고체전지는 좀 더 오래가겠죠??
2021.07.25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전고체는 2030년 정도 상용화가 예상되는데 계획은 2027년이지만 초기 상용화 시작되면 연구개발 경쟁이 가속화 될듯 보임
2021.07.25
배터리 거의 30년계획 세우고있어서 반도체처럼 꾸준히 박사급인력이 필요할듯해요. 지금도 진짜 정통배터리로 (나노로 배터리 돌려봤다 이런거말고) 학위한사람은 거의없어서 대학도 기업도 제대로 배터리한사람 없다고 난리에요. 단순히 배터리건들여본 연구실들 말고 제대로 하는곳 찾아봐야할듯해요
2021.07.25
2021.07.25
대댓글 1개
2021.07.25
2021.07.25
2021.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