걍 투박하게 얘기해서 학생은 선수,
지도교수는 감독 이렇게 이렇게 이야기할 수 있을 것 같은데
그런 식으로 이야기하기엔 학계는 스포츠보다 감독 빨을 더 타는 것 같기도 함.
근데 다들 알잖아? 빅가이 연구실이 아닌 그냥저냥하는 평범한 연구실이면 학생들 잘 안되는 경우 정말 많음.
어떻게 생각함? 걍 심심풀이임.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8개
2021.07.1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졸업이후 어떤 삶을 살고 싶으신가요?
대댓글 1개
IF : 3
2021.07.12
졸업은 이미 했습니다. 졸업한 연구실은 지도교수 지도 0에 수렴하고 각자도생했어야하는 곳이었고요.
넉살좋은 마르틴 하이데거*
2021.07.12
대학원생 역량 파악이 교수의 제일 중요한 역할 중 하나이므로, 교수 역량이 우선합니다.
2021.07.12
대학원생의 역량이 훨씬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박사 졸업을 유명한 지도 교수님께 미국에서 받았는데 솔직히 지도를 받은게 무엇인지 잘 모르겠네요. 제가 대부분 다 했지요. 하지만 그 연구실의 연구 방향이 아닌 것은 자기 아이디어가 있더라도 연구를 할 수 없기에 큰 연구 방향엔 지도 교수님 영향이 큰 듯 합니다.
대댓글 1개
튼튼한 노엄 촘스키*
2021.07.12
본인은 지도 받은게 없다고 느껴도, 알게 모르게 지도교수가 대가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도 많았겠죠ㅋㅋㅋ? 마치 금수저가 자기는 부모 도움없이 명문대에 좋은 직장 잡았다라고 주장하는 것과 비슷
답답한 레오나르도 다빈치
IF : 1
2021.07.12
지도교수의 역량에 지도교수 연구실의 노하우가 포함되어 있다면 후자 압승임. 솔직히 탑스쿨 탑대가랩중 cns급 논문 1년에 10편 넘게 나오는 그룹에 있었는데 적당히 총명하기만하면 누구라도 cns급 두편은 5년 안에 쓰고 졸업하더라. 본인이 뭘하는지 잘몰라도 이미 랩이 분야 자체의 최선두라 뭘해도 좋은 논문이 나가더라고.. 본인이 아인슈타인 급이다? 그러면 다른 얘기긴 할텐데 솔직히 그 발목이라도 따라가는 사람이 전세계 0.01퍼나 될까 싶음.
2021.07.12
흔히말하는 실적좋은 인기랩에서 박사학위 예정자지만, 여기도 뛰어난 몇명이 좋은 저널에 실적냈을뿐이지, 연구주제못잡고 제대로된 논문못쓰는 사람들도 꽤있습니다. 아니면 선배들이 대박친 연구 몇개를 조금 변경해서 적당한 저널에 내거나요. 물론, 선배들이 학계쪽 리딩그룹에 많이속해서 도움은 될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학생실적이 떨어지면 돼지목에 진주목걸이죠. 그나마 느낀바는 실적이 좋은랩일수록 논문쓰는것에 대한 두려움은 없고, 논문/발표 잘하는 팁들이 많고, 교수님도 특정 좋은저널에 많이 제출했다보니 다른랩보다 좋은저널에 쓰기 쉬운건 확실한듯..
IF : 2
2021.07.12
대학원생의 역량입니다. 대학원생이 역량있으면 지도력 없는 곳에서도 살아남지만 지도교수가 아무리 역량이 있어도 대학원생이 노답이면 지도 내용 자체를 소화 못시키고 앞가림도 못하더군요.
2021.07.12
한국은 지도교수 역량. 후에 자리잡는 건 학생역량.
대댓글 1개
2021.07.1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 반대가 한국임
못된 피터 힉스*
2021.07.12
교수가 트롤인지 아닌지가 중요함. 잘난 놈도 교수가 트롤이면 논문 못 내게 할 수 있으니까 안됨.
대댓글 1개
2021.07.12
극공감
튼튼한 노엄 촘스키*
2021.07.12
박사때까진 교수 역량이 중요한건 맞는데, 역량이 뛰어난 교수 한테 가는거 자체가 학생의 역량임. 애초에 잘하는 학생들은 시궁창 같은 랩 안감
대댓글 3개
IF : 3
2021.07.12
그렇게 간단하게 볼 문제는 아닙니다 이게 또... 밖에서 보는거랑 안에서 겪는거랑 천지차이인 경우 엄청 많아요.
못된 앙투안 라부아지에*
2021.07.12
ㅋㅋㅋ 애초에 잘하는 애가 안간다는 보장이 어딨냨ㅋㅋ 자대생 아닌이상 어케 알고ㅋㅋㅋㅋ
2021.07.12
교수가 입학 후 괴수로 변할 수도 있음 ㅋㅋㅋㅋ
IF : 1
2021.07.13
교수는 토양이고
학생은 씨앗입니다.
토양이 씨발이면 거기서 제대로 자라날 수 있는 씨앗은 한정되어 있고
설사 씨앗이 자라더라도 비실비실할 수 밖에 없습니다.
2021.07.12
대댓글 1개
2021.07.12
2021.07.12
2021.07.12
대댓글 1개
2021.07.12
2021.07.12
2021.07.12
2021.07.12
2021.07.12
대댓글 1개
2021.07.12
2021.07.12
대댓글 1개
2021.07.12
2021.07.12
대댓글 3개
2021.07.12
2021.07.12
2021.07.12
2021.07.13
대댓글 1개
2021.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