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처럼 저는 지사대(학부) 졸업 후에 이번에 ssh에서 석사 졸업예정이며, -ist 계열 배터리 분야에 지원해서 합격하였습니다.
(원래 전공은 신소재입니다.)
그런데 아쉬운 마음이 생깁니다.
분명 -ist 붙기만 해도 감사하다고 생각했는데..
더 높은 학교에 지원 자체를 안한게 아쉽습니다.
아쉬워 하는 중에 P 대학원 친구가 저에게 확답은 못하지만 지원했을 때 가능성이 조금은 있을 것 같은데
아쉽다며 박사를 더 높은 곳에 써보면 좋겠다고 다음학기에 지원해보라고 합니다.
(본인 학교가 아니여도 YK로요. YK로라도 가라는 건 친구의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제가 충분히 만족하고 자존감이 있었다면 그냥 넘어갔겠지만,
저도 뭔가 아쉬움이 남아 마음이 흔들립니다.
친구가 제 기를 살려주기 위한 말인지 진짜 가능성이 있는지 마음이 싱숭생숭해서 판단이 안됩니다ㅜ
제 스펙으로 합격 가능성이 있을지가 궁금합니다.
학부(지사대)
학점: 3.92/4.5 (석차 8/87)
교내 3회, 국내학회 1회 수상(다 규모가 작음)
석사(ssh)
학점: 4.43/4.5
국내학회 포스터 최우수상 수상
1저자 2편(IF는 둘다 3~4이고 배터리 분야가 아닙니다ㅜ)
토익: 820..
현재
대기업 배터리 연구소
초빙연구원(올해말까지 계약)
만약에 가능하다면 내년 봄학기에
P 대학원에 지원해보고 싶은데 가능할까요?
혹은 YK로 지원하는게 맞을까요?
아니면 그냥 지금에 만족해야할까요?
아니 spk가 빡세다고 또 도전안해볼 건 뭐야 ㅋㅋㅋㅋ 이 사람은 조금 자격지심이 있는거 같은데... 흠
2021.06.17
기업가서 정출연 문 두들겨보는 것도 방법이죠.
분야는 다르지만 제 경험상 정출연에서는 학벌보다 직무 적합성과 실적을 제일 중요시 봅니다.
2021.06.17
제가 좀 자격지심이 있긴 한 것 같아요ㅎㅎㅜ 그러다보니 더 남의 말에 마음이 휘둘리네요ㅜ 말씀대로 기업가서 열심히 실적 쌓은 후에 회사 모르게 정출연 지원해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ㅎㅎ
얌전한 알렉산더 벨*
2021.06.17
정출연도 돈도 많이 주고 여건도 좋고 또 학연으로 오는 대학원생들도 많으면 또 젊은 학생들이랑 같이 연구도 하고 좋은거 같더라고요. ㅎㅇㅌ!! 잘 되길 바랍니다.
2021.06.17
조언해주신 분들도 하시는 일 모두 잘되시기를 바랍니다. 잘 참고하여 옳바른 결정 내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ㅎㅎ
2021.06.17
배터리 분야 박사로 졸업해서 기업에 가거나 정출연에 도전해보고싶어요.
얌전한 알렉산더 벨*
2021.06.17
배터리 관련해서는 H대 YGS 교수님이랑 S대 JWC나 한명 기억이 안나네. 그쪽으로도 연락해봐요. 학벌 스펙 이런거 떄문에 컨택이나 연락 한번 안해보는건 바보라고 생각합니다. P쪽은 배터리 관련 교수님들이 그리 많지 않은듯....
대댓글 2개
얌전한 알렉산더 벨*
2021.06.17
S대 쪽 컨택하면 텝스 준비 하로 고고고곡하시고, K나 P는 사실 토익 820이면 아무런 상관이 없어용 ㅎㅎㅎㅎ
2021.06.17
덕분에 많이 알게 됩니다ㅎㅎ 영어에는 큰 문제는 없나보네요.. 초빙연구원으로 있으면서 배터리 관련 논문 한편이라도 써보는게 더 좋을 듯 하네요. 조언 감사합니다ㅎㅎ
2021.06.17
대학원 yk 보다 ist가 더 높게 쳐줍니다
대댓글 5개
씩씩한 도스토예프스키*
2021.06.17
상당히 주관적이면서 위험해보이는 발언입니다. 어느대학이 더 낫다라는 말을하실거면 특정 근거를 제시하시거나, 아니면 특정 분야(랩)에서는 어느 곳이 낫다 라는말을 하시는게 맞죠.. 이런 근거없는 말들이 쓸데없는 학교간판 싸움 부축이는거 아닙니까.
배고픈 피에르 페르마*
2021.06.17
ist어디요? ist은 굉장히 특정랩만 잘 나가지 않나요?
YK는 그래도 보편적으로 다 평타이상은 하는 편이구요.
YK내려치기는 매일보네요.
배고픈 피에르 페르마*
2021.06.17
분야따라 다르지만 대부분 랩이 중요한데요
SPK든 YK든 ist든 SSH이든
왜케 간판으로만 따지는지 모르겠네요
SPK 에서 제일 성과없는 랩이 H대 잘나가는 랩보다 좋을까요?
용감한 마르틴 하이데거*
2021.06.17
yk나 ist나 지사립 3.5면 들가는데 뭔 보편적으로 평타를 쳐요 ㅋㅋ
2021.06.18
'부축이다' -> 부추기다
2021.06.17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배터리는 카이스트, 서울대, 한양대, 유니스트에 유명한 랩들이 있는줄 아는데요,,
대댓글 4개
얌전한 알렉산더 벨*
2021.06.17
ㅇㅈㅇㅈ P는 이제 배터리 쪽 시작함. 제가 P라서 ㅎㅎ 이번에 철강대학원에서 철강에너지소재 대학원으로 이름 바꾸면서 배터리쪽 교수님들 모시려고 노력중임. 아직은 S대랑 H대랑 U대 쪽이 쏌!!! 이건 인정할수밖에없엉.... ㅠㅠ
2021.06.17
말씀대로 친구도 P 철강에너지소재 대학원 얘기를 하더라구요. 그런데 친구는 배터리분야가 아니라서 부정확해서요ㅜ. 직장인분들 다니는 특수대학원 같은게 아니라 일반대학원 같은거죠..?
얌전한 알렉산더 벨*
2021.06.17
전문대학원이나 특수대학원은 아니고 그냥 따로 떨어져있는거 같은 느낌??? 인데 저도 사실 정확하게는 모르겠어요.
근데 교수님들이 일반대학원쪽 교수님들이심..... 그냥 교수님들이 2개 하는 느낌 ㅎㅎ 이제 시작이라 두고봐야할 듯???
2021.06.17
몰랐는데 덕분에 좀더 알게 되네요. 만약 그쪽으로 지원한다면 더 찾아봐야겠네요. 조언 감사합니다ㅎㅎ
씩씩한 도스토예프스키*
2021.06.17
개인적으로 ssh든 yk든 -ist든 어느랩인지가 중요하지, 대학원단에서 학교간판의 차이는 거의없다고 생각됩니다.
어차피 박사입시는 컨택이 거의 좌우하기때문에, 잘 고민해보세요. 솔직히말해서 spk 중에서도 정출연/교수 못가고 전부 회사로 가는 랩들도 꽤있습니다. 반대로 ykssh -ist에서도 정출연/교수 임용잘되는 랩들도 있고요. 연구실을 보고 판단하세요.
대댓글 1개
2021.06.17
연구실이 중요하다는 말씀이죠? 잘 고민해보고 옳바른 결정 내리겠습니다. 조언 감사합니다ㅎㅎ
IF : 1
2021.06.17
Unist인가요?? 다른건 몰라도 유니 배터리는 상당히 좋은걸로 아는데.....
대댓글 1개
2021.06.17
유니가 아니라서요.. 배터리 분야면 좀더 정확하게 쓸 걸 그랬네요ㅜ 고민되는 이유는 박사과정은 긴데 더 좋은 곳에 지원 안해본게 나중에 마음에 걸릴까 글을 썼습니다ㅜ
2021.06.17
최근 베터리분야 유니에서 y로 옮기신 정말 잘하는 교수님 계세요 알아보세요
대댓글 1개
2021.06.17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ㅎㅎ 한번 찾아보겠습니다ㅎㅎ
2021.06.17
글쎄요 사실만 담자면 님 상황에서는 ykhssist 어디든 간판은 똑같을텐데 랩만 보고 가요
대댓글 1개
2021.06.17
조언 정말 감사합니다ㅎㅎ 잘 고민해보겠습니다. 그런데 혹시 P 대학원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한학기 늦춰서라도 가는게 도움이 될까요?
2021.06.17
원 문
안녕하세요.
고민이 생겨 글을 씁니다.
제목처럼 저는 지사대(학부) 졸업 후에 이번에 ssh에서 석사 졸업예정이며, -ist 계열 배터리 분야에 지원해서 합격하였습니다.
(원래 전공은 신소재입니다.)
그런데 아쉬운 마음이 생깁니다.
분명 -ist 붙기만 해도 감사하다고 생각했는데..
더 높은 학교에 지원 자체를 안한게 아쉽습니다.
아쉬워 하는 중에 P 대학원 친구가 저에게 확답은 못하지만 지원했을 때 가능성이 조금은 있을 것 같은데
아쉽다며 박사를 더 높은 곳에 써보면 좋겠다고 다음학기에 지원해보라고 합니다.
(본인 학교가 아니여도 YK로요. YK로라도 가라는 건 친구의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제가 충분히 만족하고 자존감이 있었다면 그냥 넘어갔겠지만,
저도 뭔가 아쉬움이 남아 마음이 흔들립니다.
친구가 제 기를 살려주기 위한 말인지 진짜 가능성이 있는지 마음이 싱숭생숭해서 판단이 안됩니다ㅜ
제 스펙으로 합격 가능성이 있을지가 궁금합니다.
학부(지사대)
학점: 3.92/4.5 (석차 8/87)
교내 3회, 국내학회 1회 수상(다 규모가 작음)
석사(ssh)
학점: 4.43/4.5
국내학회 포스터 최우수상 수상
1저자 2편(IF는 둘다 3~4이고 배터리 분야가 아닙니다ㅜ)
토익: 820..
현재
대기업 배터리 연구소
초빙연구원(올해말까지 계약)
만약에 가능하다면 내년 봄학기에
P 대학원에 지원해보고 싶은데 가능할까요?
혹은 YK로 지원하는게 맞을까요?
아니면 그냥 지금에 만족해야할까요?
객관적인 조언 혹은 비판 부탁드립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대댓글 3개
2021.06.17
본문 복사하신게 어떤 이유이실까요..?
2021.06.17
답변 받고 삭제 런 하는 약아빠진 사람들이 많아서 그런듯요. 별 신경 안쓰셔도 됨
2021.06.17
넵넵 감사합니다ㅎㅎ
용감한 마르틴 하이데거*
2021.06.17
안타깝네요.. 웬만하면 spk가는게 좋은데..
대댓글 1개
2021.06.17
한번 잘 고려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ㅎㅎ
2021.06.17
YK로 옮겨타는게 1년 이상의 가치와 금전적 가치기 있을까요? 본인에게 진짜 원하는게 네임벨류인지 커리어 목표 달성인지 스스로 잘 고민해보길 바랍니다.
대댓글 1개
2021.06.17
말씀대로 시간에 대한 부분을 잘 생각해봐야겠네요. 잘 고민해보겠습니다. 조언 감사합니다ㅎㅎ
2021.06.17
대댓글 9개
2021.06.17
2021.06.17
2021.06.17
2021.06.17
2021.06.17
2021.06.17
2021.06.17
2021.06.17
2021.06.17
2021.06.17
2021.06.17
대댓글 2개
2021.06.17
2021.06.17
2021.06.17
대댓글 5개
2021.06.17
2021.06.17
2021.06.17
2021.06.17
2021.06.18
2021.06.17
대댓글 4개
2021.06.17
2021.06.17
2021.06.17
2021.06.17
2021.06.17
대댓글 1개
2021.06.17
2021.06.17
대댓글 1개
2021.06.17
2021.06.17
대댓글 1개
2021.06.17
2021.06.17
대댓글 1개
2021.06.17
2021.06.17
대댓글 3개
2021.06.17
2021.06.17
2021.06.17
2021.06.17
대댓글 1개
2021.06.17
2021.06.17
대댓글 1개
2021.06.17
2021.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