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컨셉인가? 니들이 뽑지 말든가. 정출연이 뭐라고 분야맞고 실적 좋음 뽑는거지.
이번에 우리회사(정출연)에 지거국 학석박 들어왔다ㅠㅠ 쪽팔려
41
- 그쪽 조직에 지방대 박사 들어왔다고 생각해봐 안짜증나는지
이번에 우리회사(정출연)에 지거국 학석박 들어왔다ㅠㅠ 쪽팔려
40
- 님이 실적 더 쌓아서 교수 이런 쪽으로 빠지셨어야죠. 님이 고만고만하니까 같은 조직에서 일하는 거죠.
이번에 우리회사(정출연)에 지거국 학석박 들어왔다ㅠㅠ 쪽팔려
52
- 너 같은 애도 뽑은거 보면….
이번에 우리회사(정출연)에 지거국 학석박 들어왔다ㅠㅠ 쪽팔려
54
- 근데 내가 포공 출신이라 좀 긁혀서 이거 좀 알아봄. 물론 요즘 포공이 좀 얘기도 많고 위기다 위기다 하는 거 인정하고
서울대 카이스트가 많이 잘하고 있는 것도 인정함. 우리도 좀 위기 극복하고 세계 대학순위도 높히는게 필요해보임.
근데 내가 이거 기자랑 통화해서 1인당 논문 개재 건수 레퍼 알려달라 했는데, 이거 논조가 진짜 악질임.
대학알리미에서 공시자료 찾아보면 수치 확인할 수 있는데, 저 기자가 쓴 1인당 논문 개재건수는 "국내논문" 기준임. 이게 진짜 개 악질임.
어느 탑스쿨에서 국내논문 개제로 순위 매김? 이거 수치는 거의 랜덤 샘플링 해도 비슷할텐데. 그냥 기자가 아무거나 포스텍이 꼴찌하는거 가져온거라고 밖에는...
그래서 1인당 국제 논문 개재 / 1인당 sci급 논문 개재를 확인해봄. 해당 지표를 보면
포스텍: 1.09, 1.08
카이스트:1.08, 1.07
서울대: 1.02 / 0.95
이 순서임. 결과적으로 포스텍은 1인당으로는 아직 잘하고 있음. 앞으로 어떻게 되느냐가 문제지만, 그건 학교에 남은 분들이 어떻게 하느냐에 달린거고. 어쨌든 기자는 지금 자기 입맛에 맞게 수치를 가지고 장난치고 있음.
내가 이걸로 기자님한테 수정이 필요하다고 전화 넣었는데, 그래서 수정된게 아래임ㅋㅋㅋㅋㅋㅋ 아무튼 각자의 생각을 존중함.
"이처럼 우수한 학생들이 포스텍을 외면하면서 연구 품질도 떨어지고 있다. 포스텍의 지난해 국제 기준 논문 실적은 310.45편으로 KAIST(723.55편)의 절반도 되지 않는다. 국내 기준 교원 1인당 논문 실적을 봐도 0.0689편으로 KAIST의 0.0886편에 비하면 한참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포스텍보다 뒤에 문을 연 광주과학기술원(GIST)과 울산과학기술원(UN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도 각각 0.1077편과 0.0872편, 0.0977편임을 고려하면 국내 과학기술특성화대 중 최하위라는 의미다."
기사: ‘서카포’는 옛말, ‘연고포’도 힘들다...어느 포스텍 대학원생의 고민
30
대학원이 정말 고민입니다..ㅜㅜ
2021.05.30
13
4043

안녕하세요. 현재 지방대 공대 재학중인 4학년입니다.
보통 대학원 진학시 선배, 또는 각종 커뮤니티에서 힘들다, 힘들다, 오지마라 라고 말을 하더라구요.
사실 저는 왜 힘든지 다 알고 있습니다.
1년간 학부연구생으로 연구를 하였으니깐요.. 보통 학부생 이라 하면 그냥 단순히 실험 했을거다,,라고 생각 하시던데 저는 교수님께서 '학부생이지만 대학원생 급의 실력을 바란다, 그렇게 키울거다'라고 말씀하셨고
실제 한 일.
1. 실험실 인원 돌아가며 연구 진행 과정 ppt로 15분간 발표 - 한 달에 한 번은 무조건 차례가 돌아옴.
2. 논문 읽고 공부, 실험하여 보고, 공정도 짜서 보고
3. 초록 작성을 위해 매일 '그날 배운 강의 중 하나를 10줄 분량으로 영어로 메일로 제출'
- 교수님께서 문법, 단어 등 틀린 부분은 word로 수정 및 메모하여 확인 해주셨어요.
- 이건 진짜 너무 힘들었는데.. 2달 정도 하고 나니까 초록은 혼자 쓸 수 있을 정도가 되었다고 그만 하라고 하셨어요.
4. 기업체 및 국립기관에서 하는 과제 맡아서 교수님과 출장 및 잡일
+ 잠 자는 시간 빼고 항상 옆에 있는 동료들간의 관계는 정말 중요.
5. 학회 준비
교수님의 인성은 정말 천사였어요..
교수님이 정말 천사 같았지만 '창살 없는 감옥이다..', '살아 숨쉬는 지옥인가' 라는 생각도 했지만 그래도 연구가 재미있었고, 데이터를 뽑고 성공했을 때의 기분은 진짜 말로 설명할 수 없을 정도로 너무 너무 기뻤어요. 진짜 수없이 연구해서 처음 제대로 된 결과를 뽑았을 때의 기분은 2년이 지난 아직도 생생하네요.
실험실에 대한 환상
1. 난 실험이 좋아!
- 단순히 대학교 실험 수업에 하는 그런 실험을 하는 곳이 아님
2. 내가 하고 싶은 공부 해야지!
- 과제 마감일에 쫓김
- 토익, 자격증, 자소서, 학점, 취미생활 등등 이 모든 걸 챙겨가면서 연구 불가
3. 하얀 가운 입고 연구
- 실제론 피곤하고 하루종일 어떻게 연구하지..라는 생각을 하게 됨(샤워 하면서도 어떻게 하면 데이터를 뽑지. 생각)
4. 난 그래도 학점도 높고 나름 똑똑해
- 연구를 할 수록 교수님은 모르는 것도 없으시고 이 분야의 상위 0.1%인가?라는 생각을 함
- 똑똑하긴 무슨 실제론 바보였고 그냥 모르는 게 너무 너무 많음 내가 한 없이 작아짐을 느낌
5. 실험 하면 재밌고 잘 될거야-
- 절대로 한 번에 좋은 결과 나오는 경우가 없고 매일 문제들이 발생
- 교수님도 매우 바빠서 하나 하나 다 못 가르쳐줌, 내 연구 분야는 내가 제일 잘 알아야 함
+ 학교 강의처럼 앉아있으면 교수님이 설명 해주기를 바라면 안 됨
6. 앉아서 공부만 해야지!
- 교수님 따라 다니면서 잡일 하고 다른 교수님들 뵙고 내 연구 할 시간이 부족한 날도 꽤 있음
그래도 이 결과 학부생이지만 '우수 포스터 상 수상', '학회 구두 발표'등을 했습니다.
개인 사정으로 이런 활동을 하던 중 실험을 그만두게 되었고
다른 일을 준비하였습니다. 나름 이 일도 열심히 해서 좋은 성과를 냈지만..
연구에 대한 갈망이 사라지지 않네요..
위와 같이 학부생 때 석사 과정 일들을 맡으면서 왜 힘든지 실감을 했고, 제가 너무 지식도 없고 바보 같고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고, 진짜 정말 정말 힘들다는 걸 아는데 또 하고 싶은 제가 미친걸까요..?
도전 하는게 좋을까요?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166
78
65801
-
27
10
18392
김GPT
대학원 진학관련 고민0
1
634
김GPT
대학원 진학이 너무 고민됩니다..1
5
2359
김GPT
대학원 진짜 개 빡세네요. ㅠ6
14
5518
김GPT
대학원 진학 고민입니다.0
13
3634
김GPT
대학원 생활이 얼마나 힘들길래1
15
11930
김GPT
대학원 고민좀 들어주세요1
4
1130
김GPT
님들 대학원이 그렇게 힘든가요3
10
5812
-
57
41
79725
-
165
27
53758
-
178
26
43433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4 김박사넷 유학준비 스타터팩 신청하기 (new!)
773
- 인공지능 전문가라고 활동하는 분중에 성추행문제 있는 분이 있네요.
20
- 이번에 우리회사(정출연)에 지거국 학석박 들어왔다ㅠㅠ 쪽팔려
31
- 서울대나 카이스트 AI 대학원 갈 수 있을까요?
20
- 기사: ‘서카포’는 옛말, ‘연고포’도 힘들다...어느 포스텍 대학원생의 고민
33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2021.05.30
대댓글 1개
2021.05.30
2021.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