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을 무슨 수능처럼 생각하는데, 미달이 되도 수준 이하 학생은 안받습니다. 서울대 대학원 미달이 들어가기 쉽다고 생각하면, 크게 잘못 생각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서울대 대학원은 타교생이 막 들어갈 수 있는 곳이 아닙니다
2019.11.24
ㄴ미달이 되도 수준 이하 학생은 안받는다고 하셨는데...그 수준 이 대략 어느정도 스펙인지 궁금하네요. 미달이어도 합격을 위한 절대적 스펙 기준이 높아야 의미가 있을거 같아요.
그 스펙이 학점기준 3.0 / 4.5 인지 4.0 / 4.5 인지가 중요할거 같아요.
미달이어도 들어가기 어렵다가 키 포인트 이니까요.
John Bardeen*
2019.11.24
ㄴ 미달이고 컨택이 되었을지언정, 지원자의 전공 기초를 평가하는 면접을 못보면 불합격할 수 있다는 거죠... 빈자리 채우려고 한 마디도 못한 사람까지 뽑지 않는다는 말이에요. 학점 물어보시는데 이곳 그 누구도 학점 기준은 몰라요. 컨택이 됐으면 어지간히 학부 대비 학점 괜찮겠죠. 미달이어도 기준 미만이면 안뽑은게 당연한데 이게 왜 계속 논란이 되는건지 정말 모르겠네
2019.11.24
제가 보기에 수준 미달인 수많은 애들이 지금 서울대에 있는데.. yk에서 공부 못하는 애들이 꼭 서울대 가더라구요
2019.11.24
ㄴ그럼 yk에서 공부 잘하는 학생들은 어디 대학원을 가나요?
2019.11.24
다들 별로 신경 안쓰던데 SKP아닌 사람들만 신경 쓰나봄
2019.11.25
ㄴ yk에서 공부 잘하는 학생들은 해외로 갑니다.
2019.11.25
여기 보면 SKP/YK 이렇게 등급들을 많이 나누는데, YK 나왔다고 무조건 S 보다 못 한 것도 아닙니다. 수능 성적이 조금 모자랐을 뿐이지 연구자로서의 능력은 별개의 문제예요. S 꼴찌가 YK 1등보다 잘하는 거 아니듯이 해외 우수 대학에서 볼때 SKPYK는 어차피 거기서 거기예요. 학벌로 뭔가가 결정될 그런 유의미한 차이의 레벨이 아닙니다. 연구자로서의 능력은 철저하게 실적으로만 검증 됩니다. 학교 다닐때는 모르겠지만, 졸업하고 자리 잡으려고 하면 뼈저리게 느껴집니다.
John Dos Passos*
2019.11.25
우선 SKPYK가 해외에서 거기서 거기라는건 개 오바임.. 한국인 유학생이 몇만명이고 해외에 자리잡은 사람도 부지기수인데 해외 교수들도 SPK는 당연히 잘 알고 있음.
그리고 학벌은 수능 성적이 조금 모자랐을 뿐이지만 연구실적은 크게 차이난다는 거야말로 억지임. 논문실적은 개인 능력보다는 연구 그룹빨이 90%는 먹고 들어감.
Hunayn ibn Ishaq*
2019.11.25
내가 해외인데. 미안하지만 다들 YK는 몰라. 서울, 포공, 카이스트는 원채 좋은 논문을 많이 찍어내서 다들 아 여기 좋지 하고 인정하지. 아 슬슬 GIST나 DGIST 등등 끝에 -IST로 끝나는 대학들 치고 올라오는거 같긴 하더라. YK는 물론이고 국내에 이름있는 사립 공과대학들 전부 해외나가면 쩌리야. 좋은 논문은 개뿔 대학원이라고 있는게 그 비싼 연구비 받아다가 똥이나 만드는데 해외에서 인정할게 뭐가 있겟어.
2019.11.25
저도 석사후 해외유학 준비하는데, 한국 유학생이 쩌리라고요? ㅋㅋ 님이 쩌리대학간 걸 왜 한국 유학생들 싸잡아서 본인 취급하시는지.. ㅠㅠ 미박 한국 유학생 규모가 어느 정도인진 알고 ㅋㅋ ky를 모른다은 시점에사 망상글이라는걸 잘 알겠네요 ㅋㅋ 출신 학생수가 워낙 많아서 p보다 (더 실력이 높다는게 아니라) 더 많이 알려진게 ky인데 ㅋㅋ 한국 방구석에서 치보드 치는 소리 겁나 잘들리네요~
2019.11.25
YK에서 공부 못하는 애들이 설대를 어케 감ㅋㅋㅋㅋ 해외 유학 준비하는 기준에선 그렇게 보일 수도 있겠다만 성급한 일반화인 듯
2019.11.24
2019.11.24
2019.11.24
2019.11.24
2019.11.24
2019.11.24
2019.11.25
2019.11.25
2019.11.25
2019.11.25
2019.11.25
2019.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