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1. GPA 보다는 연구 실적이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어차피 스탠포드와 MIT 연구실에는 GPA좋은 미국인들이 많이 지원합니다.
한국 설카포에서 받은 높은 학점(Summa Cum Laude)의 힘이 크지 않습니다.
CS학과 Summa Cum Laude라면 미국 AI대학원 진학 후 퀄을 쉽게 통과하고
코스웍을 잘 따라갈 가능성이 높죠.
그러나 컴공이 아니라면 GPA가 당신의 AI연구 적합성을 결정하지 않습니다.
2.
AI 연구는 GPU와 Pytorch로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즉, 대단한 연구 환경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작성자 분께서 미국 경험이 없더라도 한국 국내 랩에 컨택하여
Visiting Student Researcher나 석사과정을 수행하면서
충분히 논문을 쓰실 수 있습니다. 그 다음에 미국 탑스쿨을 지원해보세요.
3. 학점과 학벌에서 본인이 하위권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그렇다면 인턴쉽을 하면서 연구를 더 열심히 하시면 됩니다.
원래 인생에는 상승과 하강이 있습니다. 겁 먹지 마세요.
Stanford MIT AI대학원 입시
17 - 그분 어글리 코리아네
소국민 주제에... 대국에 가서 몬소리임...
조지아텍 수준이 어떤가요?
12 - 그래도 시도할건 해봐야 하지 않을까요???
엄연히 [불법] 이민자를 싫어하는것이지, [합법]적인 이민자를 반대하는건 아니니까요. 어떻게 보면 [합법적]인 절차만 누가봐도 명료하게 만들면 (힘들겠지만요) 그것만 명료하다면 유학이나 포닥은 또 명료해지는것 아닐런지요
아마도 내년부터는 미국 유학 포닥 힘들어지지 않을까 싶네요...
19 - 제가 생각을 너무 단도직입적으로 밝혔네요.ㅎㅎ 죄송..
큰 관점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불법 이민자들을 색출하려고 노력함에 따라 박사/포닥 한테 주는 펀딩을 제어하는거같아서요 ㅎㅎ
결론은 같습니다...
불법 이민자로 전락하지 않겠다는 뉘앙스를 많이 풍기면 박사학생이나 포닥에게 주는 펀딩을 받을수 있을거라는 뜻입니다 ㅎㅎ
아마도 내년부터는 미국 유학 포닥 힘들어지지 않을까 싶네요...
24 - 헤르츠씨는 프로젝트와 펀딩 예산 삭감과 구조조정이 뭔지 아예 이해를 못하고 있는것 같은데, 익명커뮤에 분탕치러온 대학원과 미박과는 영 관련없는 분 같네요.
아마도 내년부터는 미국 유학 포닥 힘들어지지 않을까 싶네요...
16 - 뭐가요?진지한데 어설프게 공감하지 말아주세요
착한 선배들은 박사 안 하더라
34 - 아 네.
착한 선배들은 박사 안 하더라
15 - 익명커뮤에서 개차반 대댓 다는거보니 글쓴이도 남는축에 속할듯 ㅋㅋ
착한 선배들은 박사 안 하더라
19 - 언급해주신 대학들 모두 상위 20%에 포함되는 학교인데, 디메리트의 기준이 글쓴이에겐 매우 높은가 봅니다. 나쁜 교수님을 만나는 것만큼 디메리트가 있을까요?
인기 대학원,좋은 기업 취업에 있어서 학벌 디메리트가 시작되는 라인은?
10 - 박사과정 중에 자퇴하게 하는 건 진짜 쉽지 않은데..
지금까지 벌려놓은 연구과제 + 자퇴생들이 기존에 맡았던 거 마무리 님이 다 덤터기 쓰기 전에 나가세요
거기다 후임도 안 오면 더 노답임
학부연할 때 선배가 도망치래서 농담인 줄 알았는데 선배들 자퇴함ㄷㄷ
15
대학원 처음 준비하는데 서류 탈락의 쓴맛을 봤습니다.
2021.04.20

인공지능 대학원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애초에 흥미있는 분야가 뚜렷하지 않았어서 물론 학부때부터 준비하지 못했습니다.
이 부분은 저의 큰 잘못입니다. 학교는 미국 상위권 주립대이지만, 공대도 아닌데 학점이 4.5만점에 3.74정도밖에 되지 않습니다. 학점을 커버할 수 있는 활동이 있을까요? skku 오늘 서류에서 탈락했더라구요ㅠㅠ 저의 단점을 보완해서 더 도전하고 싶습니다.
또 한가지 질문을 드리자면, 보통 컨택하고 원하는 랩실이 다 있으신 것 같은데 입학 지원할때 보면 그런 희망 지도 교수님이나 랩실을 적는 칸이 없던데 이런것은 학업 계획서에 녹여내야 하는 부분인가요? 저는 컨택의 중요성도 몰랐고 정보도 부족해 적극적이지 못했습니다. 물론 컨택을 안 한건 잘못이지만 컨택을 하던 안하던 학업 계획서에 그 교수님의 지도를 받고 싶다고 어필해야 하는 건가요? 어떻게 랩실과 지도교수님이 정해지는 건가요?
무지한 저이지만 너그럽게 봐 주십시오 선배님
면담에 관해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김GPT 2 7 10293
대학원 서류합격했지만 찝찝하네요 김GPT 7 9 7237-
5 8 8917
컨택 후 입학 김GPT 0 16 1295-
1 2 4671
고학년 성적이 점점 하락추세입니다 김GPT 0 4 5829
대학원 컨택 질문이 있습니다. 김GPT 0 1 6198
지거국에서 대학원 김GPT 2 4 4526-
0 6 3958
이사할때 청소시키는 교수 신고해도됨? 명예의전당 89 70 50214
대학원생 장시간 근무에 대한 생각 명예의전당 210 56 64544-
62 29 30791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1.04.20
대댓글 1개
2021.04.20
2021.04.20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