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습작을 반복해야 대작이 나옵니다
그리고 실제 큰 임팩트를 줄 수 있는 연구 결과가 몇프로나 되겠나요?
언젠가 누군가가 당신의 논문을 보며 공부하고 영감을 얻는다면 그것 또한 공헌이죠
껍데기 연구를 하는 것 같습니다.
22 - 나쁜건 전혀 아니지만 최소한 GPT작성한게 말이 되는지 판별할 독해능력이 있어야되는듯
GPT로 영어로 논문을 작성하거나 다듬는 것에 대해
12 - GPT로 영어 표현 수정하는데 뭐라하는 놈들은 연구에 자신없는놈들일 뿐임.
논문 잘 못쓰던 사람이 GPT로 논문 잘쓰는거 보고 위기감 느껴서 그럼. 그냥 자기가 "연구" 자체를 잘하면 될것을...
무슨 영어 경진대회 할라고 박사받았는지 참..
GPT로 영어로 논문을 작성하거나 다듬는 것에 대해
24 - ㅎㅎ 그런 부분들이 님과 그 학생들을 가르는 차이가 됩니다.. 님 말한거처럼 모두 좋은 마인드 장착하고 능동적으로 공부하면요 그건 진짜 지옥이에요... 지금이 나아요 ㅋㅋㅋ
생각보다 업계가 좁아서 협력자가 경쟁자가 됩니다... (당장 나도 같은 랩실 선후배+친구들 교수 면접때 보고 그랬음)
그들을 님이 바꿀수없어요 님은 부모도 지도교수도 아니니까요... 그냥 본인꺼를 열심히 하면서 성과를 내시면 말빨이 먹힙니다..
만약 본인과 같이 일하는데 수준이 미달이다... 이게 사실 제일 빡치는데 그럼 뭐 논문 저자 기여라던가 이런걸 확실히하고 기여가 없다 그럼 본인이 다하고 빠지라고 하시는것도 방법입니다...ㅎㅎ
요즘 학생들의 기본마인드 제주변만 이런걸까요?
12 - ㅋㅋㅋ 남 물박사라 욕하지말고 본인이나 잘해여 ㅋㅋㅋㅋ
물박사도 논문 갯수 박치기 가능하네요
26 - 아니요 낮은 저널과 학회에 나오는 아이디어 99%는 탑티어 기술 적용해봤다 끝이고 의미없는 연구들이 99.99%입니다. 대기업 중소기업 개념이 아니라 그냥 디지털 공해입니다.
낮은 저널에 논문을 내는 이유
40 - 실력없는 교수들의 실적 챙기기 이외에 가치 없습니다 특히 ai라고 하면요.
낮은 저널에 논문을 내는 이유
18 - Mdpi 내면 평생의 족쇄입니다. 절대 내지마세요.
낮은 저널에 논문을 내는 이유
13 - 1. 과제 특성상 1년에 sci 몇편 써야하는 경우가 발생함. 이 경우 탑 저널에 투고하는 것이 좋지만 논문 작성, 투고, 리뷰, 게재까지 시간이 오래걸림. 그에 따라 선택적으로 어중간한 아이디어나 조금 떼서 낮은 저널에 투고하는 경우도 생김.
2. 실력적으로 부족한 경우. 최상위권 연구자가 아닌 경우 나름 연구를 진행하여 중위권 저널에 투고하는 경우도 있음.
3. 졸업 시 논문 편수를 요구하는 경우. 석사의 경우 가끔 sci 논문 1편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음. 이 경우 취직을 목적으로 하는 석사 또는 박사의 경우 논문의 퀄리티 보다는 기업의 채용 자리와 과제의 연관성 등이 더 중요하기에 논문은 그런저런 저널에 투고하는 경우가 있음.
4. 조교수 임용시 채워야하는 실적이 있음. 아마도 조교수가 되면 몇년 이내에 sci논문 몇편 채워야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을 채우기 위해서는 빠른 리뷰의 저널을 찾게되는 경우가 종종 있음.
분야 바이 분야, 상황 바이 상황이고 모두가 탑컨퍼 탑저널에 내는 것이 좋겠지만 상황이 그렇게 만들어주지 않는 경우가 더러 있음.
낮은 저널에 논문을 내는 이유
19 - 모두가 높은저널에 내고 게재될수있는거면 그게 높은저널일까요
낮은 저널에 논문을 내는 이유
13 - 헛짓말고 현생사세요
대학 교수 학력 입력에 "ㅇㅇㅇ대학교 ㄱㄱㄱ학과 석사/박사 " 에 대한 질문
22 - 댓글만 보면 여긴 다 이미 석학들이거나 예비석학들임 ㅋㅋㅋㅋㅋㅋㅋㅋㅋ
낮은 저널에 논문을 내는 이유
18 - 북한도 아니고 다같이 으쌰으쌰에 안꼈다고 이상한 사람 만드는 연구실 문화가 더 문제
연구실 분위기는 누가 망치고 있는지 다시 생각해보시길
분위기가 망해버린 신생 연구실 탈출이 맞을까요?
28
대한민국 2030 Real ㅈ된이유. (같은의미로 2030년되면 ㅈ망함)
2021.02.25


밑에 글에서 저출산문제 언급되서 말인데 진짜 dog ㅈ된 상황 맞습니다.
지금은 막말로 공대 문과 가릴거없이 모든 학계가 뛰어들어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총동원되어야한다고 생각함.
특히 2030 (90년대생)에게 대한민국은 어떤 방면을 보더라도 미래 가치가 전혀 없다고 장담할 수 있습니다.
(1) 2025년 우리나라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합니다 (일본보다 초고령진입 시간 7년빠름). 그래서 향후 10년이면 1명의 청년이 1명의 노인(586 베이비부머)을 부양해야하며 단순계산으로 수입의 50%, 못해도 1/3은 뜯기게됩니다. => 박사하고 좋은직장 가져도 문제가 된다는말
(2) 정작 지금의 2030 (e.g. 90년대초 70만 출생)이 늙었을때는 지금 태어난 애기세대 (2020년 27만 출생)로부터 부양받아야할텐데 그러면 나라 곳간 파산날것입니다.
결과가 있으면 원인이 있을텐데 제가 생각하는건 (이미 아시겠지만) 부동산은 오히려 둘째고 첫째는 극악으로 치닫는 페미니즘(사회적 남성성 거세작업), 좌편향 정치풍토에 기안한다고 봅니다. 실제로 노무현때 1.08까지 떨어진적있고 이명박-박근혜때 1.2-1.3 왔다갔다했습니다. 즉, 미래에 대한 기대치가 우파정권에 높다는게 숫자로 표현되었습니다. 지금 문xx 정권에서는 바닥을 모르고 추락하고있습니다 훠훠.
아쉽지만 이미 골든 타임은 놓쳐서 해결책이 없어보입니다. 지금 정권에서 100조넘게 퍼부었지만 그돈은 어디로갔는지 출산율엔 소식이 없습니다. 하물며 외국이민자들 (e.g. 파키스탄 출산율 3.5명)을 받아도 그들조차도 대한민국에서 본국에서만큼 출산을 안/못한다고 합니다.
결론적으로, 저출산으로 인구붕괴 시작되었고 2030은 막말로 spk고 박사고 나발이고 그냥 세금 뜯기고 내집마련에 허덕이다가 연금 못받고 끝나는 팔자가 될것입니다 (수저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해결책은 탈조선을 과감히 선택하는것. 대기업들도 탈조선 시동걸고있습니다.
얘기가 길었는데 더 자세한 내용은 최근에 올라온 저출산관련 유투브 두개 추천드립니다. 홍보는 아니고 reference 용으로...
1. <슈카> https://www.youtube.com/watch?v=FX0ZvDfCFxs&t=81s
2. <서우파 채널> https://www.youtube.com/watch?v=mWSjvewe5Ck
https://www.youtube.com/watch?v=FX0ZvDfCFxs&t=81s
-
165 30 45156
일을 잘 한다는 것. 명예의전당 198 14 19929
신임 교수인데 학생분들 건강 챙기세요 명예의전당 294 34 62540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패기만 넘치는 요즘 타대생 컨택 메일
329 - (우울주의) 실패에 대하여
149 - 드디어 졸업합니다!! 교수님 마땅하십니까? ㅋㅋㅋㅋ
106 - 대학원생을 위한 화법 레슨
24 - 공부잘하는 사람들은 남한테 지는 거 싫어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일까요?
8 - 맘편히 연구할 수 있게 밥주는 대학이 내게는 명문대다
24 - 껍데기 연구를 하는 것 같습니다.
13 - 40대 박사과정생 여자가 교수님 조교하며 느낀점
30 - 대학원 자퇴 그 이후
33 - 와씨 대학원 1학기 보내고 나니까 가스라이팅 집합체네
8 - 요즘 학생들의 기본마인드 제주변만 이런걸까요?
26 -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2편입니다.
10 - 노란봉투법 연구직도 영향이 있을까요
4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GPT로 영어로 논문을 작성하거나 다듬는 것에 대해
17 - 수도권대 나와도 지거국 대학원가는게 전망좋으려나요
13 - 카이스트 ai반도체 대학원
14 - S대 전기과 컨택 후에도 불합격 할 수 있을까요?
15 - 연구실 내 인간관계-서럽고 아픕니다
22 - T50 권 박사 유학 vs 서울대 카이스트 박사 진학
11 - 물박사도 논문 갯수 박치기 가능하네요
8 - 하면 안되는 행동이란 것을 아는데 하면 잘못, 정말 몰랐어서 하면 안되는 행동을 하면 실수
8 - 성균관대,한양대 석박통합 입학 스펙은 어느정도인가요?
12 - 낮은 저널에 논문을 내는 이유
30 - 분위기가 망해버린 신생 연구실 탈출이 맞을까요?
9 - 대학 교수 학력 입력에 "ㅇㅇㅇ대학교 ㄱㄱㄱ학과 석사/박사 " 에 대한 질문
11 - 컨택메일에는 석박통합 희망으로 썼는데 실제 지원은 석사로 해도 되나?
19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패기만 넘치는 요즘 타대생 컨택 메일
329 - (우울주의) 실패에 대하여
149 - 드디어 졸업합니다!! 교수님 마땅하십니까? ㅋㅋㅋㅋ
106 - 대학원생을 위한 화법 레슨
24 - 공부잘하는 사람들은 남한테 지는 거 싫어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일까요?
8 - 맘편히 연구할 수 있게 밥주는 대학이 내게는 명문대다
24 - 껍데기 연구를 하는 것 같습니다.
13 - 40대 박사과정생 여자가 교수님 조교하며 느낀점
30 - 대학원 자퇴 그 이후
33 - 와씨 대학원 1학기 보내고 나니까 가스라이팅 집합체네
8 - 요즘 학생들의 기본마인드 제주변만 이런걸까요?
26 -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2편입니다.
10 - 노란봉투법 연구직도 영향이 있을까요
4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김박사넷 | 미국 Virginia Tech 신임 교수 초청 웨비나
171 - 수도권대 나와도 지거국 대학원가는게 전망좋으려나요
13 - 카이스트 ai반도체 대학원
14 - S대 전기과 컨택 후에도 불합격 할 수 있을까요?
15 - 연구실 내 인간관계-서럽고 아픕니다
22 - T50 권 박사 유학 vs 서울대 카이스트 박사 진학
11 - 물박사도 논문 갯수 박치기 가능하네요
8 - 하면 안되는 행동이란 것을 아는데 하면 잘못, 정말 몰랐어서 하면 안되는 행동을 하면 실수
8 - 성균관대,한양대 석박통합 입학 스펙은 어느정도인가요?
12 - 낮은 저널에 논문을 내는 이유
30 - 분위기가 망해버린 신생 연구실 탈출이 맞을까요?
9 - 대학 교수 학력 입력에 "ㅇㅇㅇ대학교 ㄱㄱㄱ학과 석사/박사 " 에 대한 질문
11 - 컨택메일에는 석박통합 희망으로 썼는데 실제 지원은 석사로 해도 되나?
19
2021.02.25
2021.02.25
2021.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