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석사 후 취업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2021.01.16

12

5221

무엇일까요

1. 학부 및 학부학점
2. 대학원 레벨(skp / yk)
3. 석사때 쓴 논문(얼마나 좋은 저널에 실렸는지 등)
4. 연구분야

순서를 매긴다면 어떻게될지 궁금합니다
슨뱃림들의 고견 기다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1.01.16

4, 2, 1, 3 순

2021.01.16

4 2 (1=3)
Jonas Salk*

2021.01.16

4123임
분야가 안맞으면 제아무리 Mit 학석박이라도 안뽑음
논문은 의미없고 괌련 과제를 해봤는지가 더 중요

2021.01.16

그렇다면 제가 원래 연구하고자 했던 분야 yk vs. 봤는데 흥미로워보였던 s 중 선택해야 한다면 네임벨류를 봐서 s로 가야할까요?
Jonas Salk*

2021.01.16

석사하고 취업할거면 본인 갈 곳에서 원하는 연구분야를 골라야지 내가 흥미있어봐야 뭐함

2021.01.16

123순이네 연구분야에 맞는 분야에 회사지원을 하는건 당연한거고; 대기업에서 석사 채용프로세스는 학사랑 걍 같음. 학부취업처럼 학부랑 학부학점 이런거 많이보고 인성보고 뽑는거임. 누가 석사따리가 한 연구분야랑 연구실적보면서 배치하냐; 삼성은 박사도 자기 연구분야 배정안되는데

2021.01.16

석사 = 1~1.5년 경력 쳐주는 학사라고 생각하면됨. 논문을 진짜 오지게 쓰지 않는이상은 41 >> 23

2021.01.16

2년경력 쳐주지

2021.01.16

4 2 1 3 순이 맞는 것 같습니다. 요즘 학/석사 뽑는데도 직무를 specific하게 정해놓고 뽑는 추세라서요. 이전처럼 연구개발로 퉁쳐서 뽑는 곳이 매우 드물어졌습니다. 제 주위만 봐도 요즘에는 4가 가장 중요한 것 같네요. 취업이 목적이시라면 산업계 트렌드에 너무 동 떨어진 분야 택하는 것은 피하세요.
Georges Seurat*

2021.01.16

4 1 2 3
석사 취업이 무슨 석사학벌을 봄 학사 학벌이 더 중요

2021.01.16

4>>>1>2>>>>>>3임. 석사가 sci급 저널 한 편 쓰는것도 매우 드문일이고 보통 논문 한번에 억셉되는 경우도 없어서 석사 4학기때 논문 실적 갖고 회사 지원하는 사람 거의 없음. 연구분야가 무조건 중요한게 산업체에서 원하는 연구하는 곳은 학부 학벌학점이 어떻든 헤드헌팅으로 뽑아간다고 많이 들었음.
Jonas Salk*

2021.01.16

석사때 논문실적이 눈에띄게 좋다면 회사에 안가지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