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박사학위자 기업에서 일하면 어때요???

2021.01.03

10

6434

학위과정동안 전공서 보고 논문읽고,

프로그래밍하고, 수학적인 접근하고, 데이터 분석하고

하면서.... 뭔가 전문적인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는 성취감과

재미가 있는데,,,


박사학위 들고 기업에 가면 위에 언급한거 다 할수있나요??

학계랑 완전 딴판인가요??

수학적으로 분석하는게 너무 재미있는데,,,,,

기업에가면 어떤식으로 하는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1.01.03

원글

학위과정동안 전공서 보고 논문읽고,

프로그래밍하고, 수학적인 접근하고, 데이터 분석하고

하면서.... 뭔가 전문적인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는 성취감과

재미가 있는데,,,

박사학위 들고 기업에 가면 위에 언급한거 다 할수있나요??

학계랑 완전 딴판인가요??

수학적으로 분석하는게 너무 재미있는데,,,,,

기업에가면 어떤식으로 하는지 궁금합니다...

2021.01.03

돈벌면서 재밌는걸 하면 최상이겠지만, 그러면 기업일까요>?

2021.01.03

어느 회사의 어느 팀에 가느냐에 따라 천지차이입니다.
회사에서도 기초 연구일라면 데이터 분석 단계까지는 학계와 별 차이가 없을 수도 있고...

2021.01.03

하루종일 시뮬 돌리고 노가다만 하는 느낌... H모 회사
Cyril Norman Hinshelwood*

2021.01.03

능력 되면 그런거 할 수 있는 부서와 포지션으로 가게 됩니다.

2021.01.03

H 선행쪽인데 우리팀은 연구실 분위기랑 비슷함,, 근데 석사하고 오는 분들도 많아서 계속 다닐거면 석사하고 오는게 낫겟다 생각듬.. 물론 석사하고 올수 잇다는 가정하에.. 그리고 목표가 연구실에서는 논문이엿다면 여기서는 좀더 실용적이고 프랙티컬함, 연구적으로는 일단 나는 만족함
내 결론 팀바팀이고 팀을 잘가면 나쁘지 않나 어찌됐든 실용적인 연구에 치우침
Verner von Heidenstam*

2021.01.03

첫 몇년동안 석박사때 한거 뽑아먹고 이제 최신연구에서 뒤쳐지면 그냥 회사원 되는거임
Karl Adolph Gjellerup*

2021.01.03

회사에 따라 직군에 따라 다름.

미국 테크회사 Research Scientist (engineer 말고) 쪽으로 가면 대학원 생활의 연장인데 일은 대학원생때의 절반, 연봉은 교수의 2-3배 받을 수 있음.

다만 업무자유도는 아무래도 상사가 시키는거 해야 하고 보람적인 측면에서 사람에 따라 보람을 못 느낄 수도 있음. 기업의 단점은 아무래도 큰 조직의 톱니바퀴가 된다는거? 닭 대가리보다 소 꼬리가 좋으면 하면 됨.
Verner von Heidenstam*

2021.01.03

미국 회사 오프닝 거의 대부분은 SWE이지 RS가 아님.
테크회사 RS 뚫을 정도면 국내교수 쉽게 할 스펙임

IF : 5

2021.01.03

비슷한 일을 하긴 하는데 대학원보다 최소 3배는 스피디해서
약간의 완성도를 잃고 추진력과 프랙티컬함을 얻는 것 같습니다
학교가 좀 노잼이었던 사람으로서 일 자체는 만족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