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k 등 탑 학교 교수 되면 좋은점이 뭔가요?
연봉도 5000만원 정도 된다고 들었는데
아무리 정년까지 다닐수 있다고 해도, 차라리 금융 공기업 가는게 돈도 더 많이 받고 워라벨도 좋지 않나요?
한 35는 돼야 교수 될 수 있는 거 생각하면 고졸 9급 공무원이 그 나이 돼서 받는 돈이랑도 별로 차이 없을 것 같은데요 ㅠ
정말 궁금해서 물어봅니다!
링크 들어가보지도 않았는데 헛소리고요.. S예전 국립대 조교수 초봉이겠죠. PK는 조교수도 5천 말도 안되고, 훨씬 많아요. P는 옛날부터 교수 연봉 및 지원 좋은 걸로 유명했고요.. S가 국립대였을때는 다른 국립대랑 같았는데 법인화 되면서 연봉 늘렸죠. 교수별로 다르긴 한데 PK의 경우 연봉 만으로도 정교수 찍으면 1억 중반되고요.. 연봉 외 수입 다 하면 수억에서 십억 정도까지 버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이런 사람들이 아주 적지 않고 한 과에 잘 나가는 교수들 2, 3명은 그 정도 버는듯 해요..
2021.01.03
또 시작이네
Émile Zola*
2021.01.03
1. 연봉에 대한 정보는 부정확합니다. 조교수때 세후말씀하시는거면 비슷할수있으나, 산학연구 혹은 연구수당, 그 외에 세미나, 강연, 심사비등 합산되면 세후로봐도 그보다는 많을겁니다.
2. 워라벨은 솔직히 테뉴어 지나기전까지는 좋지는 않습니다. 정교수되면서 천천히해야지 하는분들은 좋을수도 있으나, 끝까지 열심히하시는 교수들도 많습니다.
3. 가장좋은건 원하는 연구를 할수있는 환경입니다. 연구에 집중할수있도록 한학기에 맡는 수업수도 매우적은편이며, 초임일 경우 다른과제가 없어도 정착과제등 교내과제를 통해서도 연구실 가꾸는데 필요한 돈을 지원해줍니다. 그리고 학생들 수준이 아무래도 높다보니, 웬만하면 실적들도 잘 나오기도 하고요.
4. 가장 중요한건 사회적 평가인것 같습니다. 일반 교수들도 좋게 평가하는데, spk 교수라는 직업은 정말 사회적으로 가치가 높은것 같습니다.
교수를 원하는사람은 대부분 연구자유도를 보고 가는거지, 처음부터 워라벨을 보고 가는사람은 없을겁니다. 해보시면 알지만 어느대학이든 초임교수는 엄~청 바쁩니다.
Salvatore Quasimodo*
2021.01.03
너같으면 그 천재적인 실력가지고 5천만원 주는데 가겠음??? 상식적으로 생각합시다
IF : 1
2021.01.03
그리고 기본적으로 교수가 가지는 권리인 편하고 대우받고 명예있고 등등의 권리가 최대치겠죠 SPK교수면.. 그리고 자기 만족도 될거고.
2021.01.03
뭘 궁금해합니까 그냥 고졸 9급 공무원 하시면 되겠네ㅋ 나중에 사람들 만날때마다 '나도 SPK 교수만큼은 버는거예요' 라고 충고해주는거 잊지마세요.
2021.01.03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어그로 맛집이네
2021.01.03
Niccolò Paganini 과기원 계열은 구조적으로 그렇게까지 부수입 벌지 못하는 구조로 되어 있구요, SP는 가능합니다. 하지만 K는 최저치가 높고 최대치가 낮다고 해야할까요. 설대가 굉장히 교수별로 variation이 심하고요. 기본봉 받는 사람부터 10억까지 버는 사람도 있습니다. P는 K와 S의 중간쯤 느낌이네요. 여튼 제일 잘나가는 K 전전 기준으로 연간 총 평균적 수입이 최소 삼성 상무 연봉 수준 정도는 됩니다. 상무급으로 SPK교수 오퍼하면 거의 다 거절합니다.
대댓글 1개
2021.12.29
K 전전과 삼성 상무 연봉을 대략 모두 알고 있는데 이건 사실이 아니네요. 수입만으로 따지면 삼성 상무가 더 높습니다. 물론 안정성과 자유도 등을 생각해서 거절을 한다면 말이 되는데 (반면 회사에서도 너무 이론적인 교수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연봉으론 그렇게 될수 없어요. K는 또 과제 수입이 기본급 이상될수 없는 rule이 있어서 아무리 많이 받아도 3억 이상 쉽지 않습니다.
2021.01.03
어느 분야던 극소수 최상위권은 대우가 좋지 않겠냐? 상식적으로.. 미쳤다고 그 고생을 해서 거기까지 가냐. 단지 자기만족만을 위해서라면 나이먹도록 쌔빠지게 논문쓰고 과제하고 위로 올라갈라 그러겠냐. 그리고 대학원생이 이걸 왜 궁금해 하는겨..
Johannes Bosscha
IF : 1
2021.01.03
ㄹㅇ 아무것도 모르시는구나
Theophrastus*
2021.01.03
서울대는 박봉인거 맞음. 본봉은 외국 포닥 정도밖에 안됨
물론 서울대 교수할 능력이면 기업과제에 사외이사 이런거 해서 몇억씩 벌고
요즘 대부분 자기 회사 차려서 더 벌지
Theophrastus*
2021.01.03
그리고 카이스트 교수가 상무오퍼 거절하는건 임원이 2-3년 계약직이라 그런거지 연봉이 비슷해서가 아니지
Theophrastus*
2021.01.03
마지막으로 돈 제일 잘버는건 금융권 가는게 맞긴한데 금공말고 해외 IB를 가야지
30초반에 백억벌고 은퇴하는 애도 봤음
IF : 1
2021.01.03
카이 전전에서 학교에서 주는 월급의 정도 부수입 못올리는 사람 많지 않음.
Thomas Babington Macaulay*
2021.01.03
spk 교수가 아니더라도
박사랑 고졸9급공무원이 처지가 같다면
그 나라는 망한거임
2021.01.03
댓글 보시면 아시겠죠? 생판 남들이 목숨걸고 변호하고 열심히 띄워줌 ㅋㅋㅋ
Johannes Bosscha
IF : 1
2021.01.03
ㄴ 여기 기웃거리는 사람들이 갈 수 있는 정점이니 뭐 ㅋㅋㅋㅋㅋ
Theophrastus*
2021.01.03
여기 기웃거리면 타대생이란 뜻인데 갈 확률이 사실상 제로지
2021.01.04
글이 너무 허무맹랑한 이유
1. 애초에 금액도 오류
2. 두 직업의 비교를 오로지 급여로만 계산
3. 공기업 워라밸의 과대평가와 교수 워라밸의 과소평가
2021.01.05
포항공대 전 교수님 기준
연구실 20명
과제 규모 매년 15억
인센티브 +기본 연봉+ 각종 보너스 +심사료+학교 벤처 지분 등 = 연봉 2억5천이상
자녀 2명 다 미국 고등학교 대학 학비 지원도 가능
평소엔 정말 빡시게 다니시지만, 맘잡고 가족과 3주 통째로 휴가 다녀옴
2022.10.19
흥미롭네요.. 온라인 세상에 글 남긴 적 없는데 인터넷이 얼마나 황당하고 답답한지 잘 보고 갑니다. SPK 현직인데 여기 있는 말 중 제대로 된 말들이 없습니다. 특히 기업 상무와 SPK교수 비교에 웃고 갑니다^^..
2021.01.03
2021.01.03
2021.01.03
2021.01.03
2021.01.03
2021.01.03
2021.01.03
2021.01.03
2021.01.03
2021.01.03
2021.01.03
2021.01.03
대댓글 1개
2021.12.29
2021.01.03
2021.01.03
2021.01.03
2021.01.03
2021.01.03
2021.01.03
2021.01.03
2021.01.03
2021.01.03
2021.01.03
2021.01.04
2021.01.05
2022.10.19
대댓글 1개
2023.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