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서도 그렇고 여러군데에서 UNIST가 랭킹이 잘나오니 GIST DGIST보다 배터리, 화학등 특성화 분야 말고 모든과가 전반적으로 실적도 그만큼 훨씬 뛰어난다고 말하는 사람이 여럿인걸 봐서 검색해 보았다. 교수 홈페이지 가서 실적 보면 금방 알수 있다. DGIST가 그렇게 엉망 진창인 곳이 아니야.. 자대생 진학율이 UNIST보다 압도적으로 높고 (인터넷 조금만 검색하면 다 나옴) 자대생 수준이 있는데 엉망진창이겠음?
가령 전전의 경우 컴퓨터, 통신, 회로, RF, 소자, 신호 (우리학교 전전 홈페이지 기준..) 이렇게 크게 나뉘는데 DGIST 는 뇌공학, UNIST 는 배터리가 특성화 분야이지만, 각 대학 특성화 분야가 아닌 정보통신 쪽을 비교해보았음. DGIST 정보통신융합전공 교수들 중에 통신/네트워크 하시는 분들이랑 UNIST 전전에서 동 분야 교수들 실적 비교해봤다. 예의상 여기 가져오지 않음. 너희들도 가서 봐봐라. 재학생 논문위주로 봐봐라. 정말 DGIST가 크게 떨어지니? 내가 완벽히 어느 저널이 좋은지는 모르지만 최소한 IF측면에서 질과 양으로 봤을때는 전혀 아니었음.
제발좀 어느 대학원 깔려면 최소한의 검색은 좀 하고 데이터 가지고 까자. 여기 뇌피셜 억까들 너무 많음.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6개
2020.12.23
나는 지금 디지스트 학부생인데 이런말 해줘서 너무 고마움..ㅠㅠ
그냥 근거도 없이 무시하는거 진짜 너무 억울했어
C. Vann Woodward*
2020.12.23
팩트: 랭킹 입결 인식 모두 디지스트가 크게 떨어짐
그래서 같은 급이라는걸 설명하려면 본문처럼 장황한 글이 필요하고 비슷하다는 입맛에 맞는 근거를 찾기위해서 지난한 노력이 필요함
대댓글 1개
2023.05.26
ㅠ 출신인데 웃고 갑니다
C. Vann Woodward*
2020.12.23
서성한에서 서강대 같은 느낌이야 그냥 같이 분류하는게 익숙할뿐 성한에 비해서 입결 랭킹 인식 모두 떨어지는게 팩트
2020.12.23
ㄴ 님 대기업 인사담당자라도 됨? ref. 없는 팩트는
뇌피셜임
IF : 1
2020.12.23
참고로 졸업생이 unist나 dgist나 둘다 너무 적어서 비교가 어렵긴한데 (특히 박사), 둘다 대기업 무난하게 들어가고 석사로 비교해봐도 비슷한 output을 보이고 있음. 작은학교이다보니 인식이 낮은건 어쩔수 없는데, 세계랭킹이니 어쩌고 이런거 가지고 udg를 실적이나 취업 output 차원에서 차별두려는 거는 정말 어이가 없음. 조사한 봐로는 udg는 동급이라고 말해도 무방함. 물론 각 특성화 분야 제외.
C. Vann Woodward*
2020.12.23
ㄴ 응 계속 앞으로도 조사 많이 하고 글도 많이 써야겠다 사람들 인식 바꾸려면 ^^ 고생이 참 많네
IF : 1
2020.12.23
C. Vann Woodward 댓글에 제가 비공 누른거 아니구요 C. Vann Woodward 댓글 자체는 맞을수도 있겠죠. 여러 사람에게의 대학원 입결 인식, 세계랭킹 이런게 낮은것은 사실이니까. 서강대도 작은학교다보니 가끔 까이는데 들여다보면 아직도 입결 높잖아요. 다시말하지만 DGIST는 몇번 교류하고 아는 친구들이 있을뿐 다니지 않습니다. 객관적인 팩트 왜곡은 바로잡자는 의미에서 써봤습니다.
2020.12.23
저도 과기원 재학생은 아니지만 제대로 비교해보세요. DGIST 재학생이신가요? 거의 모든 분야에서 차이가 매우 큽니다. EE/CS만 보더라도 AI대학원 자체도DGIST에는 없죠? 저널 뿐만 아니라 탑티어 학회에 나오는 결과들도 비교해보세요. 학생들 실적보고 싶으면 휴먼테크 논문상도 확인해보고요. DGIST랑 UNIST 역사 차이도 그리 크지 않은데 아웃풋 차이가 큰건 인정해야죠. 배터리만 U가 잘한다고 후려치지 마시고 다른 분야들도 잘 보세요
2020.12.23
유니 재학생수가 많아서 그런지 올려치기 정말 심합니다.
2020.12.23
Alphonse de Lamartine
UNIST EE/CS에서 탑컨펀스 학생이 쓴거 몇편인데요? ㅋㅋㅋ ㅈㅅㅇ 교수님 말씀하시는거? 서울대 이직하신?? ㅋㅋㅋ DGIST AI교수님 몇 되지도 않고 그나마 있던 교수님들 P에 뺏겼죠 오래전에. 새로 오신 분들은 이제 랩 꾸렸구요. UNIST AI 도 새로오신 분들 실적중에 학생 연구 탑 학회 있던가요? CS 시스템 분야 논문 몇편 나오는거요? DGIST에는 그거 하시는 분들 자체가 없는 분야에요.
2020.12.23
그리고 동남권 UNIST 가 다먹는 논리죠. 이번에 AI대학원 유니가 딸때 슬로건 보셨죠? 동남권 어쩌고 하는. 대구 경북권을 하나로 묵는데 여긴 P가 있어요 ㅋㅋ
2020.12.23
EE CS말씀하시니 참고로 UNIST서 EECS 올해 수상한 2편의 논문 지도교수님이 각각 K, 성대 교수님이시네요. 제 생각도 글쓴이 분과 비슷해요. U나 D나 재학생들 잘하는거 비슷하구요. 배터리만 U가 잘한다는게 아니라 D나 G도 그정도는 한다는거에요. SPK에 교수 뺏겨서 지금 황량해 보이는거지. 비슷한 처지에 왜그렇게 욕하는지 모르겠네요. 아래 글은 보셨나요? 2019년 기사인데도..
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31813
2020.12.23
위에 분 D 재학생이시죠? D 속 사정도 자세히 아시는 걸로 보니.. 팩트만 이야기 합시다.. 성과로 볼 수 있는 것들로.. 대학순위, 논문 수, 대회수상 등.. 왜 이것들은 없는걸로 여기는지 도대체 이해가 안되네요.U/D/G는 뭐가 특출나다 이런 의견들 이야기하지 마시고.. 나오는 팩트들로만 이야기해요. D가 특출난 분야가 있다면 뚜렷한 성과가 나와야 하는데, 없죠? D는 그거 하시는 분 없다.. 동남권엔 P가 있어서 AI안된다 등등은 무슨 비겁한 변명?
Nikos Kazantzakis*
2020.12.24
DGIST의 자대생 진학률이 압도적으로 높은건 그렇게 자랑할만한 이야기는 아닌데... 입학생 200명이 전부 하릴없이 대학원만 보고 꿈도 안변하고 90%이상 대학원에 간다는건 뭐랄까 신설 학교에서 나올법한 좀 비정상적인 수치인거임... 연구가 뭔지도 모를 애들이 학교에가서 그 꿈 안 변하고 대학원에 간다는거 아님? 비슷한 종류의 연구중심대학인 카,포가 대략 65%정도인걸 보면, 그 정도로 수렴하는 것음.
내가 09학번이라 대강 기억하고 있는데 베리타스알파 같은곳보면 유니스트가 1기 입학생 나오던 시절인 2013년쯤에 대학원 진학률이 90% 이상 나왔던 걸로 암. 지금은 잘 모르겠지만 저기도 60%가량이라고 알고 있음.
Nikos Kazantzakis*
2020.12.24
유니스트보다 학부 1년 늦개 개설한 지스트도 비슷함
대학알리미 공시 들어가서 보면
2016년 84명중 78명 93%
2017년 73명중 60명 82%
2018년 110명중 76명 69%
이렇게 나오면서 진학률이 점점 줄어드는중임 ㅇㅇ 어느정도 학교 이름이 기업들에 알려지면서 취업문이 넓어지고 진로가 다변화되는거라고 봐야지...
2020.12.23
2020.12.23
대댓글 1개
2023.05.26
2020.12.23
2020.12.23
2020.12.23
2020.12.23
2020.12.23
2020.12.23
2020.12.23
2020.12.23
2020.12.23
2020.12.23
2020.12.23
2020.12.24
2020.12.24
2020.12.25
2020.12.25
2021.01.02
2023.01.27
2023.02.17
대댓글 1개
2023.02.17
2023.04.08
대댓글 1개
2023.06.20
2023.05.26
2024.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