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석사 취업시 졸업논문과 분야가 왜 안중요한가요?

Christian Huygens*

누적 신고가 10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0.12.01

12

16666

왜요? 회사에 안맞는것보단 맞는게 좋고 좀 더 높은 수준의 논문을 작성한 학생을 뽑는게 좋은거아닌가요?

왜안중요한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Selma Lagerlöf*

2020.12.01

맞는말이긴 합니다.
그러나 높은 수준의 논문을 쓸 수 있는 석사는 기업에 취직을 안합니다. 그래서 석사가 논문을 써봤자 수준이 거기서 거기입니다.

2020.12.01

석사 졸업 논문은 별로 안 중요해도 분야는 좀 중요하죠. 분야마다 연구실마다 다르긴 한데 석사 과정 동안 논문 한 편 못 쓰고 졸업하는 학생들도 수두룩하고 논문을 쓴 학생이라 할 지라도 학술 논문과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능력이 꼭 일치한다는 보장이 없습니다.
Christian Huygens*

2020.12.01

결국 분야는 중요하다는 말이죠?

2020.12.01

석사내내 cfd만 신나게 했는데 면접오라는데도 전부 유동해석분야였고 지금하는거도 유동해석이고 앞으로도 이것만 할것같네요. 근데 cfd라도 유체쪽 세부분야를 따지면 다상유동도 있고 공력도 있고 그런데 이렇게 세세한거까지 맞아야하는건 아닌것 같아요.
Selma Lagerlöf*

2020.12.01

ㄴ 분야도 분야가 아예 다른 회로/통신 랩 출신이냐는 따지겠지만, 베이스가 되는 학문이 같은 분야 ( 회로/ 반도체)는 별 상관없습니다.

석사학위를 받은 학교에서 요구하는 석사과정을 충실히 잘 수행했느냐의 의미가 더 강하지, 고작 석사한테 그 분야의 높은 수준의 연구력을 기대하지 않습니다. 회사에서 박사는 "연구"능력을 요구하지만, 석사는 대개 "개발"능력을 기대합니다.
Euclid*

2020.12.01

깊은 세부분야는 안중요함
딱 큰 분야들 있잖아요 반도체/회로/전파 같은거
그정도만 맞으면 됩니다
Democritus*

2020.12.01

석졸취업자 논문 수준은 다 거기서 거기 2222 석졸할때 논문 실적 좋은 사람들은 원래 석졸 취업 계획했다가도 다 박사가거든 ㅋㅋ

2020.12.01

대부분의 학생들이 2년동안 석사해봤자 그 분야에 대해 털끝 하나만큼도 모르기 때문이죠

2020.12.01

석사가 알아봤자 얼마나 알겠냐는 관점이죠.
작은아버지가 기업 면접관으로 있으시면서
석사면접에서 단 한차례도 어떤 논문썼는지 본 적이 없으시다고..
석사지원자에게 보는 것은, 어느 학부인지, 학점 몇인지, 대학원은 어디인지 라고 하시더군요.
Christian Huygens*

2020.12.01

ㄴ아....그렇군요 다들 감사합니다
Alan Perlis*

2020.12.02

논문 실적 잘 나오는데 석사 때 교양 같은 수업만 듣고 이상하게 논문 쓴 동기가 연구해봤다고 떵떵 거리다가 취직한 거 보면 취직이 하고 싶겠나요. 박사해서 박사들이 가는 곳 가려하지.

2021.07.25

기업이랑 같이하는 과제 하지 않는 이상 석사때하는 연구들은 기업이 하는일과 전혀 관련이 없기 때문. 애초에 궁금해하지 않음..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