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전 사람이 공감버튼 다 눌러놨길래 저도 다 눌렀습니다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1071 - ㄴ 222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611 - 엄준식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98 - 탈모생겨서 탈모약 받았는데, 약먹고나서 간 수치 5배 올라서 지금부터 내 인생은 수북한 머리는 끝났다.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150 - ㅋㅋㅋㅋㅋㅋ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105 - 4월달 글이 왜 아직도 여기있음?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85 - 와드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0 - 홍일점은 여왕 대접 받지만 청일점은 머슴 입니다. 나중에 보면 남의 일 한다고 바쁜 본인을 발견할겁니다. 시기 질투 모함 편가르기 이것들 전문이신 분들입니다. 스트레스 장난아니겟죠
여초랩 가도 될려나요...
11 - 카이스트가 이런거 잘함… 유투브 홍보 영상도 많이 찍고… 굳이 이렇게 까지 해야하나 싶은데
카이스트 수준 ㅋㅋㅋㅋ
19 - 신문에 일반기사인척하는 탈모샴푸광고도 잘하던데
카이스트 수준 ㅋㅋㅋㅋ
24 - 카이 진짜 쪽팔린다 ㅋㅋㅋㅋㅋ 어떻게든 대학순위 하나라도 높여볼라고 발악을하네 발악을 하
카이스트 수준 ㅋㅋㅋㅋ
19 - 한국 뿐 아니라 다른 국가에서도 사용하는 수법이라던데. 카이스트에서 자기들도 이 방법 써보자한것이고. 카이스트 독자적인 아이디어 아니라는거지. 이 방법 고안한 사람이 정말 참신한거지. 과연 논문이라는것도 정말 진실일까 싶음.
카이스트 수준 ㅋㅋㅋㅋ
17 - llm 때려박는 리뷰어들이 문제인거지
카이스트 수준 ㅋㅋㅋㅋ
11
좋은 연구실을 고르는 방법 (박사 졸업생이 생각하는)
2020.11.21

눈팅해보니, 게시판 아래에 연구실 선택 방법에 대해 언급한 글이 있더군요.
학부생 혹은 석사 저년차 학생이 쓴 글인것 같아서, 박사 졸업생 관점에서 정보를 줘야 겠다 싶어서, 저도 글 씁니다.
저는 비교적 최근 SPK 중 한곳에서 박사 학위(컴퓨터 계열)를 받았습니다.
학부는 타대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상당히 고생하면서 학위를 받았기 때문에 대학원 생활에서 오는 고충을 잘 이해합니다.
(저만 고생한건 아니고 연구실 내 다른 학생들도 전부 고생.. 아직 졸업 준비중인 동료들에게 묵념을..)
졸업 후 취업까지 전부 끝낸 입장에서, 좋은 대학원이라는게 어떤 것인가, 특히 교수가 아닌 학생 관점에서 봤을 때 좋은 대학원이 어디인가 다시 생각합니다.
통계에 의한 것이 아닌 제 주관적인 경험 (+다른 연구실 소식) 에 의한 것이므로 절대적으로 옳은 것은 아닐수 있음을 밝힙니다.
제가 봤을 때 대학원 랩 선택시 중요하게 봐야 할것은 아래와 같습니다.
(갓 임용된 신임 교수들은 제외이며, 짬이 10 년 이상 되신 공대 교수님들 대상입니다.)
1. 박사 학위 취득까지 걸리는 평균 년수
- 해당 랩 졸업생들의 박사 학위 취득까지 걸리는 시간을 봤을때 짧으면 짧을수록 무조건 좋습니다 (이유 불문).
- 이 글을 보는 님의 미래 학위 기간은 랩 선배들의 학위 기간과 비슷하거나 더 길어질거라고 보면 보통 틀리지 않습니다.
- 전공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인 경우 4년반 - 5년반 사이에 있다면 평균치라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로봇 전공같은 경우는 예외적으로 7-8년을 평균으로 보기도 합니다)
- 랩 홈페이지를 가면 학위 취득 년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홈페이지에서 언급이 없는 경우 해당 대학 도서관에서 랩 졸업생들의 석사/박사 학위 논문 제출 년도를 살펴보면 알 수 있습니다.
2. 석사에서 박사로의 진학 비율
- 석사에서 박사로 진학하는 비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좋습니다.
- 해당 랩 분위기는 다른 누구보다 소속 대학원생들이 제일 잘 압니다.
- 교수님 인성이 최상인 경우, 석사만 하려고 들어왔다가 마음 바꿔서, 박사까지 올라가는 경우도 흔합니다.
- 물론 정 반대의 경우는 더 흔합니다.
- 일반적인 랩이라면 석사생보다 박사생이 더 많은 것이 정상입니다. 전공에 따라 다르겠지만 보통 2~3:7 정도의 비율인 것 같습니다.
- 박사생이 더 많은 이유가 학위 기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일 수도 있으니 주의하세요.
- 역시 홈페이지에서 직접 확인하거나 도서관을 서핑하면 진학 비율을 대략 추측할 수 있습니다. 물론 노가다 작업이 필요하죠.
3. 최근 5-7년 이내 졸업생(ALUMNI) 취업 현황
- 해당 랩에서 연구하는 분야가 잘 나가는지 아닌지를 볼 수 있는 가장 확실한 정보입니다.
- 논문 실적 많은 랩보다 졸업 인원 취직 잘 하는 랩이 더 좋은 곳입니다. 졸업할때되면 실감할겁니다.
- 역시 분야 따라 다르겠으나 졸업 후, 최소 대기업은 가고, 정출연 / 해외명문포닥 / 대학 취업 인원이 심심치 않게 있다면 양호합니다.
- 10년전 이전 졸업생의 취업 현황은 참고 중요도가 떨어집니다.
- ALUMNI 정보 자체가 홈페이지에 아예 없다면 해당 랩은 거르는게 좋습니다.
- 님이 취업할 곳은 님이 갈 랩 선배들의 취업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습니다.
- 이미 취업한 선배들은 후배들을 끌어주거나 혹은 자신이 있는 기관 취업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알려줍니다.
위의 3가지 조건이 다 양호한 연구실 (예시: 박사 학위 취득 기간이 4년이며 석사 대부분이 박사로 올라갔고, 최근에 대학 임용된 선배가 두세명 있는 랩) 이라면 다른 정보가 없더라도, A급 연구실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물론 그런 연구실은 이미 인기랩일테니, 님이 들어가기는 어렵겠지요.
개인적으로는 저 셋 중에 기준 딱 하나만 고르라고 한다면 전 3번을 고르구요.
두 개를 고를 수 있다면 1+3번을 고릅니다.
다음으로는 학부생들은 중요하다 여기지만 제 개인적으로는 그다지라고 생각하는 지표입니다.
A. 교수님의 연구력
- 교수님의 연구력을 뭘로 알 수 있을까요? 논문 실적? h-index? IEEE
fellow? 자기가 직접 연구 안해도 해당 지표들을 올릴 수 있는 방법은 매우 다양합니다.
- 교수가 연구를 잘한다고 해서 님도 논문을 잘 쓴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 연구로 잘 나가는 교수일수록 부르는 곳이 많아서 학생들 보기 힘듭니다. 논문은 님이 써야 합니다.
- 교수가 너무 똑똑하면 님의 부족한 이해력을 용서해주지 못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B. 세부 연구 분야
- 어차피 대학원 랩 선택하는 단계에서 큰 분야는 고정됩니다. 통신쪽 갈 사람이 반도체 간다거나 컴퓨터 갈 사람이 바이오 간다든지 하는 것만 아니면 됩니다.
- 큰 분야가 정해진 상황에서 세부 연구 분야는 님이 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랩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를 따라 가야 하죠. 이건 박사 졸업 후 연구소에 취직하더라도 마찬가지입니다.
- 공대, 특히 요즘 잘 나가는 컴퓨터, AI 전공에서는 핫한 분야가 하루가 멀다하고 바뀝니다. 주 분야는 있어야겠지만 어느 정도 융통성을 발휘할 수도 있어야 합니다.
C. 연구실 출퇴근 시간
- 워라밸 생각하고 대학원 갈거면 안 가는게 낫습니다.
- 좋은 논문 쓰고 실적 내려면 누가 안 시켜도 월화수목 금금금 해야 합니다.
D. 연구실 인건비
- 돈을 아예 안 준다면 문제가 있겠지만 학비 지원에 약간의 용돈이 주어지는 정도라면 최소한의 기준은 맞추는 것입니다.
- 돈을 많이 받는 다는 것은 그만큼 일도 많이 시킨다는 뜻입니다 (보통 연구랑 관련없는).
- 대학원에 들어간 순간 부터는 사실상 최저비용으로 부려먹히는 가성비 짱 고급 인력이 되는 것입니다. 인건비 한두푼더 받는것보다 돈 적게 받더라도 최대한 빨리 졸업후 취직하는게 유리합니다.
- 물론 저 위에서 언급한 1,2,3 번 조건에 부합되면서 인건비도 많이 받을 수 있다면 최상인것은 틀림없습니다.
(김박사넷 지표 관련 사항)
- 김박사넷의 교수 평가 지표는 말 그대로 정말 '참고' 로만 참고하세요.
- 교수 인성과 지도력 둘다 최상이라면 좋겠지만 보통 안 그런 경우가 많지요.
- 인성은 A 인데 지도력이 C인 교수1과 인성은 D 인데 지도력은 B인 교수2가 있다면 교수1이 낫습니다.
- 교수1 밑에서는 님 스스로 논문을 잘 쓰면 됩니다. 박사 과정이라면 그래야죠. 설령 결과를 못 내더라도 그건 자기 부족이니 억울하지라도 않습니다.
- 교수2 밑에서는 논문 실적은 둘째치고 졸업을 못하거나 학위 기간 중에 정신병을 얻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심지어 그 이유가 님 능력 부족 때문도 아닐 겁니다.
-
92 84 57155
미국빅테크 vs 인서울교수 명예의전당 22 82 34667
심심해서 풀어보는 대학원생 개꿀AI 앱 모음 명예의전당 109 19 49871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여성은 도둑이다
55 - 여자 공대생의 고충
160 - (장문) 언제나 대학원은 신중하게 생각해야 하네요
198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265 - 박사과정 밟으면서 점점 드는 생각들
259 - 학부만 5명 석,박 없는 연구실 (학부 졸업논문으로 본인 연구 시킴)
12 - 요즘 들어서 가장 거짓말같은 말들
22 - 흥선대원군이 서원 정리한 일처럼 쓸데없는 대학들은 정리가 필요합니다.
40 - 여초랩 가도 될려나요...
16 - 교수님이 절 쫓아내려고 해요....
23 - 학교가지고 싸우는 이유를 모르겠네 K리그에서 잘한다고 먹어주냐
18 - 대학원 다닌지 1년... 중요한 건 pi가 아니라 선배들이더라
4 - 박사 유학하고 포닥도하다 취업해서 첫 출근한 후기입니다
24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220 안 줄 수 있음
14 - ai 대학원 스펙
12 - 전북대 인성이 멀쩡한 교수
8 - 교수가 알려주는 학자의 자질 테스트
11 - 카이스트 수준 ㅋㅋㅋㅋ
19 - 논문 1저자+단독저자 vs 1저자(본인 1명)+2저자 1,2명
13 - 카포 대학원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선배님들
8 - ku-kist도 고려대 석사로 취급 하나요?
8 - 학부연구생 끝난 후 대학원가기전 공익 가면 많이 문제될까요?
6 - 지잡대 4.0 vs 인서울 상위권 2.0 누가 대학원 입학에 유리한가요?
7 - 타대 박사 진학하면 안좋게 보나요?
5 - 컨택 메일의 애매모호한 케바케
5 - 출근 일주일 지났지만 떠날까합니다.
5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독일 유학 관심 있는 사람 있냐?
16 - 여성은 도둑이다
55 - 여자 공대생의 고충
160 - (장문) 언제나 대학원은 신중하게 생각해야 하네요
198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265 - 박사과정 밟으면서 점점 드는 생각들
259 - 학부만 5명 석,박 없는 연구실 (학부 졸업논문으로 본인 연구 시킴)
12 - 요즘 들어서 가장 거짓말같은 말들
22 - 흥선대원군이 서원 정리한 일처럼 쓸데없는 대학들은 정리가 필요합니다.
40 - 여초랩 가도 될려나요...
16 - 교수님이 절 쫓아내려고 해요....
23 - 학교가지고 싸우는 이유를 모르겠네 K리그에서 잘한다고 먹어주냐
18 - 박사 유학하고 포닥도하다 취업해서 첫 출근한 후기입니다
24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석사 지원 가능할까요...?
31 - 성공적인 미국 대학원 유학, 그 첫번째 교육인 [김박사넷 유학교육 밋업]에 초대합니다
9 - 석사 풀펀딩 및 비자 관련 디퍼 문제
9 - cs 미박 관련 여쭤봅니다..
8 - ai 대학원 스펙
12 - 전북대 인성이 멀쩡한 교수
8 - 교수가 알려주는 학자의 자질 테스트
11 - 카이스트 수준 ㅋㅋㅋㅋ
19 - 논문 1저자+단독저자 vs 1저자(본인 1명)+2저자 1,2명
13 - 카포 대학원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선배님들
8 - ku-kist도 고려대 석사로 취급 하나요?
8 - 학부연구생 끝난 후 대학원가기전 공익 가면 많이 문제될까요?
6 - 지잡대 4.0 vs 인서울 상위권 2.0 누가 대학원 입학에 유리한가요?
7
2020.11.21
2020.11.21
2020.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