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 급여 시스템에 대해서 잘 모르긴 하지만, 기업이나 연구소 등등에서 과제?를 해야 인건비가 지급된다고 들었습니다.
근데 과제가 많으면 그만큼 개인 연구 시간이 줄어드는 거 아닌가요? 사실 집이 좀 사는 편이라 인건비가 따로 필요 없긴한데.. 그러면 과제 아예 안하고 백프로 개인 과제에 투자할 수도 있나요?
이외에도 개인 연구에 집중 할 수 있는 팁같은거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Alexis Carrel*
2021.01.03
교수랑 "입학시에" 쇼부치면 됨 돈 안받고 과제 안 하겠다고
그런데 이미 입학했잖아? 늦었지
2021.01.03
과제하면서 배우는것도 은근 많음
Alexis Carrel*
2021.01.03
당연히 과제 할 줄 알고 뽑아놓았더니 과제 안한다고 하면 교수가 개빡치겠지
진작 말했으면 딴 애 뽑았을거임
Aldous Huxley*
2021.01.03
일종의 취업사기랑 비슷한 개념인가?ㅋㅋㅋ
IF : 5
2021.01.03
과제가 많다고 무조건 안좋은게 아님
우리가 하는 연구 주제로 과제따서 과제하면서 그거 그대로 좋은 논문 쓰는데도 많음
그 회사 대외비때문에 논문 쓰기 힘들수도 있는 기업과제가 대부분이거나 연구비 총 규모 대비 과제수가 너무 많으면 이득 대비 잡일이 많아져서 그렇지
IF : 5
2021.01.03
그리고 과제가 아예 없으면 인건비도 없지만 실험랩의 경우 재료비도 없는거라 아예 개인연구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bk라도 있으면 또 모르겠지만
2021.01.03
과제하면서 재미있는 아이디어얻을때도 많아요.
Carl Menger*
2021.01.03
어떤 뜻으로 말씀하시는지는 알겠지만, 단순히 과제일을 잡일이라고만 생각하는건 안좋습니다.
어찌됐든 모든 연구가 연구실에서 진행되는 프로젝트에서 파생되며, 프로젝트마다 사수/부사수로 나뉘면서 일을 배우고 연구를 하게되는 개념입니다.
단순히 프로젝트일 = 잡일 이라는 개념보다, 프로젝트일 ~ 연구 는 병행하게 되는겁니다.
무엇보다 쉽게말해서, 결국 석사든 박사까지하고 학연산 어디든 취업하면, 본인이 과제를 진행하고 심지어 따와야될텐데, 대학원기간동안 제안서는 커녕 과제보고서 하나도 안써보면, 어떻게 과제를 따오겠어요. 뭐 본인 아버지가 회장이라서, 일년 2~3억씩 지원이된다면 몰라도요..
단순히 잡일이라고 생각하지마시고, 다 배워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하시는게 좋은것 같아요. 물론, 저년차한테 잡일맡기는 연구실을 정당화하는건 아닙니다.
Hopper*
2021.01.03
쌉민폐
Alexis Carrel*
2021.01.03
bk는 재료비 커버 안되지 그리고 졸업하고 교수나 정출연 가면 젤 중요한게 과제수주인데 안해보면 불가능
2021.01.03
딱 봐도 어그로구만ㅋㅋㅋㅋ 아까 9급 어쩌고 한 친구 아니냐?
IF : 1
2021.01.04
개욕쳐먹기 딱 좋은마인드네. 너님 개인연구하는 장비, 비품은 뭐 하늘에서 떨어지는줄아네ㅋㅋ 심지어 오피스조차 돈내고 쓰는거 알고있음? 개인연구? 연구실 운영 기여가 없는데 지도교수가 님을 지도해야할 이유는?
2021.01.04
흠.... 산학연구과제를 따오면 그 주제에 맞는 실험을 회사측과 협의하에 진행하고 그 과정에서 글쓴이분이 실험설계하고 실험하고 분석하고 결론내서 페이퍼와 보고서로 마무리 하는게 석박들이 하는일이에욤. 그 과정에서 실험하는법 분석장비 소프트웨어 쓰는법 데이터 다루는법 논문쓰는법 등등 이런과정들을 거쳐서 성장하게 되는것입니다
2021.01.03
2021.01.03
2021.01.03
2021.01.03
2021.01.03
2021.01.03
2021.01.03
2021.01.03
2021.01.03
2021.01.03
2021.01.03
2021.01.04
2021.01.04